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굴레는 체질에 상관없이 잘 어울린다는 장점 있다.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은 달고 평하며 폐. 위경에 작용한다.       

 

보리차 대신 끓여 놓고 수시로 드시는데 맛은 숭늉이나 보리차보다 훨씬 맛있고 고소하며 차게 해서 마시면 그 어떤 차도 따를 수 없을만큼 향도 좋고 맛도 좋다.
 

영양가 높은 자양식품으로 단맛이 있고 전분이 40-60% 이상 함유하고 있어 흉년에는 구황식품으로 이용하였다.

 

비타민A와 칸베라, 켐페롤등의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이는 여름철에 갈증을 해소시키고 더위를 먹지 않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둥글레는 아무 독성이 없고 밥하고 같이 먹어도 아주 고소한 맛을 내는 건강식품이거니와 건강차, 치암제로서 부족함이 없다. 

장복하면 중풍, 고혈압, 저혈압, 각종 암증은 걱정 할 필요가 없다. 

중점적인 효능

피부미용에 둥굴레....칼슘, 단백질, 섬유질 등이 많이 함유되어있다.  

남성의 정력하면 둘굴레다.
몸의 음기를 자양하여 조직을 습윤하게 해준다

 

노화방지는 물론 기운 복돋아주는 둥굴레 당뇨에도 좋다.        

몸이허약한 사람에게 특히 좋은 차로 강장강정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린이 허약체질을 위해서 먹일 때는 생강 약간, 대추 약간, 감초 약간을 넣어서 끓인다. 

 

병으로 고생한후 허약해서 기력이 없나요 둥굴레로 해결하시고 통증도 없애 준다.
신체허약, 혹은 병후허손의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만삼, 황기등과 배합하여 달여 드시는것도 좋다 한다.
 

변비로 고생한다면 둥굴레로
소변이 붉게 나올때. 또 시원하게 소변을 보지 못할때. 꾸준히 복용하면 효과가 크다 (빈뇨증)

 

간이 안좋아 둥굴레로 안색과 혈색을 좋게 한다.
갈증해소 으뜸 둥굴레 다이어트에 으뜸이다. 구강건조증에도 좋다.
팔다리가 쑤시거나 원인 모르게 식은땀이 많이 나는 경우는 꾸준히 복용하면 효과가 크다.

 

다이어트를 너무 심하게 하여 기운이 약해진 사람, 먹어도 먹어도 자꾸 허기를 느끼는 사람에게는 둥굴레가 좋다.


 

물과 음식을 많이 먹고 갈증이 그치지 않고 몸이 수척해지는 증상에도 좋다.
비위의 기운이 약해서 권태감, 무력감, 식욕감퇴, 맥박미약 및 입안이 마르고 음식 맛을 모르며, 혀가 붉으면서 설태가 없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머리와 눈을 맑게해주는 둥굴레
현기증이 나면서 눈이 침침하고 아플때.  이런경우 5g정도의 둥굴레 분말을 꿀물이나 생강차에 타서 꾸준히 복용하면 효과가 크다.

스트레스 해소에도 좋다.
근시인경우에는 검정콩과 같이 복용하여 효력이 있다.     

 

잠을 쫓아버리고 싶을 때에도 효능이 있다.

심장과 폐를 윤하게 해주는(향균작용) 둥굴레(심장쇠약,협심증, 폐결핵, 마른기침,무좀등.

 

폐결핵에는 사삼(더덕뿌리말린것), 의이인을 배합하여 복용한다. 
과다한 노력으로 인해 오래도록 해수가 낫지 않고 기운이 없으며 마른기침에 가래가 없거나 혹은 가래가 끈끈하고 때로는 피가 섞이는 증상에도 쓴다.
폐에 건조한 기운이 침범하여 폐음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마른기침에도 효과가 있다. 
   

 

타박상 및 요통에 바르기도 하는 둥굴레
둥굴레 분말과 밀가루를 식초에다 반북하여 사용한다.

생뿌리를 강판에다 갈아 환부에 바르기도 한다.
뿌리를 삶은 물에 상처부위를 담구어 온습포하는 경우도 있다.
      

 

신장의 정기 허약으로 허리와 다리가 연약해지고 어지러우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면서 눈앞에서 꽃이나 별과 같은 것이 헛보이는 증상을 다스린다.

 

한방용어로 풀이한 둥굴레 
*한방에선 둥굴레의 뿌리줄기를 말린것을 위수 또는 위유라고 한다.

*위유는 강장강정, 치한, 해열에 효과가 있다하한다.

*혈당과 혈당을 낮주는 작용을 하기에 장기간 복용시 안색과 혈색이 좋아진다.

*저혈압에 만삼과 같이 사용하여 효력이 있다 한다.

*고지혈증에서 콜레스테롤치를 크게 하강시킨다 한다.
 

주의할점
위장안에 습기가 많은 사람, 몸과 팔다리가 찬사람, 찬음식을 먹으면 설사를 심하게 하는 사람은 삼가해야 한다.
둥굴레차에는 절대로 오미자와 배합하지 말아야 한다. 서로의 효능이 없어진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삭줄의 효능  (0) 2010.04.09
삼지닥나무의 효능  (0) 2010.04.08
들깨의 효능  (0) 2010.04.01
털진득찰의 효능  (0) 2010.03.31
울금의 효능  (0) 2010.03.29

 

일년초. 전체적으로 불쾌한 냄새가 나며 줄기는 방형(方形)으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긴 엽병(葉柄)이 있으며 난형으로 톱니가 있고 뒷면에는 담자색이 돈다.

 

꽃은 백색으로 8~9월에 피며 총상화서(摠狀花序)로서 줄기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며 수술은 4개이다.

 

과실은분과( 分課)로서 둥글며 곁에 그물무늬가 있다.

씨는 지금이 2mm정도로 씨를 짜서 얻은 기름을 임유(任油 들기름). 씨는 임자(任子) peniae Felium Semen. 잎을 임엽(任葉) Penillae Folium이라 한다.

 

성분

잎에 정유 0.12% Penillene (PL型). (주성분은 elscholzia ketone dir 65%).

씨에 지방유 약 40% (주로 oleic acid. linoleic acid emddml  glycenide 와

소량의 Palmitic acid)를 함유하고 있다.

 

생지 ; 밭. 들에 난다.

분포 ; 전국 간지에서 재배. 혹은 들에서 야생 으로도  난다.

 

약효

들기름의 원료이며. 잎은 식용하고 들깨씨(任子)는 민간약(民間藥)으로 고혈압. 기침. 거담.변비.건위 등에 사용한다.

 

동속 약초 ; 차즈기. 청소엽

번식 ; 종자(種子 )

민간(民間)에서는 들기름(任油)을 고혈압에 사용하기도 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지닥나무의 효능  (0) 2010.04.08
둥글레의 효능  (0) 2010.04.02
털진득찰의 효능  (0) 2010.03.31
울금의 효능  (0) 2010.03.29
벗나무의 효능  (0) 2010.03.27

 

 

일년초 전체에 털이 많고 높이는 약 60~12cm이다.

 

잎은 마주나며 엽병(葉柄)이 있고 삼각상의 난형으로 끝이 날카로우며 밑이 쐐기 모양이고 길이 약 5~10cm로서. 고르지 않는 톱니가 있으며 3맥이 크다.

 

은 황색으로 9~10월에 피며 두화(頭花)는 원추화서이고 화경(花梗)은 길이 15~35mm이다.

 

과실은 수과(瘦果)로서 4릉이 있고 도란상 장타원형이며 거칠거칠하고 관모가 없으며 외포편에 싸여있다.

 

생지

들에 난다.

 

분포

전북, 경북, 충남, 충북, 경기, 평북, 함북에 야생하며, 지리적으로는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약효

지상부(地上部, 잎, 줄기)는 거풍습(祛風濕), 이관절(利關節), 해독(解毒), 풍습비통(風濕痺痛), 골절무력(骨節無力), 요슬산연(腰膝酸軟), 반신불수, 풍진습창(風疹濕瘡), 중풍, 종양(腫瘍), 사지마비(四肢麻痺), 골통(骨痛), 슬약(膝弱), 풍습신통(風濕身痛), 구안와사(口眼喎斜)에 쓰이고, 생엽(生葉)은 뱀이나 벌에 의한 교상(咬傷)에 외용한다.

 

동속약초

진득찰, 제주진득찰

 

번식

과실(果實)

 

비고

찹쌀막걸리에 쪄서(9回) 말린 것을 고혈압에 사용한다.

 

효능

근육통. 관절염.간염.간해독.. 혈압강하. 종기. 고혈압.사지마비.구안와사.해독.등..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둥글레의 효능  (0) 2010.04.02
들깨의 효능  (0) 2010.04.01
울금의 효능  (0) 2010.03.29
벗나무의 효능  (0) 2010.03.27
야생 돌미나리의 효능  (0) 2010.03.22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생강과 울금속의 다년초에 봄에 핑크색 꽃을 피우는 "춘울금"과 가을에 흰색의 꽃을 피우는 "추울금" 2종류가 있다. 모두 다 지상부는 파초와 비슷한 형태로 높이 1.5m, 생강을 닮은 큰 뿌리가 있으며, 가끔 이 뿌리의 털 끝에서 큰 뿌리가 나기도 한다.

 

뿌리를 파서 잘라 보면 양쪽 다 높은 방향성이 있고 안의 색깔이 다르며 춘울금은 선황색, 추울금은 오렌지색을 보인다. 건조한 분말을 보면 이러한 차이를 잘 알 수 있다. 또한 춘울금은 약간 매운맛과 쓴맛이 있고 추울금은 쓴맛이 없다. 

 

뛰어난 약효를 발휘하는 생약으로 이용되는 것은 춘울금의 뿌리로 양자의 구별을 확실히 할 수 있게 된 것은 근래의 연구성과이다. 볼래의 카레가루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의 주성분이 추울금으로 특유의 맛과 향이 티메릭이라는 향신료의 주성분이다. 각종 식품의 황색 착색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중국 약초서의 고전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울금과 관련이 있는 "울금(鬱金)"과 "강황(姜黃)" 2가지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울금에 대해서는 "피를 멈추게 하고 나쁜 피를 제거함. 혈임,요혈,금창을 치료함" 강황에 대해서는 "기를 낮추고, 피를 제거하고, 풍열을 제거하고, 피뭉침을 치료, 공력(효력)은 울금보다 강하다"고 기술했다. 또한 전통적으로 중국에서는 춘울금의 뿌리를 "강황"이라고 한 것을 보면 여기서 "공력(효력)은 울금보다 강하다"라고 기술한 것으로 볼 때 강황은 춘울금이라고 여겨진다.


생리를 통하게하고 타박상과 어혈을 낫게하고 산후에 패혈이 심 을 친것을 치료하는데 아주 효력이 있고 일명 편자강황이라 한다 효력이 울금보다 더매우니 썰어서 초에 뽁아서 쓴다 성분이 뜨겁고 맛이 맵고 쓰며 독이 없다. (징가) (혈괴) (옹종)을 주로 치료하고 (통월경)하며 (타박어혈)을 (파냉제풍)하며 (기장)을 치료한다. 해남에서 나는 것은 봉아무라 하고 강남에서 나는 것은 강황이라 한다.<본초> 효력이 울금보다 더 매우니 썰어서 초에 볶아서 쓴다

 

울금(鬱金)의 주요 성분 및 효능효과

 

커큐민(curcumin) . 간기능강화, 담즙분비촉진, 위궤양 원인균(피료리균)살균,

이담작용, 이뇨작용, 암예방, 항암, 멜라닌 색소방지.

메치돌 ;  이루카비놀 .간기능향상, 담즙분비촉진.

투메론 ; 담즙분비촉진, 이담, 향균, 살균, 항염작용.

아즐렌 ;  항염, 항궤양, 건위, 종양개선, 위 십이지장 궤양 치료.

 

캄  파  ; 강심, 건위, 살균, 항균.

미네올 ; 위 소화 효소 분비촉진, 살균, 항균작용, 이담작용.

강심제 ; 강심작용, 건위, 살균, 방부작용.

 

팔라듐,메치르톨,이르카르비노르 ;  담즙 배출 촉진, 간기능 강화.

후라포노이드 ; 모세혈관보호.

a-크루크멘 ; 이담작용, 고혈압, 담관결석, 고지혈증, 동맥경화 예방개선,

항 콜레스테롤.

 

b-에레멘 ; 종양증식억제.

크루크모를 ; 항 종양작용,중국-자궁경 암의치료.

무기영양소 ; 영양소 대사촉진.

식물섬유 ; 장운동 활성, 억균작용, 다이어트 등 약 100 여가지 성분 함유. 

 

울금의 효능

울금(鬱金)은 비장(脾臟)과 간(肝)에 작용한다.

위장 ; 위산분비 조절, 위염, 건위, 위궤양.

간장 ; 담즙분비촉진, 간 해독 기능향상, 담낭결석, 황달, 간장질환, 담관염,

         간염 (만성간염, B,C 형 간염).

 

자궁 ; 생리불순, 월경통, 자궁근종, 산후복통, 무월경.

심장 ; 동맥경화, 혈행활성, 관상동맥 반 괴형성 감소, 강심작용, 고혈압.

기타  *  항산화작용 - 노화예방, 항염작용, 항균작용.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깨의 효능  (0) 2010.04.01
털진득찰의 효능  (0) 2010.03.31
벗나무의 효능  (0) 2010.03.27
야생 돌미나리의 효능  (0) 2010.03.22
부인병의 성약 꾸지뽕  (0) 2010.03.20

벗나무

 

높이가 20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수피가 옆으로 벗겨지며 암자갈색이고 소자에 털이 없다.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홍색 또는 거의 백색이며 "산방화서" 또는 "산형화서" 에 2~5개씩 달리고 소화경(小花梗)에 털이 없으며 화축(花軸)에 포(苞)가 있고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며 열편(裂片)은 난형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으며 열매는 둥글고 6~7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잎이 피침형인것을 가는잎벗나무. 엽병과 화경(花梗0에 잔털이 있으며 화경의 길이가 2~3cm인것을 사옥.화경.소화경.잎 뒷면 밎 엽병에 털이 있는것을 잔털벗나무. 엽병과 잎 뒷면 중근(中筋)에 융모(絨毛)가 밀생하고 화경에도 털이 많은것을 털벗나무라 한다.

 

기침 .해소.피부병에 좋은 벗나무

벗나무는 일본의 국화이다. 화사한 꽃이 온통 봄을 독차지하는 듯한 꽃나무로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를 뽑아내고 대신 곳곳에 벗나무를 심어 "사쿠라" 강산을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일본인들이 극성을 떠는 왕벗나무의 자생지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전남 대둔산 일대인것이 밝혀졌으니 일본이 자랑하는 벗나무는 결국 우리것이 옮겨간것에 지나지 않는다.

 

벗나무는 불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민간 약재이다.

벗나무 껍질에는 "사쿠라인' 이라는 물질이 들어 있는데. 이 물질을 뽑아내어 만든것이 "푸로틴" 이라는 기침약이다. 해소.기침에는 벗나무 껍질을 진하게 달여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벗나무 속껍질은 식중독.생선중독.버섯중독에도 효과가 있다.특히 고등어.가다랭이 같이 등푸른 생선에 중독 되었을때 벗나무 속껍질을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

또 소화불량이나 토사에도 효과가 있다.지름이 3~5cm쯤 되는 어린 가지의 녹색 속껍질을 칼로 벗겨 잘게 썰어 그늘에 잘 말려 두었다가 하루에 20~25g을 달여서 먹는다.

벗나무 껍질을 달인 물을 수시로 마시면 기관지와 폐가 튼튼해 지고 위장 기능도 좋아지며 피부도 고와진다.

 

벗나무 잎도 피부병에 효과가 있다.벗나무 잎을 그늘에서 말린것을 달여서 땀띠. 습진.피부병에 바르면 잘 낫는다. 일본에는 "사쿠라모찌"라는 음식이 있다.이것은 소금에 절인 나무잎으로 싸서 찐 떡으로 독특한 향이 일품이다. 벗나무 잎에는 "쿠마린" 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이는 음식물이 잘 상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벗꽃의 꽃잎에도 약효가 있다. 싱싱한 벗꽃을 따서 꽆잎만을 모아 잘 씻은 다음 꿀을 넣어  버무려 벗꽃청을 만들어 두었다가 차로 마신다.  벗꽃청 15g에 끓는 물을 부어서 우려내어 마신다.  식중독. 기침 치료에 효과가 좋다.

 

겹벗꽃의 꽃봉오리와 꽃을 따서 소금에 절여 두었다가 차로 마시는 풍속도가 있다.

벗꽃차는 화사한 꽃내음을 맡을수가 있어 옛날에는 귀족들이 즐겨 마셨다고 한다.

벗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지라고 할 만큼 흔하지만 우리 민족은 벗나무를 그다지 귀하게 여기지 않았던것 같다.

 

옛 노래나 시 에도 벗나무를 노래 한것이 별로 없고 벗나무에 얽힌 민속도 없다.다만 조선조 효종이 수양벗나무를 서울 우이동에 대대적으로 심게 한 기록이 있다. 이것은 효종이 북벌을 계획하면서 국력을 기르기 위함이었는데 수양벗나무는 탄력이 강하여 활을 만드는데 쓰고 그 껍질은 활에 감아서 손이 아프지 않게 하는데 쓸수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벗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다리아픈 사람이 생긴다는 속설이 있다. 벗나무는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훌륭한 기침 치료약이고 해독제이다.

 

약효와 사용법

 

기침

벗나무껍질을 하루 양 3~5g을 달여 하루세번 복용한다.

 

종기.부스럼

벗나무껍질을 하루양 3~5g을 달여 하루세번 복용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털진득찰의 효능  (0) 2010.03.31
울금의 효능  (0) 2010.03.29
야생 돌미나리의 효능  (0) 2010.03.22
부인병의 성약 꾸지뽕  (0) 2010.03.20
후피향나무의 효능  (0) 2010.03.19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쌍떡잎식물이다.미나리는 크게 물미나리와 돌미나리

로 구분된다.물미나리는 논에서 재배되어 논미나리라고도 하는데 줄기가 길고 상품성이 높다, 보통 미나리라고 칭하는것은 논미나리를 가리킨다.

 

이에 비하여 돌미나리는 본래 계곡의 샘터나 들의 습지 또는 물가에서 야생하는것으로 물미나리에 비하여 줄기가 짧고 잎사귀가 많다.

 

키는 30cm로 자라고 줄기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온다.

잎은 깃털처럼 갈라진 겹잎으로 어긋나며. 잔잎은 톱니가 있다.

 

뿌리에서 바로 나온 잎에는 긴 잎자루가 있으나 줄기에서 나온 잎에는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잎밑이 줄기를 감싼다.

 

흰색의 꽃이 7~9월에 피며 겹산형꽃차례를  이루는데. 하나의 꽃차례에 10~25송이의 꽃이 달린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모가 나 있다.

 

줄기와 잎에서 독특한 향기가 나며 이들을 따서 나물 김치로 만들어 먹거나 다른 요리에 넣어서 먹는다.생잎은 폐렴에 쓰며. 또 미나리 전체를 짓이겨 꿀에 타서 먹으면 황달에 효과가 있다.

 

양지 바른 무논 습지 연못가 등에서 자라는데. 무논에서 자라면 흰색의 긴 줄기를 얻을수 있다.

 

돌미나리란 식용으로 재배하는 물미나리가 아니라 산에서 나는 야생 미나리를 말한다.

 

야생 산 미나리(돌마나리)의 효능

 

해독작용.이뇨작용.이담작용.지혈작용.해열작용이 있어 간장질환(간염.간경화.간암) 황달.부종.고혈압.심장병.식욕부진.두통.구토.변비 치료 예방에도 좋다.

 

술독 .간질환.혈변.하혈.고혈압.월경불순 등에 좋다.

 

술독으로 속이 아플때는 돌미나리 즙을 마신다.

비만을 극복 하려면 식후마다 미나리즙을 마시면 된다.

 

황달이나 간염에는 먼저 야생 산포도(왕머루ㅡ산에서 자라는 포도나무 종류인데 먹지는 못한다) 뿌리 달인 물이나 뿌리나 줄기에서 받은 물을 마시고 심산음지 바위 아래서 돋아난 야생 미나리를 즙으로 내어 매일 세차례 식후나 식전에 한대접씩 마시면 거뜬히 치료된다

 

돌미나리는 비타민이 풍부한 알칼리 식물이다.

고혈압 환자에게 적당하고 해열. 일사병 등에도 효과가 있다.

 

미나리 즙을 마시면 피로 회복이 빠르며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치조농루를 고친다. 또한  즙은 또한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빈혈 냉증을 해소하고 피부를 곱게 해준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의하면 미나리는 황달이나 부인병. 음주후의 두통이나 구토에 특히 효과가 뛰어나다고 한다.

 

또 미나리는 해열.혈압강하 해독작용이 있으며 복수나 부종이 있을때 미나리 생즙을 믹서기에 갈아 먹으면 효과가 있다.

변비에 효험 식물성 섬유가 창자의 내벽을 자극하여 장의 운동을 촉진시킨다.

 

돌미나리의 독특한 향과 맛을 내는 정유성분은 입맛을 돋우어 줄뿐 아니라. 정신을 맑게하고 혈액을 정화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해독 작용도 뛰어나 체내의 각종 독소들을 해독하는 데 특효라 할수 있다.

또 돌미나리는 간장질환이나 생즙 요법에 필수적인 식품. 황달이나 복수가 차는 증상. 기타 급.만성 간염 및 간경변증에 많이 쓰인다.

 

돌미니리의 가장 주목할만한 효능은 혈압을 낮춰주는 기능을 한다는 점이다.

이때문에 고혈압 환자에게는 더 없는 좋은 식품이며. 신경쇠약증이나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지혈효과도 있어 여성들의 햐혈에도 좋고. 담담한 맛이 신에 작용해 소변을 쉽게 보게한다. 그밖에도 빈혈과 변비를 예방과 치료.뇌졸증 의 후유증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나리는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가장먼저 올라오는 식물로 미네랄이 풍부하다.

동의보감

 

황달. 부인병.음주후의 두통이나 구토에 효과적이다.

고혈압.심장병.루머티스.신경통.식용증진.등에 효과적이며 심한 땀띠에도 즙을 내어 바르면 낫는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금의 효능  (0) 2010.03.29
벗나무의 효능  (0) 2010.03.27
부인병의 성약 꾸지뽕  (0) 2010.03.20
후피향나무의 효능  (0) 2010.03.19
질경이(차전자)의 효능  (0) 2010.03.18

부인병에 성약

 

자궁암.자궁근종.위암.식도암.간암.대장암.폐암.부인암에도 효과

꾸지뽕 나무는 봉나무과에 딸린 낙엽소교목. 또는 관목이다.

 

꾸지뽕 나무.활뽕나무 등의 다른 이름이 있고 중국에서는 자 목 또는 상자  상자. 자황 등으로 부른다.  일본에는 이 나무가 없다.

이 나무는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의 들이나 낮은 산지에 드물게 자란다.

 

잎 모양은 둥글고 끝이 뽀족하며 세 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6월에 꽃이 피어서 가을에 둥근 열매가 붉게 익는데 사람이 먹을 수 있고 새들이 즐겨 먹는다. 줄기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붙어 있다.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있어서 수나무에는 열매가 달리지 않는다.

꾸지뽕나무는 뽕나무과에 딸렸지만 뽕나무와는 인연이 약간 멀다.

그러나 이 나무의 잎으로 누에를 먹일수 있다.

 

효능 효과

꾸지뽕나무는 자궁암.자궁근종에 특효약이라 할 만하다.

위암.식도암.간암.대장암.폐암.부인암 등 갖가지 암에 민간요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 가장 탁월한 효과가 있는 질병은 자궁암이다.

여성의 자궁암.자궁근종. 자궁염 등에 놀랄만큼 효과가 있다.

 

꾸지뽕나무는 여성들의 여러가지 질병에 좋은 약이다.

부인의 붕중혈결을 다스리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어혈을 풀고 신장의 결석을 없앤다.또한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맑게 하는 작용이 있다.

 

약성은 따뜻하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은 없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벗나무의 효능  (0) 2010.03.27
야생 돌미나리의 효능  (0) 2010.03.22
후피향나무의 효능  (0) 2010.03.19
질경이(차전자)의 효능  (0) 2010.03.18
금창초의 효능  (0) 2010.03.17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원산지 한국
분 포

 

중국과 일본,인도,보르네오,필리핀에도 분포한다.

전남과 경남의 해변에서 자생하며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에서도 생육한다.

형 태 상록활엽소교목, 수형:종형
크 기 수고 7m, 직경 20㎝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총생하고 혁질이며 도피침형, 피침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3-7cm, 나비 1.5-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엽병은 길이 2-8mm로서 붉은빛이 돈다. 낙엽 직전의 잎은 영양관계로 진홍색이 되는 경우도 있다.

 

꽃 꽃은 양성으로서 7월에 피며 지름 2cm정도이고 황백색이며 엽액에서 밑으로 처지고 꽃받침잎은 난상 원형이며 길이 3-4mm이고 꽃잎은 도란형으로서 길이 5-8mm이며 각각 5개이다. 수술은 많으며 자방은 구상 난형으로서 털이 없고 2실이며 2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열 매 열매는 둥글고 길이 1.2~1.5cm로서 10월에 익으며 과피는 적색이고 상반부가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홍색 종자가 5개씩 들어 있다.
줄 기 가지는 윤생하며 굵다. 수피는 붉은 갈색이 나고, 어린가지는 녹갈색이며 털이 없다. 

뿌 리 직근과 측근이 발달해 있다.

차나무과(茶―科 The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
키는 1~15m 정도 자란다. 수피(樹皮)는 흑갈색으로 매끈하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무리져 있는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짧은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황백색의 꽃은 7월경 잎겨드랑이에서 아래로 처져 핀다. 꽃받침잎·꽃잎 모두 5장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둥글며 10월경 붉게 익어 터지면 붉은색의 씨가 나온다.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 자라는데, 나무 모양이 종(鐘)처럼 단정하게 자라고 잎에 광택이 있어 상록활엽수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나무로 손꼽히며 주로 정원수로 인기가 있다. 그늘진 비옥한 토양이나 해가 비치는 곳에서 잘 자라지만 저녁 해가 비추는 곳은 적당하지 않다.

 

뿌리가 약간 깊게 내리고 거칠기 때문에 옮겨심을 때 주의해야 한다. 인도 등지에서는 줄기를 잘게 썰어서 식체 또는 복통의 치료에 쓰기도 한다. 줄기가 치밀하여 건축재료나 문방구로도 쓰인다.

생약명은 '백화과'이다. 맛은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대창, 옹창의 효능이 있어
잘치유되지 않는 종기, 유선염에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약효와 사용방법

치질
건조잎 1회양 5~10그램을 물 600cc의 1/3의 양이 되도록 달여 이 달인 즙으로 환부를 닦는다.

식중독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돌미나리의 효능  (0) 2010.03.22
부인병의 성약 꾸지뽕  (0) 2010.03.20
질경이(차전자)의 효능  (0) 2010.03.18
금창초의 효능  (0) 2010.03.17
치자의 효능  (0) 2010.03.16

 

 

 

 

차전자는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습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설사를 치료하고

눈을 맑게 하며 담으로 인한 기침을 치료하는 효능을 지닌 약재이다.

 

주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이나 간에 열이 성하여 눈이 침침하고 아픈 데,

폐에도 열이 있어서 가래가 생기고 기침 등의 증상에 주로 응용되며,

간과 폐의 열을 소변과 같이 밖으로 배출하여 각 장부에 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이밖에도 혈압강하 작용 역시  있다.

 

길가에 너무 흔하게 있기에 이게 약이 될까? 하지만 흔하면서도 한방에서의 쓰임은 매우 긴요하다. 

그 어떤 풀잎하나도 약이 되지 않는 것은 없는 듯 하다.

 

 

증상 및 복용법

급, 만성 세균성 이질

질경이를 달여 한번에 60~200그램씩 하루 3~4번 일 주일쯤 먹으면 대개 치유됨

 

피부궤양이나 상처

찧어 붙이면 고름이 멎고 새살이 빨리 돋아나옴

 

 

만성간염

질경이 씨 한 숟가락에 물 200㎖를 넣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고혈압

그늘에서 말린 질경이 10~20그램에 물 반 되를 붓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기침, 가래

질경이 씨 10~20그램이나 말린 질경이 10~20그램에 물 반 되를 붓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차 대신 마신다. 어린이의 기침에 잘 듣는다.

 

 

설사, 변비, 구토

질경이를 날 것으로 생즙을 내어 마신다. 미나리를 같이 넣어도 좋다.

 

 

늑막염

말린 질경이와 창포 각 10~15그램에 물 반 되를 넣고 달여서 마신다.

질경이 생 잎에 소금을 약간 넣고 짓찧어 즙을 내어 밥먹기 전에 먹어도 좋다.

 

 

급, 만성 신장염

질경이 뿌리와 오이 뿌리를 3:1의 비율로 섞은 다음

물을 반 되쯤 붓고 물이 반쯤 줄 때까지 달여서 체로 걸러 찌꺼기는 버리고

한 번에 한 잔씩 하루 세 번 빈 속에 먹는다.

 

 

부종

질경이 씨와 삽주 뿌리 각각 50그램에 물 한 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 번 밥먹고 나서 30분 뒤에 마신다.

 

 

두통, 감기

질경이를 진하게 달여서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신다.

하루 20~30그램을 쓴다. 2~3일 마시면 대개 낫는다.

 

 

관절염

무릎관절에 물이 고이고 퉁퉁 부어 오르며 아플 때

질경이 20~30그램에 물 1되를 붓고 달여서 차 대신 수시로 마시면 좋은 효험이 있다.

 

늘 차로 마시면 예방에 좋다

 

 

증상

각기 . 간염 . 감기 . 강심제 . 거담 . 고혈압 . 곽란 . 관절염 . 기침 . 늑막염 . 다래끼 . 딸꾹질 . 신장결석 . 안질 . 요도염 . 요통 . 충치 . 토사곽란 . 폐결핵 . 혈변 . 백일해 . 급만성 신장염 . 부종 . 노인성 배뇨곤란 . 음경동통 . 신장염 . 복수증상 . 등등..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인병의 성약 꾸지뽕  (0) 2010.03.20
후피향나무의 효능  (0) 2010.03.19
금창초의 효능  (0) 2010.03.17
치자의 효능  (0) 2010.03.16
혈압내리고 간 보호하는 수송나물 나문재  (0) 2010.03.14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경상도 전남 및 제주도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가 옆으로 뻗고 전체에 다세포의 털이 있다.

 

근생엽은 방사상으로 퍼지며 짙은 녹색이지만 흔히 자주빛을 돌고 밑으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둔 한 파상(波狀)의 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잎은 길이가 1.5~3cm로서 대생(對生)한다.

꽃은 5~6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으로서 엽맥(葉脈)에 몆개씩 달리고 꽃이 피는 줄기는 4~6개가 높이는 5~15cm 정도로 곧추 자라며 몇쌍의 잎이 달리고 자줏이 돈다.

 

꽃받침은 5개로 가라지며 털이 있고 화관은 길이 1cn정도로서 윗부분의 것은 중앙부가 오그라들거나 갈라지고 밑부분의 것은 3개로 갈라지며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고 끝이 얕게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며 사분과는 길이는 2mm 정도로서 그물맥이 있다.

원줄기와 잎을 상처와 설사에 사용한다.

 

약효

止咳(지해), 化痰(화담), 淸熱(청열), 凉血(양혈),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기관지염,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赤痢(적리), 淋病(임병), 咽喉腫痛(인후종통), (정창), 癰腫(옹종), 타박상을 치료한다.

 

기침. 거담. 해열.  하리를 멋게 하는데.

하루 10~15g을 물 400cc에서 1/3 정도의 분량이 되도록 달여 3회에 나누어 하루 세번 복용한다.

 

건위. 종통. 옹종

1일 양으로 해서 위와 똑같은 분량. 용법으로 복용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피향나무의 효능  (0) 2010.03.19
질경이(차전자)의 효능  (0) 2010.03.18
치자의 효능  (0) 2010.03.16
혈압내리고 간 보호하는 수송나물 나문재  (0) 2010.03.14
쐐기풀의 효능  (0) 2010.03.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