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내리고 간 보호하는 수송나물, 나문재
나문재는 수송나물과 비슷하다. 잎이 솔잎처럼
좁고 가늘어서 ‘갯솔나무’라고도 부른다.
잎 모양이 수송나물과 닮았지만 키가 더
크고 가지를 더 많이 치는 것이 다르다.
서해안,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이 이 나물을 즐겨 먹는다.
수송나물은 바닷가 모래밭에서 흔히 자라는 잡초이다.
어린순이 솔잎과 닮았으므로 ‘가시솔나물’이라고도 부른다.
수송나물은 잎과 줄기가 다육질인데 어린 것은
부드럽고 연하지만 자라면 굳어져서 잎 끝이
가시처럼 되어 따끔할 정도로 살을 찌른다.
수송나물은 아직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영양이 풍부하고 맛도 좋은 최고급 나물의 하나다.
수송나물의 어린순은 삶아도 녹색이 파랗게
그대로 남아 있으며 사각거리는 맛이 독특하고 담백하여 별미다.
또 수송나물에는 칼슘, 나트륨, 인, 칼륨, 철 등 갖가지
미량 원소와 비타민 A, B1, B2, C 등도 매우 풍부하다.
어린순과 잎을 따서 삶든가 데쳐서 나물로 무쳐도 맛이 있고,
샐러드를 만들거나 볶아 먹어도 좋다. 찌개나 국거리로도
훌륭하며 튀김으로도 먹을 수 있다.
수송나물은 혈압을 내리며 해열, 해독 등의
약효가 높아 건강식품으로도 일품이다.
수송나물을 말려서 가루 내어 알약을 만들어
하루에 10∼15그램씩 먹으면 고혈압, 위염, 위궤양,
장염, 장궤양 등에 효과가 높다.
간을 튼튼하게 하고 몸 안에 쌓인 독을
풀어 주는 효과도 탁월하다.
봄철 몸이 나른하고 입맛이 없을 때 수송나물을
반찬으로 먹으면 곧 기력과 입맛을 되찾게 된다.
수송나물은 장 속에 쌓인 중성지방질을 분해하여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하므로 숙변을 제거하고
비만증을 치료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수송나물은 말려 가루낸 것을 하루 30∼40그램씩
먹으면 대개 한 달에 5∼10킬로그램쯤 몸무게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수송나물과 비슷한 약초로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솔장다리 등이 있다.
이들은 대개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의
개펄이나 모래밭에 자라는 식물로 모두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고, 약초로서의 쓰임새는
수송나물과 거의 비슷하다.
나문재속에는 세계 각지의 해안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3종이 있다.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갯나문재)을 말한다.
수송나물속은 주로 소금기 있는 토양이나 해변에
많이 나며, 특히 북반구에 많고, 전세계적으로 약 100종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2종이 있는데, 솔장다리, 수송나물이 있다.
함초로 불리는 퉁퉁마디속은 전세계에 약 3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퉁퉁마디 1종이 서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