부추의 효능
부추는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은 시고 맵고 떫으며 독이 없다. 날 것으로 먹으면 아픔을 멎게 하고 독을 풀어준다. 익혀 먹으면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설정(泄精)을 막아준다. 부추는 일명 기양초(起陽草)라고 부르며,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온신고정(溫腎固精)의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신(腎)'이란 신장(腎藏)뿐만 아니라 고환이나 부신(副腎)등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을 비롯하여 비뇨생식기 계통 전반을 일컫는다. 따라서 `온신고정'이란 신허(腎虛)를 다스린다는 의미로서 부추에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능을 항진(亢進)시키는 다음의 효능이 있다.
부추는 몸을 덥게하는 보온효과가 있어 몸이 찬 사람에게 좋으며 상식하면 감기도 예방한다. 부추의 아릴성분은 소화를 돕고 장을 튼튼하게 하며 강정(强精)효과가 있다.
부추즙은 피를 맑게하여 허약체질 개선, 미용, 성인병 예방효과가 있다.
부추의 열매는 `구자'라고 하여 비뇨기계 질환의 약재이며, 혈액정화, 강장, 강심제로 쓰인다. 음식물에 체해서 설사를 할 때는 부추된장국을 끓여 먹으면 효력이 있다.
이 밖에도 산후통, 치질, 혈변, 치통, 변비 및 구토증의 치료와 개선효과가 있다.
부추의 민간요법
목이 부어서 아프고 음식이 넘어가지 않을 때 날부추를 찧어 약간 볶아 목 주위에 붙이고 식으면 갈아준다.
잠 잘 때 땀이 나는데 (盜汗) 부추 뿌리 49개를 물 2되를 부어 반으로 달여서 여러번 나누어 마신다.
귀에 벌레가 들어갔을 때, 귀에서 진물이 흘러 나올 때 부추 즙 몇 방울을 귀에 떨어뜨리면 벌레가 나오고 귀에서 진물이 멈춘다.
각종 식중독에는 빨리 부추를 찧어 즙을 만들어 마시면 곧 풀어진다.
치질로 몹시 아플 때 부추 잎과 뿌리 날것 1.2kg(2근)을 삶은 물에서 나오는 뜨거운 김을 쐬고 그 물로 여러번 씻는다.
충치통, 치통
부추를 기와 위에다 놓고 까맣게 구운 뒤 갈아서 가루로 만든다음 이것을 참기름에 개어 충치 구멍에 넣으면 곧 낫는다.
가슴이 답답하고 아플 때, 기천(氣喘) : 부추씨 가루 1되와 쌀가루 1되를 반죽하여 찜통에 쪄서 떡을 만들어 이것을 매일 3차례 주식으로 하면 1개월 안에 효력을 본다.
구역질, 반위(反胃)
신선한 부추즙 1큰 숟갈과 우유 1컵을 함께 끓여 한번에 복용한다. 이것을 매일 3∼5회 거듭하면 매우 효력이 있다.
종기가 부어서 아플 때
부추뿌리를 찧어서 돼지기름에 개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 소양증에도 효과가 있다.
오줌 싸는데 매일 아침 저녁으로 공복에 약간의 소금을 탄 온수에 부추씨(어른 40알, 아동 15알, 유아 5알)를 함께 오래도록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소변이 막혀서 통하지 않을 때 부추씨를 반 정도 볶아서 가루로 만든 뒤 매일 3차례 식전마다 약 12g씩 복용한다. 소아는 반량을 복용한다.
유뇨(遺尿), 야뇨(夜尿)
매일 아침 식전과 취침 전에 담염수(淡鹽水)로 부추씨 20알씩 3∼5일간 복용한다. 소아일 경우 반량하고 중한 환자는 배로 한다. 효력이 있어도 계속 복용하면 장양(壯陽), 강음(强陰)의 효력이 있다.
아메바성 이질
부추 반근(300g)을 붕어 1마리와 물 5사발로 푹 고아 반이 되면 3등분 하여 매일 3차례씩 식전마다 1등분하여 따끈하게 데워서 복용한다.
여자의 대하, 남자의 양구가 위축하거나 조루할 때 : 부추씨 5되를 식초 4되, 물 3되를 섞은것에 넣어 6시간 동안 삶아 꺼낸 뒤 다시 불에 구워 말린다. 이 씨를 가루로 만들어 물에 갠 뒤 녹두알 만한 환약을 빚는다. 이것을 매일 아침, 점심, 저녁 공복에 따끈한 술로 30∼40알씩 먹는다. 장복하면 양기를 늘려주고 대하를 제거해 준다. 허리나 허벅지
아픔, 신경통도 치료된다.
적.백 대하(赤.百 帶下)
부추즙 1컵에 생강즙 1숟갈을 섞어 데운 후 공복에 매일 2∼3차례 먹는다.
신장 기능 감퇴로 인한 정력부족 유정에 활용된다. 식당에서는 김치를 담가서 먹기도 하지만 약간 볶아서 먹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호도육과 같이 볶아서 먹으면 그 효력이 배증된다고 한다. 그런데 알야할 것은 단 몇 회에 효력을 얻을 려고 하면 기대보다 실망이 많으므로 오래 장기간 복용했을 때에 기대되는 효과라고 해야 할 것이다.
겨울 철에 일기가 추운데다 항상 배가 차서 소화가 안 되는 사람이 있으면 복부에 분비를 촉진시켜서 소화력이 높아지고 가스가 차지 않으면서 통증이 제거된다. 이 때에 효능증대를 위하여 생강을 넣고 죽을 쑤워서 먹으면 생강자체의 건위소화 촉진 혈액순환개선으로 효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혹은 부추를 볶아서 뜨겁게 한 다음 배에 놓고 찜질하면 배가 더워지면서 복통이 진정된다.
관상동맥경화증으로 가슴이 답답하던가 칼로 째는 듯이 아프면 혈관 안에 고지혈이 쌓여서 발병한 것으로 대개 병원에서는 풍선요법을 쓰지만 식용으로는 부추가 큰 몫을 하고 있다. 우리는 나날이 기름진 음식을 먹으므로 그런 병증이 점점 더 많이 발생되는데 이런 음식을 계속 먹으면 양호한 예방 작용과 치료에도 도움이 되므로 소개하는 바이다.이런 병을 그냥 지나치면 돌연사 하므로 예방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볶아서 익혀 먹으면 더 효력이 많다.
지혈 작용이 있다. 늘상 코피가 나서 괴로워하거나 위장 출혈 소변출혈을 일으키면 부추의 생즙을 내서 복용하므로 혈관을 수축시키면서 혈액의 응고시간을 단축시키면서 지혈작용을 얻게 한다. 타박상으로 어혈이 지고 붓고 아프면서 운동장애를 일으키면 생즙을 복용하거나 짓저서 환부에 불여서 통증을 완화시킨다.
이질에 복용하면 이질균의 발육억제작용으로 치료가 된다. 생즙을 덥혀서 복욕하기도하며 열이 많으면 황백과 같이 다려서 복용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옷나무 독과 피부염 치질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된다.
금기:안질환으로 충혈이 있으면 복용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