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침, 기관지염, 천식, 감기, 목쉰소리, 불면증, 관절염, 간염, 폐렴, 치통, 충수염
길가나 빈터에서 자라는 한두해살이 풀이 있다. 잎은 담배잎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1~2미터 높이로 꽃대가 곧게 올라가 있는 모습이 웅장하며 보는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줄기는 전체가 회백색 솜털로 덮여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긴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 부분이 줄기를 따라 흘러내려 날개로 된다.
7~9월에 줄기와 가지끝의 수상꽃차례에 노란 꽃이 촘촘히 달리는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 둥근 열매속에는 작은 씨가 많이 들어 있다.
이 식물은 담배잎과 비슷한데다가 우단같이 고운 털이 빽빽하게 났다고 하여 한국에서는 '우단담배풀'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이 솜털에 접촉하면 심하게 가려움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은 이 식물이 외부의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중에 하나이다.
안덕균씨가 지은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모예화(毛蕊花), 현삼과의 두해살이풀 우단담배풀(Verbascum thapsus Linne)의 지상부이다.
성미는 약간의 독이 있으며, 효능은 청열해독, 지혈 작용이 있으며, 폐렴으로 발열 증상을 나타낼 때 쓰이고 충수돌기염에도 소염 작용을 보이며, 외상 출혈에는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 주의 사항으로 약간의 독이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감>에서는 우단 담배풀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현삼과의 식물인 모예화(毛蕊花) 즉 모예초의 전초이다.
이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50cm이다. 온몸에는 종황색의 성상 단모가 밀생한다.
줄기는 단일하거나 또는 2-3개의 가지가 총생한다.
근생엽은 총생하며 난형 혹은 수원상 피침형이며 길이는 7-19cm 이며 너비는 2.5-5cm이고 잎가장자리는 전록이거나 거치가 있으며, 경생엽은 어긋나고 조밀하게 돌려난다.
수상화서가 정생하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황색이고 5개로 갈라지며 면에 성상모가 있고, 5개의 수술이 있고, 자방상위이다.
삭과는 구형이다. 분포는 산비탈의 풀이 많은 곳과 모래와 돌이 있는 여울에서 자란다. 채취 및 제법은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선용하거나 햇볕에 말린다.성분은 verbascose 및 coumarin이 들어 있고, 꽃에는 thapsic acid 가 들어 있다. 맛은 쓰고 서늘하다.
효능은 청열해독, 지혈의 작용을 나타내며, 주된 치료는 간염, 충수염(蟲垂炎)# 을 치료한다. 외용시는 창상출혈, 창독에 효과가 있다. 하루 용량은 3~9그램이다.
외용시는 적당한 양을 사용한다.
우단담배풀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 북아프리카, 유럽이다.
학명인 Verbascum은 barbascum이 변한 말로서 라틴어의 barva에서 즉 "수염"에서 유래한 것이며 잎에 털이 덮여 있어서 붙여진 이름다.
우단담배풀을 영어로 멀레인(Mullein)이라고 부르는데, 라틴어의 mollis 즉 "부드러움"이란 뜻의 어원이며 잎의 특징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단담배풀은 고대 로마 때부터 호흡기 계통의 치료제로 약효가 뛰어난 약초로 알려져 있었으며 지금도 즐겨 쓰이는 약이라고 한다.
줄기는 소기름이나 밀납을 적시어 횃불을 만들기도 하였으며, 이것에 불을 붙여서 장례식 때 밝혀 비추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우단담배풀의 횃불은 꽤 유명했던 것으로 중부유럽을 점령했던 로마 병사들은 주둔지에서 우단담배풀 횃불로 추위를 녹였다고 전해진다.
줄기의 길이가 1~2미터가 넘기 때문에 겨울에는 양초 대신으로 쓰기도 했으며 줄기의 연한 부분은 램프나 양초의 심으로 만들기도 했다는데 이것은 1주일은 쓸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 고대 로마 연인들은 이 꽃을 달인 물로 머리를 황금색으로 염색했다 하며 이 풀을 태운 재는 백발을 원래 머리카락 색으로 되돌려 놓는다고도 했다.
그러나 그것은 믿기 어렵고 지금은 이 물로 린스하면 머리에 윤이 나는 것만은 확실하다.
우단담배풀에는 사포닌, 점액, 고무질, 아구우빈,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거담, 진해작용이 있어서 기침, 기관지염, 천식, 백일해, 목 쉰소리 등에 매우 유용한 약초이다.
꽃을 이용한 허브차는 진정 효과가 있어서 불면증 치료에 쓰이며 이뇨작용이 있어서 비뇨기 계통의 염증을 진정시키는 데도 쓰인다.
또 꽃을 딴 즉시 올리브유 같은 식물성 기름에 담그어서 해가 잘 드는 곳에 2주일쯤 두었다가 우러나면 귀앓이증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타박상 등에 바르면 통증을 완화해 준다.
잎은 종기나 진무르는 데 도포제로 쓰며 이때 잎의 침출액에 섞인 털은 걸러 내어서 따끔거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옛날에는 잎을 말린 것을 파이프에 담배처럼 넣고 피우면 안절부절 못하는 조급증을 진정시켜 주며 폐병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지금도 수증기 흡입 요법에 이용한다.
현재 유럽에서는 폐렴, 감기, 기관지염, 기침약으로 쓰고 있으며 북미에서는 고약으로 만들어 치통, 신경통약으로 쓰고 있다.
씨에는 약간의 마취성이 있으므로 이것을 물에 풀면 물고기가 취해서 떠오르므로 밀렵에 사용하기도 한다.
노란 잔꽃이 많이 피기 때문에 생울타리처럼 심어 관상용으로 이용하고 꽃대를 잘라 건조 시켜 드라이 플라워로도 환영받고 있다.
우단담배풀은 내한성이 강한 2년초 즉 월년초로서 키가 1~3미터까지 자라며 포기 전체에 회백색의 솜털이 밀생한다. 잎은 처음에는 로켓트형으로 나와서 중앙에 크고 곧은 꽃대가 곧게 자라 7~8월에 수사화서로 노란 잔꽃이 많이 핀다.
우단담배풀의 재배방법은 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석회질의 건조한 땅을 좋아한다. 배구가 잘 안 되는 땅에서는 말라 죽는다.
씨로 번식하며 봄 3~5월과 가을에도 파종할 수 있다. 묘상에 누르듯이 점뿌림한다.
본 잎이 3~4장 나오면 40~50센티미터 간격으로 정식한다.
생장이 빠르며 봄에 파종해도 여름에 꽃이 피나 대개는 다음해에 꽃이 핀다.
자라면 사방으로 40~60센티미터로 퍼지므로 관엽식물로도 관상가치에 손색이 없다. 조금 늦게 파종하여 9월에 정식하여 다음해에 꽃을 피우는 것이 이상적이다.
개화기에 꽃을 따서 기름에 담그어 외용약으로 만들며 잎도 개화기에 따서 바람이 통하는 그늘에 말려 보관한다. 반쯤 개화하였을 때 줄기를 잘라 거꾸로 매달아 건조시켜 드라이 플라워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