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백나무의효능
측백나무는 예부터 신선이 되는 나무로 알려져 귀하게 대접받던 나무다. 사당이나 묘지, 절간, 정원 등에 즐겨 심었는데 특히 중국 사람한테 사랑 받았다. 측백나무 잎이나 열매를 먹고 신선이 되었다거나 몇 백 년을 살았다는 얘기가 많이 전해진다. 옛날 진나라 궁녀가 산으로 도망쳐서 선인이 가르쳐 주는 대로 소나무와 측백나무 잎만 먹고살았더니 추위와 더위를 모르게 되었을 뿐 아니라 온몸에 털이 난 채로 2백년 이상을 살았다고 한다.
또, 적송자(赤松子)라는 사람이 측백나무 씨를 먹었는데 빠졌던 이가 다시 나왔다고 했으며, 백엽선인은 측백나무 잎과 열매를 8년 동안 먹었더니 몸이 불덩이처럼 되고 종기가 온몸에 돋았다가 깨끗이 나았는데 그 뒤로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에서 빛이 나며 결국 신선이 되어 우화등선(羽化登仙)했다고 했다.
측백나무에는 무덤 속의 시신에 생기는 벌레를 죽이는 힘이 있다. 좋은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벌레가 생기지 않지만 나쁜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진딧물을 닮은 자잘한 벌레가 생겨 시신을 갉아먹는데, 이 벌레를 염라충이라고 부른다.
측백나무를 묘지 옆에 심으면 시신에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측 백나무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거듭하여 가루를 만들어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다. 몸에서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나며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고 이빨과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 산다. 부인들의 하혈이나 피오줌, 대장이나 직장의 출혈에도 구증구포한 측백 잎이 효과가 크다.
간암이나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에는 아홉 번 쪄서 말린 측백 잎을 달여서 오소리 쓸개와 함께 복용하면 복수가 빠지고 소변이 잘 나오게 된다. 구증구포한 측백 잎을 늘 복용하면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쇠약 등이 없어진다.
측 백나무 씨앗은 백자인이라 하여 자양강장제로 이름 높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렸다가 단단한 겉껍질을 없앤 뒤에 쓴다.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좋게 하며 대변을 잘 보게 하는 작용이 있다. 몸이 허약하여 식은땀을 자주 흘리거나 변비, 뼈마디가 아픈 질병 등에 효과가 있다. 씨앗을 가루 내어 한 숟갈씩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 오래 복용하면 강철처럼 몸이 튼튼해진다. 측백나무 씨앗으로 만든 술인 백자주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과실주의 하나로 고려 명종 때에 만들어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측백나무는 흔치 않다. 대구의 팔공산, 가야산, 비슬산에 자생하는 것이 있고 절간에 수백 년 묵은 고목이 있으며, 대구시 도동, 충북 단양군 매포면 영천리, 경북 영양군 영양면 감천동에 측백나무 자생지가 있어 보호를 받고 있다. 서울 성북구 방학동에도 삼백살이 넘은 측백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의 잎을 삶아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전설이 있어 수난을 당하고 있다. 측백 잎을 구증구포하여 차 대신 달여서 오래 마시면 나름대로 맛과 향도 괜찮거니와 무병장수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 측백나무 줄기를 뭉근한 불로 오래 달여서 약으로 쓰기도 한다. 측백 잎은 가을철 처서 무렵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
측백이란 잎이 옆으로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본초강목에서는 밝히고 있다. 잎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작고 납작한 비늘이 나란히 포개진 것 같고 모여서 여러 갈래의 작은 가지처럼 달려 있다. 꼭 옆으로 자란다고 하기는 어려우나 납작한 것만은 틀림없으니 측백이란 이름이 나무의 잎모양과 어울린다.
측백나무는 소나무와 함께 선비의 절개와 고고한 기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상록수로서 선조 들의 사랑을 받아온 나무이다. 중종34년(1540) 전주 부윤 이언적이 올린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한 상소문에 ‘군자는 소나무나 측백나무 같아서 홀로 우뚝 서서 남에게 의지하지 않지만, 간사한 사람은 등나무나 겨우살이 같아서 다른 물체에 붙지 않고는 스스로 일어나지 못합니다.’라는 말로 이덕유가 당나라 무종에게 올린 고사를 인용하여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을 측백나무에 비유하여 간하였다고 한다. 중 국의 주나라 때 임금의 능에는 소나무, 왕족의 묘지에는 측백나무를 둘레나무로 심도록 하여 소나무 다음으로 대접받는 나무이기도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영조대왕의 묘지문(1776)에는 '장릉(長陵)을 옮겨 모신 뒤에 효종께서 손수 심으신 측백나무의 씨를 옛 능에서 가져다 뿌려 심으셨으니, 또한 임금의 효성이 끝이 없다'하여 묘지의 둘레나무로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심었음을 알 수 있다. 측백나무에는 무덤 속의 시신에 생기는 벌레를 죽이는 힘이 있다.
좋은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벌레가 생기지 않지만 나쁜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진딧물을 닮은 자잘한 벌레가 생겨 시신을 갉아먹는데, 이 벌레를 염라충이라고 부른다.
약초 활용법 측백나무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번 거듭하여(구증구포) 가루를 만들어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몸에서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나며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고 이와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산다고 한다. 여성들의 하혈이나 혈뇨, 대장이나 직장의 출혈에도 구증구포한 측백잎이 효과가 크다. 간암이나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에는 아홉번 쪄서 말린 측백잎을 달여서 오소리 쓸개와 함께 복용하면 복수가 빠지고 소변이 잘 나오게 된다.
구증구포한 측백잎을 늘 복용하면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쇠약 등이 없어진다. 백자인은 자양강장제로 많이 알려져 있다.
백자인으로 담근 술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과실주의 하나로 고려 명종 때에 만들어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 구증구포한 측백잎을 차 대신 달여서 꾸준히 마시면 맛과 향도 괜찮으며 무명장수에 큰 보탬이 된다. 측백나무 줄기를 뭉근한 불로 오래 달여 약으로 쓰기도 한다. 행인, 백자인, 마자인 각 9g을 찧어 끓는 물에 우려 마시면 변비에 도움이 된다.
※ 측백잎은 가을철 처서무렵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한다. |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나리의 효능 (0) | 2010.02.05 |
---|---|
자작나무의 효능 (0) | 2010.02.04 |
순비기나무의 효능 (0) | 2010.01.27 |
매발톱나무(소벽)의 효능 (0) | 2010.01.26 |
쥐방울덩굴 (마두령)의 효능 (0) | 2010.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