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 치료, 어혈을 없애는 효과가 탁월 어혈 없애고 비인암, 위암,

장암 치료에 탁월한 효능

 

왕과의 어린 싹은 나물로도 먹는다. 데쳐서 무쳐 먹거나 기름에 튀겨 먹는다. 뿌리로 반찬을 만들어 먹거나 전분을 추출하여 먹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왕과 뿌리로 만든 음식이 꽤 여러 가지가 있다. 중국 강서(江西)지방 사람들은 왕과를 재배하여 식용으로 쓴다.

왕과는 어혈을 다스리고, 옹종을 없애며, 진액을 늘려 주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등 약리 효과가 다양한 식물이다. 우리 나라 중·남부지방 곳곳에 자라고 있으나 약이나 식용으로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왕과 뿌리는 특히 술로 인하여 간이 나빠지고 황달이 와서 열이 심하게 나는 증세에 효과가 있다. 왕과는 대개의 사람들이 잊고 있지만 여러 난치병에 좋은 효과가 있는 토종 약재다. 왕과(王瓜)는 외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잎 모양이 참외 잎을 닮았다.

 

우리 나라 중·남부의 들이나 숲 가장자리에 자생한다. 쥐참외, 주먹참외, 토과(土瓜), 태적포(台赤包), 기포(氣包) 등으로 불리 우며 열매 모양이 참외와 닮았으나 익으면 주홍빛이 나고 크기는 작은 달걀 만하다.

 

꽃은 6∼9월에 피고 9∼10월에 열매가 익으며 열매 속에 까만 씨앗이 들어 있다. 뿌리, 열매, 씨앗을 약으로 쓴다.

 

왕과 뿌리는 감자나 하눌타리 뿌리를 닮았는데 맛은 마와 비슷하고 색깔이 몹시 희다. 왕과 뿌리는 황달과 간경화, 변비, 소변이 잘 안 나오는 데, 당뇨병 등에 효과가 크다.

 

간염이 오래되어 간경화가 된 데에는 왕과 뿌리를 즙을 내어 아침마다 한잔씩 마신다. 오후에 소변이 노랗게 나오면 낫는다. 왕과 뿌리는 성질이 차고 맛은 쓰다.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진액을 늘려 주며 어혈을 없앤다.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부인의 젖을 잘 나오게 하며 뼛속에 물이 고인 것을 밖으로 내보낸다. 말린 것은 하루 6∼15그램, 생것은 60∼150그램을 달여 먹거나 즙을 내어 먹는다.

 

왕과 열매는 가을에 열매를 따서 쪼개어 말려서 쓴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심경, 신경에 들어간다. 당뇨병, 황달 만성인후염 등에 하루 3∼15그램을 가루 내어 먹거나 알약으로 만들어 먹는다.

 

동상이나 화상 또는 신체의 한 부분이 마비되었을 때 왕과를 날것으로 쪼개어 마찰하면 신기하리 만큼 효과가 있다.

 

또, 왕과 줄기를 뿌리 위에서 자르면 물이 많이 나오는데 이 물을 받아 미용수로 쓰면 살결이 옥 같이 고와지고 하얗게 된다. 왕과 씨앗은 맛이 시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폐

 

폐경, 대장경에 작용하므로 기침을 멎게 하고 폐를 튼튼하게 하며 황달을 다스린다. 씨앗을 볶아서 쓰면 토혈, 구토, 장풍, 여성의 적·백대하 등에 효과가 있다.

 

왕과는 어혈을 없애는 효과가 탁월하므로 종양 치료에도 쓸 수 있다. 왕과에 들어 있는 쿠쿠르비타신이라는 성분은 암세포의 호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인암, 위암, 장암 등에 씨앗이나 뿌리를 쓰는데 특히 왕과 뿌리는 말기 암 환자의 통증을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크다. 왕과 뿌리 말린 것을 0.5∼2그램씩 씹어서 복용하였더니 5∼30분 뒤부터 30분에서 72시간 동안 진통 효과가 계속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야초의 종류  (0) 2009.03.29
수세미의 효능  (0) 2009.03.27
귀룡나무의 효능  (0) 2009.03.23
목향  (0) 2009.03.22
부들(포황)의 효능  (0) 2009.03.21

 

구룡목 <귀룡목,귀롱나무>


신경계, 운동계 질환을 다스리며 통증에 효험이 있다.


귀룡나무 효능


관절염(關節炎)

잔가지 6~8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관절통(關節痛)

잔가지 6~8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설사(泄瀉)

잔가지 6~8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요통(腰痛)

잔가지 6~8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만성요통).

 

진통(陣痛)

잔가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척추질환(脊椎疾患)

잔가지 6~8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풍(風)

잔가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풍비(風痺)

잔가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재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풍습(風濕)

잔가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간질환

잔가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치유되는데로 복용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세미의 효능  (0) 2009.03.27
쥐참외(왕과)의 효능  (0) 2009.03.25
목향  (0) 2009.03.22
부들(포황)의 효능  (0) 2009.03.21
접시꽃의 효능  (0) 2009.03.20

 

목향은 산삼(山蔘)이나 감초(甘草)처럼 일반인들이 잘 알고 있는 친근한 약재는 아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유럽과 북아시아에 분포한다.

높이는 0.8~2m까지 자라며 전체에 털이 나있고 약초로 재배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7~8월에 지름 5~10cm의 황색꽃이 핀다.

어린 순은 식용으로도 사용가능하며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성질이 점성(粘性)을 가지고 있어 끈끈한 느낌을 주는 약재다.

시중에서는 찰진 것이 양품(良品)이라고 주장하기도 하고

또는 회백색의 점성이 없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다.

 

약성이 따뜻하여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헛 배부른 증상, 구토,

설사 등에 좋은 치료 반응을 나타낸다.

이질에도 효력이 있고, 목에 무언가가 붙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고환이 차서 일어나는 통증과 고환염에도 효력이 있다.

열을 다스리거나 오줌량을 조절해주는 발한·이뇨·거담제로도 사용한다.

외용으로는 치출혈 및 항문주위 종창 또는 독충, 독사뱀 물린 상처

등에 해독약으로 쓴다.

또 민간요법으로는 즙을 만들어 마시면 소화제로 되고 니코틴의 해독제로도 쓰며 담즙과 함께 협동작용을 일으켜 황달의 치료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목향은 먼지와 잡질이 많이 섞여 있기 때문에 탕제에 넣을 때는

오래 다리지 않는 것이 좋다.

 

 

목향차

오래 마시면 속 편하고 잠 잘온다.

목향의 뿌리로 차를 만들어 복용할 수도 있다. 뿌리에는 단맛이 풍부한 이눌린(inulin)이 들어있고 함량은 가을철에 가장 많아 44%에 달한다. 그밖에 정유(精油)가 함유돼 이를 목향유(木香油)라 한다.

가을에 뿌리를 채위해 물에 씻어 적당히 썰어 그늘에서 말린다. 잘 마르
면 불에 약간 볶아서 곱게 가루를 내 유리병에 넣어두고 뜨거운 물에 꿀이
나 설탕과 함께 타서 하루 2~3회 마신다.

목향차는 위장, 특히 대장을 튼튼히 하는데 유효하며 오래 마시면 속이
편하고 잠도 잘오는 효과가 있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참외(왕과)의 효능  (0) 2009.03.25
귀룡나무의 효능  (0) 2009.03.23
부들(포황)의 효능  (0) 2009.03.21
접시꽃의 효능  (0) 2009.03.20
해당화의 효능  (0) 2009.03.19

 

부들

외떡잎식물 부들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습지에서 자라며 식물의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높이 1-1.5m로서 털이 없으며 밋밋하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80~130cm, 폭 5~10mm로서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감싸고 있다,

 

꽃은 7월에 피고 웅화수는 윗부분에 달리며 길이는 3~10cm이고 자화수는 바로 밑에 달리며 길이 6~12cm이고 화수에 달린 포는 2~3개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에는 화피가 없으며 밑부분에 수염같은 털이 있고 수꽃은 황색으로서 화분이 서로 붙지 않는다.

 

암꽃은 소포가 없으며 자방에 대가 있고 암술머리는 주걱 비슷한 피침형으로서 자방 밑에서 돋은 털과 길이가 비슷하다. 핫덕(Hot-Dog) 비슷한 모양의 과수(果穗)는 길이 7~10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적갈색이 난다. 근경은 옆으로 뻗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특히 키가 크기 때문에 돗자리, 방석, 물건을 덮거나 햇빛을 가리는 뜸, 비올 때 우산 구실을 하는 도롱이 및 짚신, 부채 등을 만드는 데 사용했다. 부들로 만든 돗자리를 부들자리 또는 늘자리라 한다. 부들은 질기고 탄력성이 있어 방석이나 돗자리로도 많이 만들어 썼다. 꽃가루받이가 일어날 때 부들부들 떨기 때문에 부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부들의종류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부들에는 4종류가 있다. 큰부들, 부들, 애기부들, 좀부들이 그 것이다 좀부들은 암꽃의 화서가 비엔나 소시지 모양으로 타원형을 하고 있다. 부들과 애기부들이 다년초인데 비해 좀부들은 1년초이며 얕은 물이 있는 곳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좀부들은 최근에 중부지방에 서식하는 것이 밝혀진 북방계 식물이다. 잎의 모양도 가늘고 전체적으로 규모가 작은 수초이다.

효능

꽃가루를 햇볕에 말린 것은 포황(蒲黃)이라 하여 한방에서 지혈·산후조리에 사용한다. 또한 혀가 부을 때 꽃가루를 혀에 뿌리면 가라앉는다고 한다.
 

6∼7월에 익는 부들 꽃가루는 노란 색이고 위쪽 수꽃 화서를 온통 황색으로 뒤덮는다. 수꽃의 꽃가루주머니가 벌어지기 전에 수꽃만을 잘라 비닐 같은 것을 깔고 말리면 노란 꽃가루가 떨어진다. 줄기를 잡고 가볍게 흔들면 많은 꽃가루를 얻을 수 있다. 바람이 없는 날에 작업을 하는 것이 좋고 큰 비닐 봉지에 넣어서 작업을 하면 날아갈 염려가 없다.

 

한방에서는 이 꽃가루를 포황(蒲黃)이라 한다. 중요 성분으로는 이소 람네틴(Iso rhamnetin), 팔미틴 산, 스테아린 산과 약간의 지방질로 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이뇨제, 지혈제, 통경제, 염증 치료제로 쓴다. 특히 산후 복통, 폐경으로 아랫배가 늘 더부룩할 때 포황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으로는 잎을 달여 당뇨병에 쓰고 방부제, 염증 치료제로도 쓰인다. 특히 상처가 곪았을 때 포황을 뿌리면 상처 부위가 빨리 아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철 돋아나는 어린 싹을 나물로 했다는 기록도 있다. 중국 동북지방에서는 지금도 요리의 재료로 쓰인다. 그러나 독성이 있으므로 해독 방법을 터득하지 않고 함부로 먹어서는 안된다.

 

근경은 근경대로 약재로 쓴다. 잎줄기의 아래쪽 흰 부분과 근경을 한데 달여 장출혈, 괴혈병, 사마귀와 종기를 치료하는데 쓴다. 처방으로는 부인병에 부들꽃가루(蒲黃)와 당귀, 생지황 각각 5g에 호박, 작약, 계피 각 2g를 200㎖ 되게 달여 하루 3번씩 나누어 마신다. 바로 포황산(蒲黃散)이다. 포황은 약간의 독성이 있으므로 임산부는 쓸 수 없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룡나무의 효능  (0) 2009.03.23
목향  (0) 2009.03.22
접시꽃의 효능  (0) 2009.03.20
해당화의 효능  (0) 2009.03.19
봉선화의 효능  (0) 2009.03.18


 

접시꽃

촉규화,백규화,적규화
부인질병에 명약이다. 임질, 냉 대하, 대소변이 잘 안 나올 때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접시꽃은 아욱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이 원산지며 곷이 아름다워서 정원에 흔히 심는다. 키는 2m 넘게 자라고 잎은 넓은 심장 꼴로 6~7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6월에 무궁화를 닮은 크고 납작한 꽃이 핀다. 꽃 빛깔은 붉은 빛, 흰 빛, 자줏빛 등이 있는데 대개 흰 꽃이 피는 것을 약으로 쓴다.

약성 및 활용법

접시꽃 싹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봄철에 어린순을 데쳐서 무쳐 먹거나 튀겨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 맛이 달고 성질은 약간 차다고 옛 책에 적혀 있다. 오래 먹으면 좋지 않다고 하며, 개고기와 함께 먹으면 몸에 병이 생겨 영영 낫지 않고, 돼지고기와 함께 먹으면 얼굴색이 나빠진다고 하였다.

접시꽃은 꽃, 잎, 뿌리를 모두 약으로 쓴다. 옛 책에는 접시꽃은 맛이 짜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으며 열을 내리고 장과 위를 이롭게 하며 심기부족을 다스린다고 적었다.

접시꽃 싹을 짓찧어 불에 덴 상처에 붙이면 잘 낫는다. 접시꽃 씨앗은 임질과 낙태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주종과 모든 옹, 종기, 창을 치료한다.

접시꽃의 뿌리는 대하증을 치료한다. 자궁염으로 고름 섞인 피가 나오는 것과 자궁 속의 좋지 않은 것을 없애는 데 효험이 크다. 붉은 꽃이 피는 것은 적대하를 다스리고 흰 꽃이 피는 것은 백대하를 다스린다.

접시꽃 뿌리는 여성의 냉증, 대하, 자궁출혈 등 갖가지 부인질병에 효력이 크다. 그러나 몸이 찬 여성들에게는 권할 만한 것이 못된다. 혈액형이 O형이나 AB형인 양성체질에는 좋고 B형이나 A형한테는 도리어 해로울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부인의 대하로 배가 몹시 아플 떼에 접시꽃 35~40g을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빈 속에 5~10g씩 하루 세 번 먹는다. 이때 반드시 흰 꽃을 쓴다.

임질에는 접시꽃 뿌리를 깨끗이 씻어 짓찧어서 물에 달여 마시면 잘 낫는다.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는 접시꽃 줄기를 말려 가루 내어 술과 함께 한 숟갈씩 하루 세 번 먹는다. 간단한 방법이지만 상당히 효과가 좋다.

급성 임질에도 접시꽃이 효과가 좋다. 접시꽃 뿌리 5~10g, 질경이 씨 5g을 물로 달여서 날마다 마신다.

종기로 통증이 심할 때에는 뿌리의 검은 껍질을 벗겨 내고 짓찧어서 붙인다. 통증이 없어지면서 잘 낫는다.

대 소변이 잘 안 나올 때에도 접시꽃 씨를 가루 내어 진하게 달여서 마시면 된다.

방광결석은 씨를 볶아서 가루 내어 밥 먹기 전에 따뜻한 술과 함께 먹는다.

임신이 안되는 여성들은 토종닭 한마리에 흰접시꽃 1근을 넣고 푹 고아서 먹으면 임신이 잘된다. 보름에 한번씩 대략 3개월정도만 복용하면 임신이 가능하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향  (0) 2009.03.22
부들(포황)의 효능  (0) 2009.03.21
해당화의 효능  (0) 2009.03.19
봉선화의 효능  (0) 2009.03.18
울금의 효능  (0) 2009.03.17

 

 

 

꽃과 열매가 아름답고 향기로와 정원수로도 심으나 대개는 가시가 많고 곁가지를 많이 치므로 낮은 울타리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해조에 강하므로 바닷가의 호안 지대의 식수에 가장 좋으며 경관용으로는 해수욕장이나 바닷가의 관광지, 피서지 등에 군식한다.

 

해당화의 꽃잎으로 장미유의 원료를 뽑는다.
차나 술에 넣어 향미를 즐기는 풍류도 있다. 익은 열매는 비타민 C 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생식해도 좋고 중국에서는 꿀에 재어 먹기도 한다.
花(화)는 매괴화, 花(화)의 蒸溜液(증류액)은 매괴로라 하며 약용한다.

 

매괴화
막 피어난 꽃봉오리로, 5월에 막 피는 것을 골라 채취하여 약한 불에 쬐어 빠르게 말
린다. 햇볕메 말린 것은 색깔이나 향기가 상당히 떨어진다.

 

성분 : 신선한 꽃에는 精油(정유) 약 0.03%가 함유되어 있고 그 주요 성분은
citronellol, geraniol, nerol, eugenol, phenylethyl alcohol 등이다. Citronellol의
함유량은 60%, eugenol의 함유량은 citronellol의 함유량 다음이고, nerol은 약 5-10%
이다. 이외의 꽃에는 quercetin, 苦味質(고미질), tannin, 脂肪油(지방유), 有機酸(유
기산-沒食子酸(몰식자산)), 赤色素(적색소-cyanin), 黃色素(황색소), 蠟質(납질), β
-carotene이 함유되었다. 과실에는 비타민C, 포도당, fructose, xylose, 蔗糖(자당) 등
의 糖類(당류), 구연산, 사과산, quinin酸(산) 등의 비휘발산을 함유한다.

 

약효 : 理氣(이기), 解鬱(해울)하고 和血散瘀(화혈산어)하는 효능이 있다. 肝胃氣痛
(간위기통), 新久風痺(신구풍비-만성, 급성의 遊走性關節風濕痛(유주성관절풍습통)),
吐血(토혈), 喀血(객혈), 월경불순, 赤白帶下(적백대하), 이질, 乳癰(유옹-急性乳腺炎
(급성유선염)), 腫毒(종독)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갔다가 또는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 복용한다.

 

매괴로
약효 : 和血(화혈), 平肝(평간), 養胃(양위), 寬胸(관흉), 解鬱(해울)의 효능이 있
          다. 肝臟(간장)의 氣(기)와 胃(위)의 氣(기)를 다스린다.

용법/용량 : 따뜻하게 하여 술에 조금 섞어 복용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들(포황)의 효능  (0) 2009.03.21
접시꽃의 효능  (0) 2009.03.20
봉선화의 효능  (0) 2009.03.18
울금의 효능  (0) 2009.03.17
멀구슬 나무  (0) 2009.03.16

 

 

 

울밑에선 봉선화(鳳仙花)가 놀라운 효과를 지닌 약초임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어릴 적 시골집 울타리 밑이나 장독대 옆에 봉숭아를 심으면 질병이나 나쁜 일이 생기지 않고 뱀이 싫어하는향이 있어 금사화(禁蛇花)란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봉선화의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고 한 해살이 화초이다.

금봉화(金鳳花), 봉사, 지갑화(指甲花)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봉숭아 꽃으로 손톱을 붉게 물들이던 풍습도 붉은 빛을 귀신이 싫어하기 때문에 귀신이나 질병이침범하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뜻이 있다.

 

 

봉숭아는 뭉치고 단단해진 것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물렁하게하는데 특효를 발휘하는 토종약초이다.

봉숭아 중에서도 흰꽃이 피는 토종 봉숭아는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신경통, 어혈, 신장결석.요도결석, 냉으로 인한 불임증, 물고기 중독, 적취(뱃 속에 딱딱한 덩어리가 뭉쳐있는 것)등에 놀랄만큼 신비한 효력을 나타낸다.

 

 

생선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봉숭아 씨앗을 가루내어 물에 타마시면 가시가 녹아 없어진다.

산모가 난산으로 고생할 때에도 씨앗 몇 개를 달여 마시면 골반 뼈가 연해져서 쉽게 아이를

낳을수 있게 된다. 봉숭아를 투골초(投骨草)라고 하는데 약초가 뼈속까지 침투한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봉숭아 씨앗을 급성자(急性子)라고 하는데 약성이 급하여 즉시 효력이 나타나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현대문명의 편리함과 더불어 공해, 스트레스, 과음, 과식, 비만,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신경통, 중풍,암 등 조직이 딱딱하게 굳어져 올 수 있는 질병의 원인을 제거해 준다. 봉숭아 씨앗 줄기를 달인 물을 마실 때 주의 해야할 것은 절대 치아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치아에 닿으면 이빨이 물렁해져 빠질 위험이 있다. 빨대를 이용해 목안으로 바로 삼키는게 좋다.

식도암, 위장암, 대장암 등 소화기 계통에 생긴 암에는 봉숭아 씨앗 30~60g을 물 반되 정도에 달여 

매일 아침 저녁으로 두 번씩 나누어 마시면 좋다.

 

뱃속에 딱딱한 덩어리가 있을 때와 냉으로 인한 불임증에는 봉숭아 줄기와 뿌리 말린 것을 40g쯤 달여서 하루 세 번 복용하면 좋다.대게 10~15일이면 딱딱한 덩어리나 냉증이 풀린 것을 경험 할 수있다.특히 심한 요통으로 인한 불임여성은 줄기와 잎을 달인 물을 20일쯤 마시면 요통이 없어지고 임신가능이 높아진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시꽃의 효능  (0) 2009.03.20
해당화의 효능  (0) 2009.03.19
울금의 효능  (0) 2009.03.17
멀구슬 나무  (0) 2009.03.16
돌나물의 효능  (0) 2009.03.15

 

 

울금은 생강課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진도등 남쪽지방에서 많이생산되며,

진도지방에서는 울금을 만병통치약으로 생각한다.

 

아직은 대중화가 되어있지않아 재배업자나 행정기관에서 많은 홍보를 하고있으며,

어제도 "KBS 6시의 내고향"에서 방송된바있다.

 

인도등 열대지방이 원산지로 카레나 노란색 식용색소의 원료로도 사용한다.

울금은 쿠르쿠민(Curucumin)을 비롯해서 Turmerone, zingiberene, 담즙분비작용이 있는 PTMC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최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면 간장해독촉진, 담즙분비촉진, 담도결석 제거, 강심, 이뇨, 항출혈, 항균, 항궤양, 콜레스테롤 억제, 골수종 세포사멸, 다발성 경화증 진행차단효과등이 알려졌고,

 

간염, 특히 만성 C형, 담도염, 황달, 위염, 생리불순, 고혈압, 동맥경화 등에 대한 효능과 항암, 항당뇨에 대한 기대가 크다.
노화나 만병의 근원인 활성산소의 제거나 항산화작용에도 주목되는 약초이다

* 울금은 암(특히 유방암),치매예방,숙취해소,비만에 좋으며,

*기를 소통시키고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피의 열을 내려주고 어혈을 치료한다.
* 흉부와 복부, 옆구리에 통증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 열병에 의한 정신혼미, 토혈, 코피, 혈뇨, 황달 등을 치료
* 급체, 치질 등에 쓰임
 

<주의사항>

임산부는 금기이나 출산후 어혈을 푸는데 좋은효과가 있으며,

소화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나 몸이찬사람은 한꺼번에 많이먹으면

오히려 위에 부담을 주므로 조금씩 먹어야 한다.

오래먹으면 위장이 튼튼해 지고,

몸이 따뜻해 진다.

 

울금(鬱金)의 주요 성분 및 효능효과

 

커큐민(curcumin) 

간기능강화, 담즙분비촉진, 위궤양 원인균(피료리균)살균, 이담작용,

이뇨작용, 암예방, 항암, 멜라닌 색소방지.

 

메치돌 이루카비놀 

간기능향상, 담즙분비촉진.

 

투메론 

담즙분비촉진, 이담, 향균, 살균, 항염작용.

 

아즐렌  

항염, 항궤양, 건위, 종양개선, 위 십이지장 궤양 치료.

 

캄파  

강심, 건위, 살균, 항균.

 

미네올 

위 소화 효소 분비촉진, 살균, 항균작용, 이담작용.

 

강심제 

강심작용, 건위, 살균, 방부작용.

 

팔라듐,메치르톨,이르카르비노르 

담즙 배출 촉진, 간기능 강화.

 

후라포노이드 

모세혈관보호.

 

a-크루크멘 

이담작용, 고혈압, 담관결석, 고지혈증, 동맥경화 예방개선, 항 콜레스테롤.

 

b-에레멘 

종양증식억제.

 

크루크모를 

항 종양작용,중국-자궁경 암의치료.

 

무기영양소 

영양소 대사촉진.

 

 

식물섬유 

장운동 활성, 억균작용, 다이어트 등 약 100 여가지 성분 함

 

 

울금의 효과 효능

울금(鬱金)은 비장(脾臟)과 간(肝)에 작용한다.

 

위장  -  위산분비 조절, 위염, 건위, 위궤양.

 

간장  -  담즙분비촉진, 간 해독 기능향상, 담낭결석, 황달, 간장질환, 담관염,

               간염 (만성간염, B,C 형 간염).

 

자궁  -  생리불순, 월경통, 자궁근종, 산후복통, 무월경.

 

심장 동맥경화, 혈행활성, 관상동맥 반 괴형성 감소, 강심작용, 고혈압.

 

기타  항산화작용 - 노화예방, 항염작용, 항균작용.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당화의 효능  (0) 2009.03.19
봉선화의 효능  (0) 2009.03.18
멀구슬 나무  (0) 2009.03.16
돌나물의 효능  (0) 2009.03.15
금불초의 효능  (0) 2009.03.14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멀구슬나무과의 낙엽교목로서,
한국(전남·전북·경남·경북)·일본·타이완·서남 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멀구슬나무를 구주목이라고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기수 2∼3회 깃꼴겹잎(羽狀複葉)으로 잎자루의 밑부분이 굵다.
작은잎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 또는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缺刻)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원추꽃차례[圓錐花序]에 달린다.
5개씩의 꽃잎과 꽃받침조각, 10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 넓은 타원형이고 9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겨울에도 달려 있다.
열매는 이뇨 ·하열 및 구충제로 사용한다. 가로수 ·정원수로도 이용된다.

민간에서는 멀구슬나무와 당멀구슬나무의 줄기 뿌리 껍질을 초여름에 채취하여햇볕에 말린것을 고련피(苦련皮)라 하고, 잎을 련엽(련葉)이라 하고,
과실을 천련자(川련子)라 하여 약용한다.

고련피(苦련皮)
조습,살충의 효능이 있어
회충 및 요충증, 옴을 다스린다.

천련자(川련子)
진통,청간화,이기,제습열,살충의 효능이 있어열궐심통,산통,협통,충적복통,백선을 다스린다.

 

멀구슬나무과 . 고련피(수,근피),

옴, 회충,요충,백선 등...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봉선화의 효능  (0) 2009.03.18
울금의 효능  (0) 2009.03.17
돌나물의 효능  (0) 2009.03.15
금불초의 효능  (0) 2009.03.14
수송나물의 효능  (0) 2009.03.13

 

 

돌나물의 영양성분으로는 칼슘이 258mg으로 꽤 많으며 비타민, 인산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섬유질은 매우 적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식욕을 돋워주고 피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행을 좋게한다.

 

살균, 소염, 소종, 해동, 담즙배출촉진작용이 뛰어나며 급성기관지염, 인후염 등

각종 감염성 염증을 없애는 데 효과가 있다.

 

간장질환, 타박상(돌나물 생잎을 찧어서 환부에 붙이면), 담이 걸릴 때도 효과적이다.

 

식욕증진

 

해독․이뇨작용

급성간염․간경변증, 간장질환에 효과가 크다.

 

이담(利膽)작용

담즙의 분비나 배출을 촉진하여 담석증․담낭염 치료에 도움을 준다.

 

살균․소염(消炎)․소종(消腫)

급성 기관지염 등 각종 감염성질환의 염증을 없애준다.

 

항암보조작용

간암의 치료제로 이용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금의 효능  (0) 2009.03.17
멀구슬 나무  (0) 2009.03.16
금불초의 효능  (0) 2009.03.14
수송나물의 효능  (0) 2009.03.13
위염 이뇨 습진 시력에 좋은 (자귀풀)  (0) 2009.03.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