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 간장질환에 좋은 자작나무
자작나무는 눈 처럼 하얀 껍질과 시원스럽게 뻗은 키가 인상적이며 서양에서는 " 숲속의 여왕" 으로 부를만큼 아름다운 나무다.자작나무 껍질은 종이처럼 얋게 벗겨지는데 겉면은 흰빛의 기름기 있는 밀랍가루 같은 것이 덮여있고 안쪽은 밝은
갈색이며 불에 잘 타면서 습기에도 강하여 쓸모가 있다.
자작나무 껍질은 천년이 넘게 지나도 썩지를 않는다.
자작나무는 10~12장의 얇은 껍질이 겹겹이 붙어 있으므로 한장씩 벗겨 내어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 썼다. 자작나무 껍질에는 부패를 막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좀도쓸지 않고 곰팡이도 피지 않는다.
간혹 수백년 또는 수천년 전에 땅속에 묻혔던 자작나무는 완전히 썩어 없어졌을지라도 껍질은 생생하게 남아 있는것이 많다.
자작나무 껍질은 물에 젖어도 불이 잘 붙으므로 불쏘시개로 중요하게 쓰인다.
물속에 흠뻑 담갔다가 꺼낸것도 성냥불을 갖다 대면 즉시 불이 붙는다.
산속에서 야영을 하는사람들이 꼭 알아 두어야 할 상식이다.
자작나무 껍질은 약재로도 퍽 중요하게 쓴다. 한의학과 민간에서는 백화피(白樺皮) 화피(樺皮) 등으로 부르며 황달.설사.신장염.폐결핵.위염.갖가지 옹종 등의 치료에 이용한다. 자작나무 껍질은 맛이쓰고 성질이 차다. 간경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기침을 멈추고 담을 삭이는 작용이 있다. 해독 작용도 탁월하고 염증을 없애는 효과가 상당히 강하다. 이뇨 작용이 있어서 신장염이나 부종을 고치는 데에도 쓸수있다.
자작나무 껍질은 대게 물로 다려서 먹는다. 하루 20~40g 쯤을 물 한되를 넣고 반되가 될때 까지 달여 세번으로 나눠 먹는다.
자작나무의 뿌리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 등 간질환 치료에 쓴다.
65세 된 한 할머니가 백내장으로 시력을 잃은지 2년이 지났는데 지나가던 노인한테 자작나무를 열심히 달여 마시면 시력을 회복할수 있을 것 이라는 얘길 듣고 1년동안을 자작나무 껍질을 열심히 달여 먹고 정상적인 시력을 되찿았다는 실화가 있다.
자작나무 뿌리는 간장의 해독을 풀고 기능을 회복 시키는데 좋은 약으로 눈을 밝게 하는 데에도 효력이 있다.
자작나무에 붙어 자라는 버섯은 갖가지 종양에 효과가 있다. 유방암. 위암. 백혈병. 자궁암. 폐암 등 갖가지 암에는 자작나무 버섯을 다려 먹거나 가루 내어 알약을 지어 먹는다. 약리 실험에서 종양 세포의 증식을 억제 하는것이 증명 되었다.
그러나 자작나무 버섯은 남한에서는 구하기가 극히 어렵다.
자작나무 수액도 거재수 나무나 고로쇠나무 수액과 마찬가지로 곡우 무렵에 나무에 구멍을 뚫어 흘러 나오는 수액을 받아 마신다. 신경통. 류마티스 관절염. 소화불량 등에 효험이 있으며 오래 마시면 무병장수 한다고 한다.
러시아 에서는 자작나무를 거의 만병 통치약으로 쓴다. 감기. 기침. 기관지염 등에 자작나무 달인 물을 먹기도 하고 자작나무 달인 물로 목욕을 하기도 하며 한증탕의 재료로 쓰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쑥과 솔잎을 민간에서 흔히 쓰듯이. 러시아나 핀란드 등 자작나무가 흔한 지방의 사람들은 이 나무를 민간 약으로 제일 흔하게 쓴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모근(띠)풀의 효능 (0) | 2010.02.07 |
---|---|
참나리의 효능 (0) | 2010.02.05 |
측백나무의 효능 (0) | 2010.02.02 |
순비기나무의 효능 (0) | 2010.01.27 |
매발톱나무(소벽)의 효능 (0) | 2010.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