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생강과 울금속의 다년초에 봄에 핑크색 꽃을 피우는 "춘울금"과 가을에 흰색의 꽃을 피우는 "추울금" 2종류가 있다. 모두 다 지상부는 파초와 비슷한 형태로 높이 1.5m, 생강을 닮은 큰 뿌리가 있으며, 가끔 이 뿌리의 털 끝에서 큰 뿌리가 나기도 한다.
뿌리를 파서 잘라 보면 양쪽 다 높은 방향성이 있고 안의 색깔이 다르며 춘울금은 선황색, 추울금은 오렌지색을 보인다. 건조한 분말을 보면 이러한 차이를 잘 알 수 있다. 또한 춘울금은 약간 매운맛과 쓴맛이 있고 추울금은 쓴맛이 없다.
뛰어난 약효를 발휘하는 생약으로 이용되는 것은 춘울금의 뿌리로 양자의 구별을 확실히 할 수 있게 된 것은 근래의 연구성과이다. 볼래의 카레가루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의 주성분이 추울금으로 특유의 맛과 향이 티메릭이라는 향신료의 주성분이다. 각종 식품의 황색 착색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중국 약초서의 고전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울금과 관련이 있는 "울금(鬱金)"과 "강황(姜黃)" 2가지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울금에 대해서는 "피를 멈추게 하고 나쁜 피를 제거함. 혈임,요혈,금창을 치료함" 강황에 대해서는 "기를 낮추고, 피를 제거하고, 풍열을 제거하고, 피뭉침을 치료, 공력(효력)은 울금보다 강하다"고 기술했다. 또한 전통적으로 중국에서는 춘울금의 뿌리를 "강황"이라고 한 것을 보면 여기서 "공력(효력)은 울금보다 강하다"라고 기술한 것으로 볼 때 강황은 춘울금이라고 여겨진다.
생리를 통하게하고 타박상과 어혈을 낫게하고 산후에 패혈이 심 을 친것을 치료하는데 아주 효력이 있고 일명 편자강황이라 한다 효력이 울금보다 더매우니 썰어서 초에 뽁아서 쓴다 성분이 뜨겁고 맛이 맵고 쓰며 독이 없다. (징가) (혈괴) (옹종)을 주로 치료하고 (통월경)하며 (타박어혈)을 (파냉제풍)하며 (기장)을 치료한다. 해남에서 나는 것은 봉아무라 하고 강남에서 나는 것은 강황이라 한다.<본초> 효력이 울금보다 더 매우니 썰어서 초에 볶아서 쓴다
울금(鬱金)의 주요 성분 및 효능효과
커큐민(curcumin) . 간기능강화, 담즙분비촉진, 위궤양 원인균(피료리균)살균,
이담작용, 이뇨작용, 암예방, 항암, 멜라닌 색소방지.
메치돌 ; 이루카비놀 .간기능향상, 담즙분비촉진.
투메론 ; 담즙분비촉진, 이담, 향균, 살균, 항염작용.
아즐렌 ; 항염, 항궤양, 건위, 종양개선, 위 십이지장 궤양 치료.
캄 파 ; 강심, 건위, 살균, 항균.
미네올 ; 위 소화 효소 분비촉진, 살균, 항균작용, 이담작용.
강심제 ; 강심작용, 건위, 살균, 방부작용.
팔라듐,메치르톨,이르카르비노르 ; 담즙 배출 촉진, 간기능 강화.
후라포노이드 ; 모세혈관보호.
a-크루크멘 ; 이담작용, 고혈압, 담관결석, 고지혈증, 동맥경화 예방개선,
항 콜레스테롤.
b-에레멘 ; 종양증식억제.
크루크모를 ; 항 종양작용,중국-자궁경 암의치료.
무기영양소 ; 영양소 대사촉진.
식물섬유 ; 장운동 활성, 억균작용, 다이어트 등 약 100 여가지 성분 함유.
울금의 효능
울금(鬱金)은 비장(脾臟)과 간(肝)에 작용한다.
위장 ; 위산분비 조절, 위염, 건위, 위궤양.
간장 ; 담즙분비촉진, 간 해독 기능향상, 담낭결석, 황달, 간장질환, 담관염,
간염 (만성간염, B,C 형 간염).
자궁 ; 생리불순, 월경통, 자궁근종, 산후복통, 무월경.
심장 ; 동맥경화, 혈행활성, 관상동맥 반 괴형성 감소, 강심작용, 고혈압.
기타 * 항산화작용 - 노화예방, 항염작용, 항균작용.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깨의 효능 (0) | 2010.04.01 |
---|---|
털진득찰의 효능 (0) | 2010.03.31 |
벗나무의 효능 (0) | 2010.03.27 |
야생 돌미나리의 효능 (0) | 2010.03.22 |
부인병의 성약 꾸지뽕 (0) | 2010.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