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성 식물의 특성]

 

각종의 식물에는 독이 있으며 그 독의 다소에 따라 독초,익초로 분류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자주 식용하는 감자의 어린 싹과 푸르

게 변한 육질에는 솔라닌이란 독이 있으며, 토마토와 가지도 덜 익었

을 때 먹으면 아리는데 바로 독소이다. 또한 살구씨와 메밀의 속껍질

과 아주까리의 씨, 잎에도 독이 있으며 아주까리 잎의 독은 삶으면 없

어진다.

이처럼 독초라 하여도 가공하거나 요리하면 없어지는 것도 있고 독소

의 양이 아주 작아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도 있고, 독성도 그 가공이

나 처리함에 따라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산에서 자라는 풀 중에서도 독초와 익초가 있는데 독초는 모양도 나물

과 비슷한 것이 있고 독초이면서도 이름이 나물인 것이 있으므로 특

별히 주의를 하여야 한다. 산나물 중 고사리의 경우 절(寺)에서는 消陽

劑라하여 양기를 떨어뜨린다고 하여 애용하며, 고사리에는 양기를 떨

어뜨리는 아네우리시나라는 성분은 비타민B1을 파괴시키며, 또한 고

사리에는 미량의 브라켄톡신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방광암을 유발시키

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고사리를 삶고 물에 우려내고 말렸

다가 요리해 먹는다. 삶거나 우려 내는 과정에서 많은 량의 독소가 빠

져나간다. 그러나 우리는 고사리를 독초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참옻나무

 

옻나무는 참옻나무와 개옻나무가 있는데 산에 있는 것은 대부분 개옻

나무이다.

참옻나무는 낙엽교목으로 키는 7m가량이고 나무껍질은 회백색을 띠

며 잎은 홀수 깃꼴겹잎이며 잎은 난(卵)형 또는 깃꼴겹잎이고 톱니가

없다. 암수 딴 그루이며 잎,줄기,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흰색 진액이

흘러나오는데 이를 옻이라 하고 칠(漆)감으로 최고급으로 친다. 장롱

이나 목재품의 칠감으로 쓴다. 이 액에 묻으면 사람에 따라 다르나 옻

이 오른다. 옻이 오르면 피부에 진물이 나며 엄청나게 가렵다.

사람의 체질에 따라 다르나 옻이 타는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이 있

는데 타지 않는 사람의 경우 옻나무의 어린 잎을 식용할 수 있다.

옻의 수액이 피부와 접촉하면 과민성 피부염을 일으켜 충혈, 가려움

증, 물집, 화농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내복하면 메스꺼움, 구토, 어지

럼증, 항문 및 회음부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옻의 삶은 물에 닭을 곤 것을 옻닭이라 하며 요즘 별미로 친다. 옻닭

요리는 소화기계통 특히 설사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

 

 

개옻나무

 

개옻나무의 줄기는 회백색이나 나무순은 붉은 색을 띠고 있다.

수액을 옻이라 하고 구충, 월경불순, 어혈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피부와 접촉하면 과민성 피부염을 일으키며 충혈, 가려움증, 물집, 화

농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내복하면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항문 및

회음부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미치광이풀

 

미치광이풀은 4-5월 고산지대의 습지에 잘 자라며 5월초 황색 또는

자색의 작은 종모양의 꽃을 피우며 뿌리는 어른 손가락 굵기로 옆으로

뻗는다. 줄기의 뿌리부분이 자색을 띠며 키는 20-60cm정도이다.

뿌리 줄기는 진통 진경재로 약용한다.

이를 먹게 되면 독성이 너무 강해 소화기계통의 마비, 땀이 나오지 않

으며, 눈앞이 캄캄해지며, 호홉이 느려지고, 발열, 흥분, 불안, 환각

증상이 나타난다. 마치 미친 사람처럼 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맹

독성 식물이다.

뿌리줄기는 10g이상 먹었을 때 생명이 위험하다.

 

..........................................................................................

 

 

앉은부채

 

천남성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산의 습지에 잘 자라며 키는

30cm 이내이며 3-4월경에 먼저 꽃이 피고 잎이 달린 후 6-7월경에 열

매를 맺으며 꽃이 크며 불꽃모양의 광배 속에 꽃이 피며 꽃에서 썩은

냄새를 풍겨 수분을 한다. 독성이 강하며 잎을 먹은 경우 구토, 복통,

설사, 어지럼증, 시각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뿌리는 진통, 이뇨,

기관지염 천식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

 

 

박새

 

박새는 다년생 외떡잎 식물로 키는 30- 100cm 정도되며 고산지대의

숲에 자라고 있다. 모양은 개불알꽃과 생김새가 비슷하나 잎과 키가

더 크다.

뿌리줄기는 강심, 이뇨, 혈압강하 등의 효능이 있으나 독성이 강하며,

비듬제거재 등에 이용된다.

과량 복용하면 상복부 흉골 뒤쪽의 동통, 침흘림, 구토, 설사, 혈성대

변, 어지럼증, 두통,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천남성

 

천남성의 키는 성장 년수에 따라 다르나 10-60Cm정도이며, 우리나라

전역에 자란다. 독성이 강하다. 잎은 5갈래이며 뿌리는 토란뿌리처럼

구형이다.

뿌리는 중풍, 구안와사, 반신불수, 간질 등과 뱀에 물린 상처의 치료에

사용하는 한약재로 쓴다.

생식으로 중독되면 인후가 타는 듯하며, 입과 혀가 굳으며, 침을 흘리

고, 인후가 충혈되며, 어지럼증, 질식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동의나물

 

우리나라 산의 습지에 잘자라는 다년생풀이며 잎은 넓고 두꺼우며 가

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4-5월에 노란색 꽃이 피며 이름이 나물이지만 먹지 못하는 독초이다.

 

..........................................................................................

 

 

초오 투구꽃

 

우리나라 각처에 자생하고 미나리아제비과 초오속에 속하며 키는 장

소에 다라 다르나 60-100Cm정도이며 잎은 새발가락처럼 갈라져 있고

9월경에 보라색 투구모양의 꽃이 핀다. 뿌리는 새발모양이며 독성이

강하며 약용으로 쓴다.

옛날 뿌리줄기를 짓찧어서 화살촉에 발라 동물사냥에 이용할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뿌리는 마늘쪽 모양으로 생겼으며 뿌리를 부자(附子)

라고하며 이는 작년의 뿌리옆에 올해 새로운 뿌리가 붙어(附)서 생긴

뿌리라는 뜻이다. 뿌리의 주성분은 aconitine으로 성인의 피하주사 치

사량이 3-4mg정도로 맹독성이며 생약의 경우 5g이상 먹으면 위험하

다.열로 가공하면 이 성분이 분해되어 독성이 떨어진다.

중독되면 입과 혀가 굳고 사지가 비틀리며 두통,혈압강하,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은방울꽃

 

은방울꽃은 다년생 외떡잎 식물로 키는 30- 50cm 정도되며 고산지대

의 숲에 자라고 있다. 산마늘과 생김새가 비슷하나 잎이 더 얇고 흰색

의 작은 초롱모양의 꽃이 핀다.

뿌리와 열매는 강심제 이뇨제로 쓰며, 과량 복용하면 중독될 수 있

다. 중독되면 식욕감퇴,타액분비과다, 메스꺼움,구토 등의 소화기 계

통의 증상이 나타난다.

 

..........................................................................................

 

 

현호색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 자라며 4-5월경에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이 피며 왜현호색, 좀현호색, 섬현호색, 괴불주

머니, 점현호색, 댓잎현호색 등 종류가 많으며 모두 독성이 있다.

 

..........................................................................................

 

 

애기똥풀

 

우리나라 각지의 집근처 담장이나 논두렁 받두렁에 많이 볼 수 있으며

4-5월에 황색 꽃이 피고 잎이나 줄기에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애기 똥

처럼 진액을 내며 역한 냄새가 난다. 유독식물이다.

이질, 위통, 기관지염, 황달, 간염, 간경화증의 치료에 사용하며, 과

량 복용하면 어지럼증, 두통, 메스꺼움, 사지마비, 혈압강하 등의 증상

이 나타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사 과  (0) 2007.09.15
비단 풀(위암/직장암/골수암/ 뇌종양)  (0) 2007.09.15
당뇨인을 위한 산야초 모음  (0) 2007.09.15
담쟁이 넝쿨  (0) 2007.09.15
초피나무의 비교사진  (0) 2007.09.15

당뇨에 효능이 좋은 산야초 모음

 

1, 두룹          **건위,이뇨,진통,수렴,거풍,강정,위궤양,위경련,신장염,각기,수종,당뇨병,신경쇠약,발기력부전,관절염**

 

2, 둥굴래순   **허약체질을 강하게 하는 강장, 강정 효과 당뇨에 효능**

 

3, 달맞이꽃순  **해열, 소염작용, 당뇨병, 고지혈증 에 효험 **

 

4, 산뽕순     **신경통, 고혈압,부종, 기관지염,보혈,당뇨, 강장의 불로장수약 **

 

5, 삼백초     **변비, 당뇨병, 간장병, 암, 고혈압, 심장병, 부인병, 신장병 **

 

6, 칡순      **당뇨병, 부종, 설사, 황달, 술독, 고혈압, 두통, 협심증 **

 

7, 두충잎       **혈압강하작용, 특히 수피는 보간신(補肝腎), 강근골, 안태작용(安胎作用), 신허요통, 임신누출, 근골무력, 익정기, 강지, 허리 무릅통증, 유산방지, 강장약, 요통, 관절통, 관절염, 건근골, 하지위약, 진정, 진통, 소변불리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8, 오가피       **해독, 콜레스테롤, 혈당, 신경장애, 지구력,집중력, 뇌의 피로, 눈과 귀를 밝게, 성기능을 높이며, 모든 신체의 기능에 활력을 주고 온갖 질병을 예방하는 나무 산삼**

 

9, 달개비       **봄나물, 당뇨병에 탁월한 효능**

 

10, 산죽   **위염, 기침, 당뇨병, 면역강화, 부종 무좀, 피부병, 위암, 갖가지 암, 열이 날 때, 간염, 황달, 위궤양, 고혈압, 스트레스, 화병(火病)**

 

11, 화살나무    **암, 당뇨 고치고 가위눌리는 것 낫게하는 화살나무 **

 

12, 산삼        **원기회복, 補裨益肺, 生津止渴, 安神增智. 氣虛欲脫, 권태감, 무력감, 식욕부진의 명약**

 

13, 돼지감자(뚱딴지) **골절 타박상 해열 지혈 비만증 변비 다이어트 당뇨병에 효험**

 

14, 각시둘굴래  **혈압강하, 강심, 혈당저하 작용**

 

15, 토사자(새삼)     **淸熱, 凉血, 利水, 해독의 효능이 있다. 吐血, 鼻出血, 便血, 血崩, 淋濁, 帶下, 이질, 황달, 癰疽, 정창, 熱毒瘡疹을 치료
토사자(종자)- 强精, 强壯藥으로서 補肝腎, 益精髓, 明目의 효능이 있다. 腰膝酸痛, 遺精, 음위, 당뇨, 冷症, 습관성 유산, 消渴, 尿에 餘瀝이 있는 것, 目暗(시력감퇴)을 치료

 

16, 담쟁이덩쿨   **당뇨, 어혈, 근육통 다스리는 담쟁이덩굴**


17, 함초   **숙변제거, 비만, 당뇨병, 면역강화, 갖가지 암, 빈혈, 골다공증, 신경통, 고혈압, 관절염, 갑상선, 갖가지 염증, 대장염, 위염, 위궤양 **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단 풀(위암/직장암/골수암/ 뇌종양)  (0) 2007.09.15
유독성 식물 모음  (0) 2007.09.15
담쟁이 넝쿨  (0) 2007.09.15
초피나무의 비교사진  (0) 2007.09.15
화살나무의 효능  (0) 2007.09.15

 

 

줄기와 열매를 그늘에서 말려 달여서 복용하면 상당한 효과를 본다.

하루 10∼15그램쯤을 물로 달여 복용하는데 오래 복용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풍습성 관절염·근육통·어혈·뱃속 갖가지 출혈 등에는 효력이 빠르다.

소주에 담가 3개월쯤 두었다가 가볍게 취할 만큼씩 날마다 마신다. 진통 효과가 뚜렷하고.

10∼20일쯤 복용하면 웬만한 관절염이나 근육통은 거뜬하게 낫는다.

 

담쟁이덩굴은 맛이 달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다.

 활혈(活血), 거풍(祛風), 지통(止痛)작용이 있고 뱃속에 있는 덩어리를 없애며, 부인의 적·백대하를

치료하고 밥맛을 좋게 한다.

편두통·류머티스성 관절염·반신불수 등에도 치료약으로 쓴다.

 골절로 인하여 통증이 심할 때에는 담쟁이덩굴 줄기를 짓찧어 붙이면 곧 아픔이 멎는다.

 

아울러 담쟁이덩굴 술을 마시면 골절로 인한 어혈이 없어지고 골절 치유 효과도 빨라진다.

 종양 치료에도 담쟁이덩굴을 쓴다. 피부에 생기는 육종이나 양성종양에는 담쟁이덩굴을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하루 10∼15그램을 복용한다.

 

갖가지 암이나 옹종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고, 남성들의 양기 부족에도 효력이 있으며 가래나 기침에도 좋다. 담쟁이덩굴을 약으로 쓸 때에는 반드시 나무를 감고 올라간 것을 채취하여 써야 한다.

바위를 타고 올라간 것을 쓰면 독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소나무나 참나무를 타고 올라간 것을 채취하여 쓰는 것이 좋다.

 담쟁이덩굴은 어혈을 없애고 아픔을 멎게 하며 몸 안에 있는 딱딱한 덩어리를 풀어 주는 데 뛰어난 효력이 있는 약초이다. 술에 담가 우려내어 먹는 것이 효과가 빠르고 가루를 내어 먹거나 물에 넣고 뭉근하게 달여 먹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만성 신부전증 치료에는 담쟁이덩굴, 조릿대 새순, 조선오리나무새순을 같은 양으로 하여 물에 넣고 3시간 이상 푹 달여서 복용한다.

 처음에는 양을 조금씩 마시다가 몸의 상태를 보아 가며 차츰 양을 늘린다.

 일주일에 혈액투석을 두 번씩 할 정도로 심한 신부전증 환자가 이 방법을 써서 치유된 사례가 있다.

 

구창(口瘡) .근골통(筋骨痛) .뇌일혈(腦溢血) . 대하증(帶下症) .사독(蛇毒) .사혈(死血) .산후 건강회복(産後健康回復) .산후 복통(産後復痛).  온포기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악창(惡瘡)

줄기를 삶아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씻는다.

 

어혈(瘀血)

줄기 생즙을 내어 10회 이상 환부에 발라준다.

 

이완출혈(弛緩出血)

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종창(腫瘡)

잎 또는 덩굴 생즙을 2~3일 환부에 자주 바른다.

 

지구역(持嘔逆)

온포기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창종(瘡腫)

온포기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출혈(出血)

온포기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치통(齒痛)

온포기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통경(通經)

온포기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편두통(偏頭痛)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풍습(風濕)

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피부염(皮膚炎)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허약체질(虛弱體質)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독성 식물 모음  (0) 2007.09.15
당뇨인을 위한 산야초 모음  (0) 2007.09.15
초피나무의 비교사진  (0) 2007.09.15
화살나무의 효능  (0) 2007.09.15
구절초의 효능  (0) 2007.09.15

 

 

 

 

초피는 산초에 비해 열매 갯수가 적습니다, 익어 가면서 초피는 붉은색을 띕니다.
그리고 잎을 보면 산초는 잎둘레가 메끈한데 비해 초피는 돌기모양으로 웨이브가 있습니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인을 위한 산야초 모음  (0) 2007.09.15
담쟁이 넝쿨  (0) 2007.09.15
화살나무의 효능  (0) 2007.09.15
구절초의 효능  (0) 2007.09.15
몸에 좋은 산야초  (0) 2007.09.15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화살나무(귀전우) - 암,당뇨 고치고 가위눌리는데 효과

 

화살나무는 노박 덩굴과에 딸린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키는 3미터쯤 자라고 가지는 사방으로 퍼지며 잔가지에는 코르크질의 날개가 붙어 있다. 참빗나무, 홋잎나무라고도 부른다. 잎은 마디마다 2장이 마주 붙으며 잎 모양은 달걀꼴로 양끝이 뾰족하다. 잎의 길이는 3~5센티미터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은 잿빛을 띤 녹색이다.


화살나무는 한방이나 민간에서 산후 피멎이 약, 정신불안, 여성의 자궁출혈, 대하, 어혈을 없애는 약으로 쓴다. 열매를 오래 달여 고약을 만들어 피부병 치료에 쓰기도 했다.


화살나무는 원인을 알 수 없이 시름시름 아픈 병, 단전호흡을 잘못하여 기가 위로 치밀어 올라 생긴 병, 귀신 들린병, 크게 놀라서 생긴 병 등을 고치는 것으로 민간에서 전한다.

또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어혈을 풀어 주며 염증을 없애고 정신을 안정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에도 효험이 있어서 혈당 량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작용을 한다. 당뇨병 환자가 화살나무 어린줄기 5∼10그램씩을 물로 달여 하루 3번씩 마시고 효과를 본 보기가 더러 있다.

고혈압, 동맥경화, 기침가래, 월경불순, 생리가 안 나오는 데, 산후에 어혈로 인한 복통 등에 화살나무 10∼15그램을 물로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 아니면 화살나무를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 3∼5그램씩 하루 3번 복용한다.


화살나무 잎을 그늘에서 말려 차로 달여 먹어도 좋다. 한번에 2~3그램을 뜨거운 물로 3~4분 우려내어 마신다. 귀전우차라고 부르는데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등을 낫게 한다.

화살나무 날개는 가시를 빼는 약으로도 유명하다. 화살나무 날개를 태워서 그 재를 가시가 박힌 부분에 바르면 신기하게도 가시가 빠져 나온다.


화살나무에는 고무 비슷한 물질이 들어 있어서 줄기를 꺾으면 흰 실같은 것이 나온다. 이것은 두충나무에 들어 있는 것과 성질이 비슷하므로 두충 대신 약에 쓰기도 한다. 화살나무는 아직까지 그 약효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질병에 요긴하게 쓸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다.

<동의보감>에는 화살나무의 약성에 대해 이렇게 적혀 있다.
“성질은 차며 맛은 쓰고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고독, 시주, 중악으로 배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사기나 헛것에 들린 것, 가위눌리는 것을 낫게 하며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인다. 월경을 잘 통하게 하고 징결을 헤치며 붕루, 대하, 산후어혈로 아픈 것을 멎게 하며 풍독종(風毒腫)을 삭이고 유산하게 한다. 민간에서는 태워서 좋지 못한 기운을 없앤다.”

<동의학사전>에는 화살나무에 대해 이렇게 적혔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간경에 작용한다.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생리를 잘 통하게 하고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인다. 약리실험에서 주요 성분인 싱아초산나트륨이 혈당량 낮춤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주로 월경이 없는 데, 징가, 산후어혈로 배가 아픈 데, 기생충으로 배가 아픈 데 등에 쓴다. 하루 6∼9그램을 달인 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임신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화살나무와 닮은 것으로 참빗살나무, 회잎나무, 회목나무 등이 있는데 다 같은 용도로 약에 쓴다.

화살나무는 민간에서 위암, 식도암 등 갖가지 암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널리 알려진 식물이다. 화살나무를 달여서 오래 복용하고 암이 나았다거나 좋아졌다는 사례가 더러 있으므로 항암작용이 상당히 센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항암작용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없다.


화살나무는 산속에서 정신수련이나 도가(道家) 의식을 하는 사람들이 비밀 의술의 도구로 많이 활용한다. 정신적 능력이 높은 사람이 이 나무를 활용하면 귀신 들린 병, 놀라서 생긴 병, 단전호흡을 잘못해서 생긴 상기증, 원인을 알 수 없는 중병 등을 고친다고 한다.


또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어혈을 풀어 주며 염증을 없애고 정신을 안정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에도 효험이 있어서 혈당 량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늘리는 작용을 한다. 당뇨병 환자가 화살나무 어린줄기 5∼10그램씩을 물로 달여 하루 3번씩 마시고 효과를 본 보기가 더러 있다.


고혈압, 동맥경화, 기침가래, 월경불순, 생리가 안 나오는 데, 산후에 어혈로 인한 복통 등에 화살나무 10∼15그램을 물로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 아니면 화살나무를 그늘에서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 3∼5그램씩 하루 3번 복용한다. 화살나무 잎을 그늘에서 말려 차로 달여 먹어도 좋다.


한번에 2~3그램을 뜨거운 물로 3~4분 우려내어 마신다. 귀전우차라고 부르는데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등을 낫게 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쟁이 넝쿨  (0) 2007.09.15
초피나무의 비교사진  (0) 2007.09.15
구절초의 효능  (0) 2007.09.15
몸에 좋은 산야초  (0) 2007.09.15
암으로 부터 이길수 있는 54가지 산야초  (0) 2007.09.15

 

 

 

산구절초

각지의 높은 산에서 많이 자라고 대개는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높이 10 - 60cm 이며 8 - 9 월에 흰색 꽃이 피고 10월에 씨가 익는다
.

 

바위구절초

백두산의 고원지 및 고산 지대에 자생하는 고산 식물이다.
높이 20cm 안팎으로 8 - 9 월에 흰색, 연한 자주색, 연한 붉은색
꽃이 피고 10월에 씨가 익는다.

 

속명 : 고호. 고봉. 창다구이. 들국화

분포지 : 전국의 산과 들 산기슭 및 길가의 초원

개화기 : 9 - 10 월

꽃색 : 흰색

결실기 : 10 - 11 월

높이 : 50cm 안팎

특징 : 땅속 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9월 9일에 채집해야 약효가 좋다 하여 구절초라 한다.

용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효능 : 건위.보익.강장.정혈.식욕촉진.중풍.신경통.부인병. 보온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예로부터 가을에 구절초의 풀 전체를 꽃이 달린 채로 말린 후 달여 복용하면 부인병에 보온용으로 탁월한 효과가 있다 하여 약이름으로 선모초라 지어졌다. <약용식물사전>
  

옛날부터 9월 9일에 이 풀을 채취하여 엮어서 매달아 두고 여인의 손발이 차거나 산후 냉기가 있을 때에 달여 마시는 상비약으로 써 왔다. 또 꽃을 말려서 술에 적당히 넣고 약 1개월이 지난 후에 먹으면 은은한 국향과 더불어 강장제. 식욕촉진제가 된다고 하며, 이 때 술은 배갈이
좋다고 하였다.<약용식물사전>

 

 

 

찬서리가 내린 뒤까지 피는 가을 자생화의 대표격인 구절초는 5월 단오에는 줄기가 5마디가 되고, 9월 9일(음력)이 되면 9마디가 된다 하여 구절초(九節草)라 불린다. 가을에 피는 야생화로는 구절초 외에 개미취·쑥부쟁이·벌개미취 등도 있는데, 모두 국화과 식물로 생김새도 비슷해 보통 소국(小菊)으로 통한다.

 

이들은 줄기가 많이 갈라져 그 끝에 모두 꽃이 피는데, 구절초는 꽃이 줄기 끝에 한 송이만 핀다. 또 구절초는 선모초(仙母草)라 불리기도 하는데, 그것은 흰 꽃잎이 신선보다 더 돋보인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한방에서 구절초는 부인병·보온에 약재로 쓰인다. 특히 월경장애에 효과가 있어 약재시장에 가면 구절초가 쌓여 있을 정도이다. 꽃은 술을 담가 먹거나, 말려서 베개 속으로 쓰면 두통이나 탈모에 효과가 있고, 머리칼이 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고 한다. 어린 싹은 나물로 무쳐 먹고, 잎은 떡을 찔 때 넣으면 향기를 내 준다.

 

구절초는 바닷가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특히 높고 깊은 산에서 군락을 이룬다. 구절초는 종으로는 단일종이지만, 품종은 몇 가지가 있다. 산구절초는 높이 10~60cm· 꽃 직경3~6cm이며, 바위구절초는 중북부 지방의 깊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로 높이 20cm·꽃 직경 2~4cm이다. 포천구절초는 한탄강 지역에 자생하며 꽃색이 분홍빛이 돈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피나무의 비교사진  (0) 2007.09.15
화살나무의 효능  (0) 2007.09.15
몸에 좋은 산야초  (0) 2007.09.15
암으로 부터 이길수 있는 54가지 산야초  (0) 2007.09.15
야관문ㅡ부작용 없는 천연비아그라  (0) 2007.09.15

- 이름으로 찾기 / 증상별로 찾기 -

각혈

자란

간기

냉이

간담

참나물

간염

돌나물

간헌열

수국

감기

금감 인동

강장

개나리 고삼 구기자나무 대추 독활 만병초

맥문동 명자꽃 민들레 복분자 산수유 삼지구엽초

소나무 얼레지 왕머루 용담 천마 포도

강정

박주가리 엉겅퀴

개고기 먹고 체한데

산사나무

거담

도라지 맥문동 은행나무 회향

건위

고삼 더덕 민들레 수영 회향

결핵

박주가리

고혈압

두릅나무 참나물

관절염

댕댕이덩굴

관절통

인동

구내염

꼭두서니

구충

석류 호박

기관지염

까마중

기침

모과나무 수국 호박 회향

노인의 좌골 신경통

왕머루

눈병

결명자

늑막염

자란

단독

호박

당뇨병

닭의장풀 두릅나무 메꽃 주목 향등골나무

대소변 불통

아욱

대하증

돌나물 마타리 엉겅퀴

독충에 물렸을 때

나팔꽃 박주가리

돼지고기먹고체했을 때

꽈리

두통

만병초 수세미오이

땀띠

꿩의비름

류머티즘

개다래 댕댕이덩굴 소나무 월계수

만성늑막염

싸리

목구멍이 부었을때

범부채

목통

냉이

몸이 쇠약할때

대추

발이 부르튼 데

방광염

도라지

백일해

금감 뽕나무

뱀,벌레에 물렸을 때

바위취

버섯중독

가지

변비

말오줌나무 이질풀 질경이

보경

미나리

보신

삼지구엽초

복막염

싸리

복통

모과나무 오이풀 작약

부스럼

꿩의비름

부인병

익모초

부인유종,음종

감국

부인음냉

오미자

부인의 불감증

메꽃

부인의 하혈

엉겅퀴

부종

옥수수

불로 장수

구기자나무 톱풀

불면증

대추

비건

포도

빈혈

명자꽃

사마귀

씀바귀

산기

회향

산전 산후의 보양

개연꽃 만삼

산후 혈통

마타리 산사나무

생선뼈가 목에 걸렸을 때

유자나무

설사

마디풀 오이풀 작약 짚신나물

소염

율무

소화불량

민들레

소화촉진

산사나무

수종

고비 당근

숙취

수세미오이

술독

유자나무

식욕 촉진

구절초

신경 쇠약

천마

신경통

개오동 곰취 댕댕이덩굴 독활 두릅나무 석류 소나무

수세미오이 월계수

심장병

맨드라미 수국 여주 이삭역귀

십이장 궤양

감자

악성종기

개오동

안질

범부채

알콜 중독

은행나무

어류 중독

말오줌나무

어린이의 경련

바위취

어린이 구토

얼레지

어린이 입술 터진데

아욱

어혈

엉겅퀴

여드름

개나리

여름 더위

씀바귀

연주창

천남성

오장 강화

메밀

개나리 수영

환하

대추

요통

고비

용음

만병초

유선염

산수유

유암

엉겅퀴

유정

유행성 눈병

마타리

월경과다

산수유

월경 불순

꼭두서니 꿀풀

위경련

여주

위궤양

감자 애기똥풀

위병

금감

위산 과다

용담

위장통,위카타르

여주 얼레지

음경 발기 불능증

포도

음낭 습양

독활

이뇨

고사리 까마중 꼭두서니 쇠뿔석이 싸리 아욱

옥수수 인동

이질

비름 석류 이질풀

인후종

금감

일사병

호박

임질

고비 꿀풀 쇠뿔석이 소나무 질경이

입냄새 제거

천궁

입술이 갈라지는 데

비름

자궁병

민들레

자궁염

맨드라미

자양

왕머루 은행나무

자양 강장

고사리 대추 뽕나무 율무

정력 증진

구기자나무 달래 당근 메꽃 삼지구엽초 오미자

종기

곰취 꿩의비름 쇠뿔석위 인동

중독

중풍

개다래 겨울딸기

중풍에 의한 반신불수

개구리밥

지혈

냉이 마타리 박주가리 수영 짚신나물

진해

오미자 은행나무

천식

겨울딸기 복분자딸기 뽕나무 질경이

청맹

냉이

청명

결명자

출혈이 심한 치질

톱풀

충혈

질경이

치루하혈

맨드라미

탈항

고사리

통풍

꽈리 복분자딸기

편도선염

범부채 잇꽃

폐기

더덕

폐병

당근 도라지

항암

율무

피부병

소리쟁이

해열

까마중 말오줌나무 수영

허로

혈변

미나리

혈압강하,혈압조절

주목 메밀

황달

더위지기(인진쑥) 미나리 사철쑥 참나물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살나무의 효능  (0) 2007.09.15
구절초의 효능  (0) 2007.09.15
암으로 부터 이길수 있는 54가지 산야초  (0) 2007.09.15
야관문ㅡ부작용 없는 천연비아그라  (0) 2007.09.15
암에 좋은약초  (0) 2007.09.15
1. 신선초 - 줄기에서 나오는 노란 즙에 뛰어난 약효가 있다

2. 당근 - 야채 중 단연 으뜸인 풍부한 양의 카로틴이 작용

3. 순무 - 평지과 식물 특유의 성분이 암 발생율을 방지

4. 콜리플라워,브로컬리 - 평지과 식물 특유의 유황 화합물이 암 발생 억제

5. 양배추,싹양배추 - 암세포를 공격하는 백혈구의 작용을 강화

6. 케일 -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카로틴, 비타민 C, 클로로필이 유효

7. 호박 - 활성 산소를 격퇴시키는 카로틴과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

8. 고구마,감자 - 항 산화, 항암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9. 생강 - 강렬한 매운 성분과 방향 성분이 암을 예방

10. 자소 - 방향 성분에 항 산화작용이 있다

11. 토마토 - 붉은 색소가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여 암을 억제

12. 가지 - 발암 물질의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13. 피망,칼라 피망 - 매운맛을 내는 성분과 방향 성분, 색소 성분도 유효

14. 시금치 - 카로틴과 비타민 C 등 풍부한 항암 성분이 작용

15. 마늘 - 강렬한 방향 성분 속에 항암 성분이 숨겨져 있다

16. 부추 - 마늘과 동일한 방향 성분이 유효

17. 파,양파 - 독특하고 자극적인 냄새와 매운맛을 내는 성분이 유효

18. 염교(락교) - 유황 화합물이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19. 버섯류 - 버섯의 다당류가 신체의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20. 해조류 - 다당류가 암세포로 하여금 스스로 자멸하도록 유도

21. 오트(귀리) - 풍부한 식이 섬유와 특유의 미량 성분이 암을 예방

22. 보리 - 풍부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세포의 암화를 방지

23. 밀기울 - 풍부한 식이 섬유가 발암의 위험성을 감소시킴

24. 현미 - 정백미에 없는 성분이 암을 예방

25. 쌀겨 - 풍부한 비타민 B군.E와 식이 섬유의 이중 작용

26. 대두.대두제품 - 유해한 활성 산소 제거 작용으로 암 발생 방지

27. 콩류 - 대두와 마찬가지로 아이소플라본이 작용

28. 꼬투리 콩류 - 항 산화작용이 있는 비타민이 풍부

29. 참깨 - 강력한 항암 작용을 가진 성분을 다수 함유

30. 견과류 - 산화를 억제하는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

31. 카레 가루 - 노란 색소에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32. 감초 -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성분이 암세포를 격퇴

33. 허브류 - 독특한 향을 발산하는 방향 성분에 항암 작용이 있다

34. 올리브유 - 강력한 항 산화성분이 암 발생을 억제

35. 등푸른 생선 - 생선의 지방이 암세포에 대한 공격력을 향상시킴

36. 오징어 먹물 - 무코 다당류.펩티드 복합체가 면역력을 항상시킨다

37. 가리비 - 가리비 국물에 암을 억제하는 성분이 있다

38. 우유 - 양질의 단백질이 면역력을 향상시킨다

39. 요구르트 - 유산균이 신체를 방어하는 작용을 향상시킨다

40. 녹차 - 떫은맛을 내는 성분이 암 발생과 촉진을 억제

41. 커피 - 항 산화물질이 암화를 방지

42. 와인 - 항 산화작용이 암 발생 원인을 제거한다

43. 아보카도 - 항산화 비타민도 작용하지만 그 외의 성분도 있다

44. 감귤류 - 압도적으로 많은 항 산화비타민이 암을 얼씬도 못하게 한다

45. 바나나 - 백혈구의 작용을 향상시켜 암세포를 공격한다

46. 키위 - 풍부한 비타민 C가 암 발생을 방지

47. 딸기류 - 식소 성분과 항 산화비타민이 정상 세포의 암화를 방지

48. 멜론 - 멜론의 색소가 암 발생을 억제

49. 사과 - 펙틴이 장 속을 청소하여 발암 물질을 격퇴

50. 상어 연골 - 암의 신생 혈관 생성 억제, 증식, 전이 방지, 진통효과

51. 프로폴리스 - 암 발생을 예방할 뿐 아니라 암세포를 소거하기도

52. 키틴.키토산 - 면역력을 증강시켜 암세포의 증식. 전이를 방지

53. 알로에 -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성분이 암을 격퇴

54. 황기차 - 활성 산소의 해로부터 신체를 보호
(나가카와 유조 지음 식탁 위에 숨겨진 항암식품 54가지)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절초의 효능  (0) 2007.09.15
몸에 좋은 산야초  (0) 2007.09.15
야관문ㅡ부작용 없는 천연비아그라  (0) 2007.09.15
암에 좋은약초  (0) 2007.09.15
신체부위별 이로운 약초  (0) 2007.09.15
 
 
 
 
 
 
 
 
 
 
 
 
 
 
 
 
 
 
 
 
 
 부작용없는 천연 비아그라 야관문

야관문은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이다.
우리말로는 비수리라고 하며 한자로는 절엽철소추(截葉鐵掃帚), 야관문(夜關門),
삼엽초(三葉草), 야계초(野鷄草), 반천뢰(半天雷), 폐문초(閉門草), 공모초(公母草),
음양초(陰陽草), 백관문초(白關門草), 야폐초(野閉草)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야관문은 밤에 빗장을 열어 주는 약초라는 뜻이니 그 이름이 묘하다.
이것을 먹으면 천리 밖에서도 빛이 난다고 하여 천리광(千里光)이라고도 한다.

또 큰 힘을 나게 한다 하여 대력왕(大力王)이라고도 하며, 뱀을 쫓는다고 하여
사퇴초(蛇退草)라는 이름도 있다. 야관문은 흔한 풀이다.
새로 찻길을 닦느라고 깍아낸 비탈 같은 곳에 무리지어 자란다.
고속도록 옆에 무리지어 자라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옛사람들은 이 풀을 꺾어서 묶어 빗자루로 쓰기도 했다.
그러나 이처럼 흔하고 천대받는 풀이 비아그라 못지 않은 효과를 지녔다고 하면
누가 믿기나 할까. 야관문은 이름 그대로 밤애 닫힌 문을 쉽게 열 게 할 수 있는 약초다.

여러 가지 남성 질병, 양기부족, 조루, 유정, 음위증 등을 치료하는 데
뛰어난 효력이 있다.
2-3일만 복용하면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부작용이 전혀 없는 천연 비아그라의 효능을 지닌 약초라고나 할까.
그러나 야관문을 그냥 달여 먹거나 가루 내어 먹어서는 전혀 효과가 없다.
차로 끓여 먹어도 마찬가지다.
야관문은 반드시 술로 우려내야만 그 진가가 나타난다.
35도 이상 되는 증류주에 야관문을 술 양의 3분의 1쯤 넣고
3개월쯤 우려내어 한 잔씩 마신다.
특히 신장기능이 허약한 노인들의 양기부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몇몇 사람들한테 야관문으로 만든 술을 마시게 하였더니 과연 효험이 있었다.
이렇게 좋은 약초를 길 옆에 내 버려두고 사람들은 왜 신장의 기능을
고갈시키고 부작용도 만만찮은 비아그라만 열심히 찾는 것일까.

야관문은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폐와 간, 콩팥에 주로 작용한다.
간과 콩팥을 튼튼하게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몽정, 대하, 설사, 타박상, 천식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근육과 힘줄을 부드럽게 하며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한다.
또 열을 내리고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이며 유방에 생긴 종기, 뱀에 물린 상처,
눈이 빨갛게 충혈된 것을 치료한다. 위궤양, 탈항에도 효과가 있다.
야관문의잎, 뿌리, 줄기에는 플라보노이드, 피니톨, 페놀, 탄닌, 시토스테롤 등이 있는데,
이들 성분이 염증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상구균, 연쇄상구균,
카타르구균 등을 죽이거나 억제한다.


기침에도 탁월한 효과

야관문을 9-10월에 채취하여 잘 게 썰어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쓰기도 하고,
신선한 것을 그대로 약으로 쓸 수도 있다.
말린 야관문 80그램에 물 한되(1.8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100밀리리터쯤 되게 농축하여 설탕을 약간 넣고 한 번에 50밀리리터씩 아침,
저녁으로 하루 두 번 밥먹고 나서 먹는다.
10일 동안 복용하기를 몇차례 반복한다. 야관문은 기관지염이나 기관지 천식을
기침을 심하게 하고 가래가 많이 나오는 데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3-4일 만에 효과가 나타나는 사람도 있고 10일 이상 지나야
조금씩 효과가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약을 먹는 동안 일종의 명현반응으로 현기증이 나거나 속이 메스꺼우며
구토가 나고 설사를 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입 안이 허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며칠 지나면 저절로 없어진다.
증상이 가벼운 사람일수록 효과가 빠르고 증상이 몹시 심한 사람도 잘 듣는다.
80퍼센트 이상이 낫거나 호전된다.


야관문으로 여러 질병 고치기

간열로 눈이 침침하고 눈이 충혈된 데

야관문 40그램과 꿀 약간에 물 1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한 시간 가량 달여서
하루 두세 번에 나누어 밥 먹고 나서 먹는다.
혹은 가을철에 야관문 씨를 받아 가루 내어 한 번에 4-5그램씩 먹거나
가루를 꿀로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 야관문을 오래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눈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설사, 급성위염

야관문의 뿌리, 잎, 줄기 말린 것 100그램을 잘 게 썰어 물 1.2리터에 넣고
200밀리리터가 되게 농축하여 고운 천으로 거른다.
이것을 3-5시간마다 어른은 50밀리리터씩, 아이나 노인, 허약한 사람은
어른 양의 반이나 3분의 2쯤으로 줄여서 계속 먹는다.
하루나 일주일 사이에 대개 낫는다.


당뇨병

야관문 30~50그램에 오골계 살코기를 적당하게 넣고 은근한 불로 푹고아서 먹는다.
아니면 하루에 말린 야관문 40~80그램에 물 한되를 붓고
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수시로 차 대신 마신다.
야관문은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데에도 상당한 효력이 있다.


기력부족, 허약체질

야관문 뿌리 40~80그램, 꿀 30그램에 물 1리터를 붓고
약한 불로 달여서 하루 두세 번에 나누어 먹는다.
야관문 씨를 가루내어 한 번에 4~5그램씩 하루 두세 번 먹어도 좋다.


신경쇠약

야관문 뿌리 30-40그램에 물 한 되를 붓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 두 번에 나누어 먹는다.
야관문은 신경쇠약에도 좋은 효험이 있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좋은 산야초  (0) 2007.09.15
암으로 부터 이길수 있는 54가지 산야초  (0) 2007.09.15
암에 좋은약초  (0) 2007.09.15
신체부위별 이로운 약초  (0) 2007.09.15
노루발 풀  (0) 2007.09.14

 

암에도움되는 자연산 약초

 

癌에도 가족력이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상식 .부모와 형제 간 암이 있으면 자신도 같은 종류에 암에 걸린다는 뜻이다.

  1. 부모가 암일 경우 자신도 같은 암에 걸릴 확률

      악성림프종(호지킨병)----4.88 배       고환암----4.26 배         갑상선암----3.26 배             난소암-----3.15 배  

      식도암-----3.14 배                 폐암-------2.90 배                 위암------2.17 배                대장암-----1.86 배

      백혈병-----1.85 배                 유방암-----1.84 배                 자궁경부암-------1.82 배

  2. 형제자매가 암일 경우 자신도 같은 암에 걸릴 확률

      고환암------9.28 배         악성림프종(호지킨병)----5.84 배       콩팥암-----4.74 배       전립선암----4.46 배

      난소암------4.25 배         갑상선암-------3.89 배                    피부암------3.63 배       위암-----3.29 배

      폐암------- 3.12 배           대장암-------2.87 배                       유방암------2,03 배

  3. 암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 주의해야 할 수칙

     + 암을 일으키는 식습관이 있는지 따져본다.

     +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있는지 따져본다.

     + 운동 부족이나 비만이있는지 살펴본다,

     + 담배를 피우거나 간접흡연에 노출됐는지 따져본다.

     + 직업적으로 발암물질에 장시간 노출됐는지 알아본다.

     + 정기검진을 자주 , 더욱 철저히 받는다.

     + 100 %  유전암이 아닌지 따져본다.

  4. 대 책

       특정암이 부모나 형제자매 간 발생한다면 먼저 가족들이 공유해온 습관중 잘못된 것이 무엇인지 따져봐야한다.

     폐암의 경우 흡연, 위암과 대장암은 식사(육류섭취와  짠음식 등),  유방암과 전립선암또는 난소암은 운동부족과 비만,

     피부암은 햇볕에 장시간 노출한 것이 원인이다.이들을 제거 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생활 습관이 문제가  아니라면 유전자 탓이다. 이 경우 예방는 불가능하므로  대책은  철저한 조기검진 뿐이다. 예컨데 음식을

      싱겁게 먹고 불에탄 고기나 가공식품을 좋아하지 않는데도  집안에 위암이 많다면 남들이 40세 이후 2년에 한번 내시경 검사를

      한다면 35세 이후부터 1년에 한번 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으로 부터 이길수 있는 54가지 산야초  (0) 2007.09.15
야관문ㅡ부작용 없는 천연비아그라  (0) 2007.09.15
신체부위별 이로운 약초  (0) 2007.09.15
노루발 풀  (0) 2007.09.14
고삼 (너삼)  (0) 2007.09.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