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 잘 드는 강가나 모래밭. 산기슭.들판. 풀밭 등에 무리지어 자라는 여러해 살이 풀이다.
5~6월에 줄기끝에 벼와 비슷한 줄 모양의 잎 사이에서 둥근 기둥 모양의 좁은 원추꽃 차례가 30~80cm길이로 꽃 이삭이 달리는데 은백색을 띠는 비단 실 같은 털에 쌓여서 보기에도 대단히 아름답고 눈을 즐겁게 한다.
어린 꽃 이삭은 뺄기,삐삐.삠비기 라고도 부르며 시골 어린이들은 꽃이 피기 직전에 어리고 부드러운 꽃 이삭을 뽑아서 먹는데 씹으면 단 맛이 난다. 필자도 이릴때 먹어 본적이 많다.
씨가 여물면 이삭이 솜털뭉치처럼 되며 솜털이 달린 씨는 바람에 날려 종족을 퍼뜨린다. 띠의 뿌리를 말리면 색이 하얗다고 해서 생약명으로 백모근(白茅根)이라고 한다.
띠의 뿌리의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성분
뿌리줄기에 트리테르페노이드인 아룬도인. 실린드린.페르네놀 C15H260. 이소아르보니놀. 시미아네놀이 있다.또한 당분 18.8% (대부분은 포도당이다.)
칼륨 0.7% 사과산.레몬산.초산. 탄린질 3.1% 플라보노이드 0.2% 쿠마린.0.15% 알란토인이 있다. 지상부에는 탄닌질 2.6% 플라보노이드 0.4% 쿠마린이 0.1%가 들어 있다. 테르펜으로는 파르네솔이 있다.
효능
해열. 이뇨.소염.지혈.발한 작용이 있다. 열성병의 번갈.토혈.코피의 지혈작용. 폐열로 인한 천급과 소변불리 등을 치료한다.
민간에서는 급성 신장염. 임신 부종에 백모근을 1일 15그램을 물로 달여 마시면 효험이 있다.
또한 꽃 이삭의 털을 찰과상이나 절상의 환부에 붙이면 지혈효과가 있고. 코피가 날때 콧구멍에 솜 대신 틀어 막아도 효험이 있다.
복용법
백모근 600g. 목단피 600g. 양파 1kg에 물 18리터를 붓고 푹 끓인 다음 차처럼 수시로 마신다.
혈열(血熱)을 내리고 피를 맑게 하는데 효과가 크다.
관련문헌
북한에서 펴 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에서는 띠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봄 또는 여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뿌리 줄기의 달임약은 동물 실험에서 이뇨 작용이 있다.
동의치료에서 오줌내기약으로 쓰는 저령. 으름덩굴줄기.백복령과 비교하면 띠 뿌리줄기가 가장 센 이뇨작용을 나타낸다.
임상실험에서도 이뇨작용이 밝혀졌으며 콩팥염. 부기.콩팥염으로 인한 고혈압을 치료하는데 부작용은 없다. 잎과 줄기도 이뇨작용이 있다.
고혈압에는 말린 띠뿌리 100g을 하루 양으로 달여 식후 30분 하루 3번 나누어 복용하며 10일간 계속하고 5일간 휴식하는 것을 3번 반복한다.
피를 토하거나 코피, 혈뇨, 부정자궁 출혈, 임증, 황달, 소갈, 월경이 없는 증상과 타박상, 고혈압, 간염에 띠뿌리 20~30g을 물에 달이거나 띠뿌리 15g, 율무 10g을 물에 달여 하루 3~4회 식후 먹는다.
만성간염으로 소화가 안되고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데와 설사를 하는 증상에 띠뿌리 32g, 보리길금 16g, 조뱅이와 솔잎풀 각 10g, 대추 5알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아침저녁으로 밥먹기 전에 먹는다.
급성간염으로 황달이 있으면서 몸이 붓고 소변이 원활하지 않을 때, 심장성과 신장성 부종, 복수에는 띠뿌리 백출 각각 12g을 끓여 하루 세번 먹는다.
급성 신장염으로 몸이 붓고 혈압이 높은 사람에게는 수박껍질 40g, 띠뿌리 60g을 달여 하루 세번 먹는다.
각혈이 멎지 않는 때에는 띠뿌리 한 줌을 물에 달여 마시거나 날 띠뿌리를 찧어 생즙을 내어 하루 180cc씩 마신다.
어린아이가 보채고 울며 심한 짜증을 부릴 때에는 띠꽃 이삭을 달여 먹이면 좋은 효과를 본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수유나무(산쵸)의 효능 (0) | 2010.02.11 |
---|---|
야생산도라지의 효능 (0) | 2010.02.08 |
참나리의 효능 (0) | 2010.02.05 |
자작나무의 효능 (0) | 2010.02.04 |
측백나무의 효능 (0) | 201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