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 환경:양수로서 내한성과 내조성이 강하고 공해에도 잘 견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하다.
토양: 보통
꽃/번식방법
실생 : 종자가 매우 작으므로 파종시 주의해야 한다.
삽목 : 삽목증식의 경우 발근율이 매우 높으며 6-7월경이 좋다. 봄에 휴면지를 꺾꽂이하거나 여름에 온실에서 녹지를 꺾꽂이한다.
결실기:10월
10월
약효
어린 잎. 가지는 산풍(酸風). 해독.풍습비풍.투진(透珍). 마진불투(魔疹不透).
담마진(蕁痲疹). 감기.
이용방안
정원수나 연못가의 풍치목으로 이용되며 매립지의 녹화수로 좋고 해안지역의 식재에 최적격이다.
幼枝(유지)의 잎은 檉柳(성류), 꽃은 檉柳花(성류화), 樹脂(수지)는 檉乳(성유)라 하며 약용한다.
柳(성류)
4-7월 꽃이 피기 전에 햇가지의 잎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성분 : 樹脂(수지)에는 quercetin이 수피에는 수분 19.6%, tannin 5.21%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 : 疎風(소풍), 解表(해표), 이뇨, 해독의 효능이 있다. 麻疹(마진)의 不透疹(불투진), 風疹搔痒(풍진소양), 感冒(감모), 咳嗽(해수), 短氣(단기), 少氣(소기), Rheumatism性 골절통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 내어 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柳花(성류화)
중풍을 다스리고 淸熱(청열), 痲疹(마진)을 透發(투발)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檉乳(성유)
汗藥(한약)과 혼합하여 쓰면 金瘡傷(금창상)을 치료한다.
유사종
향성류(T. juniperina BUNGE): 화서가 측생하며 수술대 기부가 비대해져 화반의 선과 같은 위치이다. 잎의 길이 1.5-2㎜이며 5월과 여름에 꽃이 핀다.
특징
수형이 수양버들과 비슷하나 독특한 잎과 꽃은 더욱 운치가 있으며 물과 조화를 이루고 잎이 가늘어 향나무와 같은 느낌을 준다. 맹아력은 좋으나 생장이 느리다.
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