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는 가을에 서리가 내린 후 익는 열매를 따서 얇게 썰고 핵을 제거한 다음 햇볕에 말린다.
또는 쪄서 익힌 다음 껍질과 핵을 제거하여 찧어서 떡을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약으로 쓸 때는 그냥 쓰거나, 약한 불에 표면이 담황색이 되게 술로 볶아 식힌 후 쓴다.
이것을 ‘초(炒)산사’ 라고 한다.
혹은 겉이 타서 황갈색이 될 때까지 강한 불로 볶은 후 맑은 물을 뿌린 다음 햇볕에 말려 쓴다.
이것을 ‘초(焦)산사’ 라고 한다.
겉이 타서 흑색이 될 때까지 강한 불로 볶은 후 맑은 물을 뿌린 다음 햇볕에 말려 쓰기도 하는데,
이것을 ‘탄(炭)산사‘ 라고 한다.
오랫동안 묵은 것이 좋으며, 알이 고르고 크며 껍질이 붉고 질이 단단하며 살이 두꺼운 것이 좋은
품질이다.
산사는 찔광나무, 애광나무, 동배나무 등의 속명으로 불리는데, 종류가 다양해 넓은잎산사, 좁은잎
산사, 털산사, 가세잎산사 등이 있다. 우리말로는 ‘아가위’ 라고 하며, 장미과에 딸린 식물의 열매
이기 때문에 일명 ‘당구자’ 라고도 하며, 약용할 때는 ‘산사육’ 이라고 한다.
산사나무는 장미과의 낙엽목이며 대개는 중부 이북지방에 많이 자란다.
15m 안팎까지 자라고 가지에는 털이 없고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달걀 모양, 세모꼴 등 여러 가지 모양이다.
길이는 5~10cm로 새의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5월에 지름 1.8cm 정도의 흰색 꽃이 피며 산방화서에 여러 개씩 달린다.
9월에 이과(梨果)가 익으며, 둥글고 흰색 반점이 있는 지름 1.5cm 정도의 과실은 붉은색으로 익는다.
산사자의 효과
혈액을 깨끗하게 해주며, 콜레스테롤을 줄인다.
그래서 고지혈증, 관상동맥경화증 등을 예방하는 데 매우 이롭다.
혈관을 확장하여 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낮춰준다. 동물실험 결과 혈압을 천천히
지속적으로 하강시키고 3시간 정도 유지시킨다고 한다.
혈압을 떨어뜨리는 데는 잎과 꽃도 약으로 쓸 수 있다.
특히, 육식을 소화시키는 작용이 뛰어난데, 함유된 리파제가 지방류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한다.
그래서 식욕부진, 위산결핍증 또는 위산과다증에 쓰고, 체증이 오랫동안 내리지 않아 가슴과 배가
답답할때, 또는 위산과다증에 쓰고, 체증이 오랫동안 내리지 않아 가슴과 배가 답답할때, 굳은 대변을
보고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할 때도 효과가 있다.
또한 설사, 이질 등에도 쓰인다.
산사를 진하게 달인 탕제는 각종 적리균 및 녹농균에 대해 억제 작용이 있다.
생리통, 부인과 질환에 의한 요통, 산후 오로증 등에 쓴다.
복용 방법은
산사자 20g, 계피20g,을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흑설탕을 조금 타서 하루 동안 여러 차례
나누어 마신다. 혈액순환장애가 있을 때도 좋다.
산사자 15~20g을 물 300cc로 끓인 다음 반으로 줄면 설탕을 조금 타서 마신다.
산사자 12g, 금은화 12g, (혹은 연잎을 함께 넣어도 좋다)을 물500~700cc로 달여 반으로 줄면 하루
동안 나누어 마신다. 종기를 비롯한 여러 염증을 가라앉히는 데도 도움이 된다.
산사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씨를 발라내 하루 20~40g씩을 물을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여 하루 동안
나누어 마신다. 혹은 산사육을 볶아 가루 내어 적리에는 벌꿀로 개고, 백리에는 누런 설탕과 흰설탕
을 섞고, 적백리에는 벌꿀과 설탕을 각각 절반씩 섞어서 1회에 4~8g을 온수로 빈 속에 복용한다.
산사육, 녹용을 각 같은 양 가루 내어서 벌꿀로 0.3g 크기의 알약을 지어 1회에 100알을, 1일 2회
복용한다.
주의
비위가 약하여 평소 대변이 묽거나 잘 먹지 못하는 경우, 혹은 평소 쇠약한 경우나 병을 앓고 난
후에는 복용에 주의해야 한다.
충치가 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해롭다.
생것을 너무 많이 복용하면 번조하고 쉽게 배가 고프며 치아가 손상된다. 그러므로 공복에 복용해서
는 안 된다.
인삼과 함께 복용하면 안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산약초 조심하세요 (0) | 2007.09.15 |
---|---|
마가목 (0) | 2007.09.15 |
비단 풀(위암/직장암/골수암/ 뇌종양) (0) | 2007.09.15 |
유독성 식물 모음 (0) | 2007.09.15 |
당뇨인을 위한 산야초 모음 (0) | 2007.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