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효

운지버섯은 침엽수와 광엽수의 죽은나무, 혹은 그루터기에서 자라나는 원형 및 반원형의 흑색, 혹은 회색의 버섯이다. 그 조직이 가죽처럼 질기로 딱딱하여 맛도 없어서 식용으로 쓰이지 않으나 근래에 항암성분이 발견되어 유명해진 버섯이다..


이 버섯의 학술명은 Coriolus versicolor이며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에 속한다.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민간약으로 쓰이고 있음에 착안하여 그 성분을 추출해서 약리실험을 거쳐 항암작용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함암성분이 다당류(polysacchaide)이므로 PS로 약칭하였다. 운지버섯 다당성분은 주로 위암, 식도암, 간암, 결장직장암, 폐암 및 유방암 등의 고형암에 효과가 있다. 이 항암성분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이를테면 암환자에게는 T세포 기능, 지연형 앨러지반응, 거식세포의 기능, 인터페론 생성 및 흉선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데, 여기에 이 성분을 주면 이들 중요한 기능들이 정상으로 회복된다. 암 치료용 화학요법제를 여러번 투여하거나 방사능 조사 치료를 하면 면역기능이 감소되는데 이 성분이 이를 정상수준으로 복구시켜 준다..


이와같이 생체의 저하된 면역기능을 상승 시켜주어 치료하는 방법을 "면역요법"이라 한다. 운지버섯 다당체를 다른 암치료제와 병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


만성 기관지염, 관상 순환장애, 위궤양, 만성 간장염, 관절염, 고혈압 등 질병에 효과 운지버섯은 산골 오지 큰 그루터기 나무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나무에 무리지어 붙어있는 버섯의 모습이 하늘의 구름과 같다하여 구름버섯으로도 불린다.


운지버섯은 항암효과와 간세포 손상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어 만성간질환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황버섯과 영지버섯에 못지 않는 항암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지버섯에 비해 가격이 싼 탓으로 눈을 돌 리는 이들이 많으나, 저렴한 가격에임에도 불구하고 항암효과 및 약리효과 면에서는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최근에는 저렴한 가격을 반영하여 제약회사에서 운지버섯을 이용한 건강 드링크류가 시중

서 많이 판매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운지버섯은 재배보다는 순수 자연상태에서 채집하는 것이 많다. 깊은 산중이 아니더라도 어렵지 않게 자연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운지버섯의 기능성 성분중에서 PSK라는 성분은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항암효과 이외에도 면역체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터페론은 암세포의 성작을 억제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세포들의 생장, 분열을 억제하는 반면, 이 성분은 면역기능의 강화를 통해 암세포를 제거한다..


인터페론을 비롯한 항암제의 경우,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다른 정상적인 세포까지 억제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부작용이 있으나, 운지버섯에서 추출한 PSK라는 성분은 경우는 직접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암세포의 생장을 억제한다. .


한국생약학회에서 주최한 제 2회 운지버섯 국제심포지움에서 운지버섯 연구학자들은 천연운지버섯의 독특한 성분에서 효능에서 효능까지 특히 항암효과와 간염 및 만성질환 등에 관한 연구 논문을 약리학, 병리학, 임상학적으로 분류 발표 함으로써 운지버섯의 신비한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운지버섯 복용법.


운지버섯을 달일 때 다른 약재를 첨가하기도 하나, 운지가 갖고 있는 효능을 잃지 않게 하려면 가급적 다른 약재의 첨가를 최소량으로 한다. 지나치리만큼 다른 약재의 첨가는 삼가는 것이 좋다. .


운지를 약재로 달일 때는 0.5~1리터 정도의 물에 운지갓 10~20개 정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장기간 복용해야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적당량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다. 우리가 흔히 먹는 보리차 대신 운지를 재료로 차를 끓여 마시는 습관도 가족건강에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


운지를 달이는 데 있어, 한번만 사용하고 버리는 것이 아니다. 한번, 두 번, 세 번이고 우려낸 물이 맛을 내지 않을 때까지 몇 번이건 달여 복용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대의 효능  (0) 2014.11.20
야생 솜양지꽃 (번백초)의 효능  (0) 2014.05.02
노각나무의 효능  (0) 2013.12.01
개비름의 효능  (0) 2013.11.25
패란의 효능  (0) 2013.11.25

 

 

 

 

 

 

 

 

'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산에...  (0) 2013.12.18
함박눈이 펑펑~~~  (0) 2013.12.11
퇴색짙은 산하  (0) 2013.11.26
낙엽은 떨어지고  (0) 2013.11.25
겨울로 가는 산  (0) 2013.11.23

 

 

 

 

'야생 약초(약재) 자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산도라지  (0) 2013.12.09
야생 대형 잔대  (0) 2013.12.05
헛개나무 열매  (0) 2013.12.01
ㅎ 공짜 같다.(야생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산마(참마)  (0) 2013.11.25

 

 

 

 

 

 

 

 

 

 

 

 

'야생 약초장터 (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지치(주치)  (0) 2013.12.09
야생 산도라지  (0) 2013.12.05
야생 오베자(붉나무열매)  (0) 2013.12.01
야생 장생 대형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지치(자초)  (0) 2013.11.25

 

 

 

 

'야생 약초장터 (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산도라지  (0) 2013.12.05
야생 산지치. 야생 산도라지  (0) 2013.12.03
야생 장생 대형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지치(자초)  (0) 2013.11.25
야생 산도라지  (0) 2013.11.22

 

 

 

'야생 약초(약재) 자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대형 잔대  (0) 2013.12.05
야생 산 더덕  (0) 2013.12.03
ㅎ 공짜 같다.(야생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산마(참마)  (0) 2013.11.25
야생 산 더덕  (0) 2013.11.22

 

 

근육과 사지마비를 풀어주는 노각나무

 

노각나무는 차나무과(동백나무과) 노각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노각나무속은 전세계에 8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노각나무1종이 분포하고 있다.

 

높이는 7~15미터까지 자란다주로 남부 지방의 산에서 자란다.나무껍질은 얇게 벗겨지고 회갈색의 무늬가 있다.

어린 가지는 흰색 털이 있지만 차차 없어지고 겨울눈은 긴 달걀형이며 곁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달걀형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뒷면에 잔털이 있다어린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흰색 꽃이 탐스럽게 핀다.꽃잎은 5~6장이며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열매는 5각뿔 모양이며 비단털이 있다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10월이다. 

나무껍질이 벗겨지면 적황색 얼룩무늬가 있다고 하여'비단나무'라고 불린다.노각나무의 다른 이름은 모란帽蘭,노각나무, 노가지나무, 비단나무, 금수목 등으로 부른다.모란(帽蘭)차나무과의 떨기나무.

 

노각나무(Stewartia pseuco-comellia Maxim. var. koreana {Nakai} Kim.)의 나무껍질과 뿌리 껍질이다.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효능: 서근활혈(舒筋活血) 활혈(活血) 작용이 있어서 타박상으로 어혈(瘀血)이 진 것을 풀어주고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이 있을 때에 유효하다.노각나무의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근육과 힘줄을 풀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타박상, 풍습으로 인한 마비를 치료한다. 노각나무의 잔가지 또는 뿌리를 20~40그램을 물로 달여 먹거나술에 담가 우려내어 먹는다

 

남부지방 일부에서는 노각나무를 고로쇠나무처럼 간장병, 위장병, 신경통, 관절염에 수액을 받아 먹는다고 한다.남부지방에서 산행을 하다보면 수피가 매끈 매끈하고 껍질 군데 군데 가로수로 심는 플라타너스인 양버즘나무처럼 얼룩무늬가 있는 나무를 발견할 수 있다.

 

노각나무는 간염이나 간경화증, 지방간과 같은 여러 종류의 간질환과 손발마비, 관절염 등에 뛰어난 치료 효과가 있는 약나무다.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도 탁월하고 알코올 중독, 농약 중독, 중금속 중독을 풀어주는 작용도 뛰어나다.

 

산에서 넘어져 발을 삐었거나 다쳤을 때 노각나무 껍질을 짓찧어 붙인 다음 노각나무 껍질이나 잔가지를 달여서 먹으면 오래 지나지 않아 통증이 없어지고 부은 것이 내린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솜양지꽃 (번백초)의 효능  (0) 2014.05.02
운지 버섯의 효능  (0) 2013.12.03
개비름의 효능  (0) 2013.11.25
패란의 효능  (0) 2013.11.25
바디나물의 효능  (0) 2013.11.25

 

 

 

 

 

 

'야생 약초장터 (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산지치. 야생 산도라지  (0) 2013.12.03
야생 오베자(붉나무열매)  (0) 2013.12.01
야생 지치(자초)  (0) 2013.11.25
야생 산도라지  (0) 2013.11.22
야생 개다래 즙 (통풍 치료에)  (0) 2013.11.18

 언젠가 기억도 안나는데..어저께 냉장고 속을 뒤지다 보니..세상에 ~~~~???

 깜빡 잊고 넣어두었던 야생산도라지 봉지가 나온다 뒷쪽은 아예 이렇게 얼음이 얼려있다. ㅋㅋ~~

 얼음이 없는 앞쪽에도 싱싱함 그대로 잘~~보존돼 있다.

 참 신기할 정도로 탱글탱글하게 썩지도 않은체로.... 야생약초가 좋은점이 바로 이거다.

  재배산은 여름에는 몆일만 보관해봐도 바로썩는다. 그만큼 야생약초는 생명력이 대~단 하다는거다.

 

 

'야생 약초(약재) 자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산 더덕  (0) 2013.12.03
헛개나무 열매  (0) 2013.12.01
야생 산마(참마)  (0) 2013.11.25
야생 산 더덕  (0) 2013.11.22
야생 산도라지  (0) 2013.11.13

 

 

 

 

 

 

 

 

 

 

 

 

 

 

 

 

'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박눈이 펑펑~~~  (0) 2013.12.11
초겨울의 산하  (0) 2013.12.03
낙엽은 떨어지고  (0) 2013.11.25
겨울로 가는 산  (0) 2013.11.23
깊어가는 가을 산  (0) 2013.1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