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치의 생약명은 자초,자근이라 하고,속명은 주치,지치,자근,지혈등 이라한다.
지치는 그 뿌리에서 보라색 물감을 얻는 까닭에 우리 겨레와는 퍽 친숙한
식물이다. 지치는 노란색과 붉은색 물감을 얻는 홍화, 파란색 물감을 얻는 쪽과
함께 우리 선조들이 염료식물로 즐겨 가꾸어 왔다.
지치 뿌리에서 얻은 보라색 물감을 자주빛 또는 지치보라라 하여 특별히 귀하게 여겨 왕실이나 귀족들만 지치로 염색한 옷을 입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지치가 염료로서보다는 약용으로서의 쓰임새가 훨씬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않다.
지치는 놀랄만큼 다양하고 뛰어난 효능을 지닌 약초다. 아마 단방으로 쓸수 있는 약초 중에서 지치보다 훌륭한 약효를 지닌 것도 달리 없을 것이다. 민간에서는 오래 묵은 지치는 산삼에 못지않은 신비로운 약효를 지닌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지치는 우리나라 각지의 산과 들판의 양지 바른 풀밭에 나는데, 예전에는 들판
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지만 요즘은 숲이 무성하게 우거지면서 햇볕이 잘 드는
깊고 높은 산속에 들어가지 않으면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매우 희귀해졌다.
지치는 뿌리가 선명한 보라빛을 띤다. 그래서 자초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굵고 진한 보라빛 뿌리가 땅속을 파고들면서 자라는데 야생 지치는 나사 모양
으로 한 두번 꼬이면서 자라고 재배한 것은 곧게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오래 묵은 것일수록 보라빛이 더 짙고 약효도 더 강하다.
지치는 신비로운 힘이 있는 풀이다.
겨울철 산에 눈이 쌓이면 지치가 있는곳 주변에는 눈이 빨갛게 물이 든다.
지치 뿌리에서 뿜어 올리는 강력한 붉은 열기가 하얀 눈을 빨갛게 물들이는
것이다. 노련한 약초꾼들은 이른 봄철 눈이 녹기 전에 산에 올라가서 눈이
빨갛게 피처럼 물든 것을 보고 지치를 캐어 낸다.
지치는 하늘과 땅의 음한 기운을 받아 화생한 약초인 까닭에 여성의 자궁처럼 생긴 장소에 많이 난다.지치는 10년 넘게 자란 야생 지치라야만 약효가 있다. 사람이 인공으로 재배한 것은 물감을 만드는 데나 쓸 수 있을 뿐 약용으로는 가치가 전혀 없다. 지치는
그 상서러운 보라빛처럼 신성한 약초이다. 지치야말로 오래 복용하면 사람의 체질을 근복적으로 바꾸어 온갖 질병을 치료해 주는 약이라고 할 수 있다.
지치는 한방에서보다 민간에서 더 귀한 약으로 여겨 왔다. 50-60년 전만 해도
지치를 구하여 두고 오래 복용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특히 전라도 지방의
토호나 선비들은 가을 김장 준비는 못해도 지치는 구해야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지치를 귀한 보약으로 여겼다. 지금도 간혹 공부를 하는 숨은 유학자
중에 지치를 오래 복용하여 얼굴빛이 곱고 건강하게 사는분을 만날 수 있다.
지치는 약성이 차다.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 준다.
특히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다. 갖가지 암, 변비,
간장병,동맥경화증, 여성의 냉증, 대하, 생리불순 등에도 효과가 있으며 오래
복용하면 얼굴빛이 좋아지고 살결이 고와지며 나이가 들어도 잘 늙지 않는다고
한다. 지치의 약성은 매우 다양하다. 지치로 담근 술을 오래 마시면 정력이
놀랄만큼 강해지고 비만증을 치료하는 데도 지치가 효과가 좋다.
지치는 뱃속에 덩어리가 뭉쳐 있기 쉬운 40대 이후의 여성들에게 제일 좋은
건강보조식품이라 할만한 것이 지치이다. 지치는 해독효과도 좋으며 여러가지
약물중독, 항생제중독, 중금속중독, 농약중독, 알콜중독 환자에게 지치를
먹이면 효과가 좋다.
또한 심장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도 있고 늘 가슴이 두근거리고 잘 놀라는 사람, 심장에 가끔 뻐근하게 통증이 있는 사람, 현기증이 있는 사람한테도 좋은 효과가 있다.
지치는 심장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악성빈혈이나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도 6개월에서 1년쯤 꾸준히 먹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
신장기능이 좋지 않아 손발이 자주 붓고 소변을 자주 보며 살결이 거칠고 얼굴이나 허리등에 군살이 덕지덕지 붙은 사람도 지치를 꾸준히 먹으면 많은 도움이 되고 살결이 고와지며 부종이 없어지는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지치의 검증된 약성들
자색 색소인 리토스페르뭄로트(C H O )와 아세틸시코닌(C H O )시코닌
(C H O ) 이소부틸시코닌 , '-디메틸아크릴시코닌, -보르네시톨이 들어 있다.
아세틸시코닌은 물분해에 의하여 시코닌(C H O )으로 된다. 시코닌의 구조는
알카닌과 같다. 폴리폐놀산인 지치산도 들어 있다. 이노시톨, 루틴, 니트릴
배당체 등이 들어 있다.
지치의 약성
향약집성방에서 지치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명치 밑에 사기가 있는 것과 다섯 가지 황달을 치료하고 비위를 보하며 기운을 돕는다. 또막힌 것을 잘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배가 부은 것, 아픈 것 등도 치료한다. 고약에 섞어 어린이의 살이 헌데와 얼굴에난 뾰루를 치료한다
동의학사전에서 지치는 심포경, 간경에 작용한다. 혈분의 열을 없애고 독을 풀며 발진을 순조롭게 한다. 또한 혈을 잘 돌게 하고 대변을 잘 누게 하며 새살이 빨리 돋아나게 한다. 예전에는 홍역의예방과 치료에 주로 써왔으나 지금은 홍역이 없으므로 화농성 피부질환에 주로 쓴다.
또한 변비, 소변장에, 화상, 동상, 상처, 습진, 자궁경부미란 등에도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여 먹는다. 설사하는 데는 쓰지 않는다
신초 본초학에서 지치는 청열. 해독. 소염제로서 홍역의 예방과 치료 및 두창,성홍열, 단독, 패혈증, 악창 같은 일체의 급성염증과 화농성 질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화상, 동상, 습진에도 쓴다고 적혀 있다.
법제법
봄,가을,겨울에 뿌리를 채취한다.
지치는 겉껍질에 약성이 모여 있으므로 물로 씻으면 약성이 씻겨 나가 약효를
잃어버리게 되므로 물로 씻어서는 안 된다. 부드러운 솔이나 망가진 칫솔
같은 것으로 뿌리에 붙은 흙을 털어 내고 그늘에서 말리되 하루에 한 번씩
증류하여 만든 소주나 청주를 뿌려 주면서 말려야 한다. 하루에 술을 한 번씩
뿌려 주면서 9일 동안 말리면 좋 다. 따뜻한 방안 같은 데서 말리면 된다.
지치 뿌리를 물로 달이는 실험에 의하면 자르는 두터이를 6㎜로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달임약의 성분함량이 높아진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오동나무의 효능 (0) | 2010.02.18 |
---|---|
산해박의 효능 (0) | 2010.02.15 |
오수유나무(산쵸)의 효능 (0) | 2010.02.11 |
야생산도라지의 효능 (0) | 2010.02.08 |
백모근(띠)풀의 효능 (0) | 201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