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비름은 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밭이나 길가의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3080cm 정도의 키로 자라며 약간의 가지를 친다. 전체에 털이 없으며 꽃은 가지끝과 잎겨드랑이에 짤막한 이삭꼴로 뭉쳐 피어난다.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꽃의 지름은 2mm내외이고 빛깔은 푸르다. 6~7월에 개화 한다.

 

비름과에 속하는 식물은 10여 종 있는데 개비름은 본래 유럽식물이며 번식력이 강하다. 3월에 씨앗을 뿌리면 쑥쑥 잘 자라므로 농가에서 재배하곤 한다. 들에서 채취해다가 장터에서 파는 것도 볼 수 있으며 시금치보다 구미를 돋우는데 봄부터 가을까지 어린 잎을 계속 식용할 수 있다.

 

맛이 순하고 부드러워 나물로 무쳐 먹거나 국거리로 이용하기에 좋다. 파를 조금 넣고 참기름과 고추장에 버무리는 것이 우리 식성에 맞다. 쓰고 떫은 기운이 전혀 없으므로 가볍게 데쳐 조리하면 된다.

 

기름으로 볶든지, 튀김도 괜챦고 된장찌개에 넣는가 하면 두부와 함께 버무린다. 그 감칠맛에 모두 무릎을 친다. 어린 것은 생식하는데, 녹즙용으로도 이용된다. 맛은 담백하여 시금치와 흡사하다. 여름의 성숙한 개비름은 맛이 없고 다소 질긴 기운이 있어 나물보다는 잎을 달여 차로 마시는 것이 좋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지 버섯의 효능  (0) 2013.12.03
노각나무의 효능  (0) 2013.12.01
패란의 효능  (0) 2013.11.25
바디나물의 효능  (0) 2013.11.25
야생 번백초(솜양지꽃)의 효능  (0) 2013.08.08

 

건비이습음(健脾利濕飮)조성 

 

하엽 10g, 계지 10g, 진피 10g, 택사 15g효능

건비이습, 감비강지(健脾利濕, 減肥降脂. 비장을 건강하게 하고 습을 이롭게 하며, 살을 빼고 지방을 낮춘다.치료

 

 

단순 비만용법

1000ml를 붓고 500ml가 남을 때까지 달인 다음, 250ml씩 아침과 저녁 밥 먹기 30분 전에 복용한다. ()에 열이 확실히 많은 경우에는 석고 20g와 생지황 10g을 추가한다. 비장이 많이 허약한 경우에는 당삼 15g과 복령 15g을 넣는다. 대변이 굳은 경우 대황 6g(나중에 넣여 달임)을 넣는다. 성정이 억압되고 우울한 사람은 시호, 울금, 불수를 넣는다. 어혈(죽은 피)가 많은 사람은 당삼과 생포황을 넣는다. 비장이 허약하고 습이 막힌 사람은 패란을 넣는다. 위에 열이 있고 습이 막힌 사람은 이 처방의 단삼을 태자삼으로 바꾸고 하엽, 천황련, 생석고를 넣는다.효과

 

 

48건을 치료하여 체중이 줄어든 경우는 40건으로, 0.5~2kg으로 제각각인데 평균 1.2kg이 줄었다 한다. 치료 후에 체중이 정상 범위로 줄어든 경우는 18건이었으며,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가 확실히 줄어들었고 치료 전과 비교하여 확실한 차이를 보였다 한다. 48건 중에 효과가 없는 경우는 8건이었다니 놀랍다. 실험에서 생쥐에 이 약을 1주일간 투약시키자 콜레스테롤, 체중, 복강내 지방 등이 많이 줄었다 한다.

 

 

본 처방은 조성이 간단하여 4가지 약만 있지만, 비장을 건강하게 하고 습을 다스리는 효과가 매우 넓어, 비장이 허약하고 습이 성한 비만 환자가 자주 사용할 수 있다. 하엽은 맛이 쓰거 떫으며 성질이 평한데 그 기능은 더위를 식히고 습을 이롭게 하며 양기를 올리고 지혈 작용이 있다. 계지는 매운 맛으로 흩어내고 따뜻하게 통하게 하며, 심장의 경락에 들어가 혈분으로 가서, 혈맥을 통하게 하고 추위를빼낸다. 두 약이 합하여 비장의 양기를 돕고 기가 움직여 수습을 다스리는 것이다. 진피는 매운 맛으로 흩어지게 하고 쓴 맛으로 아래로 내리며, 방향한 성질로 비장을 깨워, 기를 다스리고 습을 말리며 비장을 건강하게 한다. 택사는 달고 담백하며 습을 빼내며,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간섭하고 이를 분해/배설하는 작용이 있어 혈당을 낮추고 지방간을 막는다. 모든 처방이 다 더해져 비를 건강하게 하고 습을 다스리며 기를 움직이게 한다. 이 처방은 담습이 많지만 한열이 명확하지 않으며, 허약한 증상이 확실하지 않는 비만 환자에게 쓴다.평위산합이진탕가미(

 

 

胃散合二陣湯加味)조성

창출 15g, 후박 9g, 진피 9g, 감초 4g, 반하 10g, 복령 15g효능

건비화담리습(健脾化痰利濕. 비장을 건강하게 하고 담을 화하며 습을 이롭게 한다)치료

 

 

단순 비만용법

1000ml를 붓고 500ml가 남을 때까지 달인 다음, 250ml씩 아침과 저녁 밥 먹기 30분 전에 복용한다. 유방이 땡기고 아픈 사람은 귤핵 15g을 넣는다. 대변이 통하지 않는다면 번사엽 6g을 넣는다. 기가 짧고 힘이 부족하며 식은땀이 나면 황기 15g을 넣는다. 목이 마르고 물을 자주 마시고 싶은 사람은 태자삼 15g과 맥문동 10g을 넣어 위장의 음기를 자양한다. 가슴과 엽구리가 아픈 사람은 시호 9g, 현삼 9g을 넣는다. 조열과 식은땀이 나는 사람은 지골피 9g과 지모 9g을 넣는다. 불면증이 있으면 구등 9g, 야교등 12g을 넣는다. 위에 열과 습이 막힌 사람은 황련 12g과 창포를 12g 넣는다. 간의 기가 막히고 맺힌 사람은 시호 10g, 울금 10g, 지실 10g을 넣는다. 기가 막히고 죽은 피가 있는 사람은 생향부 12g을 넣는다.효과

 

 

고지방 비만 44건을 치료했는데 남자는 32건 여자는 12, 연령은 22~61세로 평균 37.5, 최단 1년에서 최장 14년까지 평균 2년동안 비만이 있었고, 가벼운 비만은 22건 중간 정도는 13건 심각한 비만은 9, 치료 3개월 후에 완전히 치료된 경우는 8건 효과를 많이 본 경우는 23건 효과가 있는 경우는 13건 효과가 없는 경우는 8건으로 총 유효율 81.18%.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가 많이 조절되었고 평균 체중 감소량 3.1kg. 투약 후에 대부분의 환자가 몸이 가벼워지고 속이 더부룩한 증상이 사라졌으며, 대변이 잘 나오고 몸이 피곤한 증상이 사라졌다. 고혈압이 같이 있는 환자도 치료 기간 동안 혈압이 안정되었고 혈당도 개선되었다.

 

 

본 처방은 평위산과 이진탕을 합치고 이를 조절하여 만든 것으로, 습을 말리고 비장을 건강하게 하며 기를 다스려 담을 없애고 속을 화평하게 한다. 비장은 운화를 주관하며 마른 것을 좋아하고 젖은 것을 싫어하며, 위로 올라가길 좋아하고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싫어한다. 습사가 너무 심하다면 비장의 양기가 제한을 받아 비위가 불화(不和)하여 습탁이 쉽게 생기는 것이다. 비장이 건운(健運)을 잃어버리면 습탁이 사라지지 못해 서로 엉겨붙어 담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본 처방은 창출을 주약으로 사용하는데 그 맛은 달면서도 메마르다. 단 맛은 비장에 들어가고 메마른 성질은 습을 이긴다. 후박의 맛은 따뜻하면서도 쓴데, 따뜻한 성질은 비장에 베풀어지고 쓴 맛은 습을 말리기에,  창출과 후박이 비장의 기운을 두텁게 할 수 있다.

 

 

진피는 기를 다스릴 수 있고 감초는 비장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데, 기가 움직이면 습이 막혀서 병이 생기지 않게 되며, 비장이 강하며 습을 조절할 수 있다. 하나는 보하고 하나는 사하는 것이 이 약의 규칙이다. 메마른 성질은 습을 없애니 반하의 맵고 따뜻하며 메마른 성질을 이용하여, 전문적으로 습을 말리고 담을 없애고, 이에 겸하여 위장을 조화시키고 거꾸로 올라간 것을 아래로 내린다. 담은 습에서 생기고 습은 비장에서 생기기에, 복령을 넣어 비장을 건강하게 하고 습을 빼내며, 비장이 건강해지면 수곡 정미를 몸에 잘 분포시킬 수 있고, 수곡과 진액이 퍼지면 습이 몸 안에서 생기지 못하며, 담 역시 습이 뭉치지 않으니 생기질 못한다. 따라서 이 처방은 비장이 허약하고 습이 막혀 비만이 생긴 환자에게 효과가 좋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각나무의 효능  (0) 2013.12.01
개비름의 효능  (0) 2013.11.25
바디나물의 효능  (0) 2013.11.25
야생 번백초(솜양지꽃)의 효능  (0) 2013.08.08
까마중(용규)의 효능  (0) 2013.05.14

 

바디나물의 다른 이름은 전호(前胡: 뇌공포구론)라고 한다.

해열, 진통, 기침, 가래, 감기, 기관지염, 류마티즘, 두통, 열성질병, 이질, 만성장염, 신경쇠약 및 항암작용, 항궤양작용, 항경련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균작용이 있는 바디나물

 

바디나물은 산형과(미나리과) 바디나물속에 속하는 산과 들의 습지 근처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80~150cm 까지 자란다. 줄기에 세로줄이 발달했다.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삼각상 넓은 난형이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길이 10~30cm이다. 작은잎은 3~5장이고 잎자루가 퉁퉁하며 다시 깊게 3~5갈래로 갈라지고 잎몸의 일부가 날개 모양으로 되며 난형~피침형이다. 결각 모양의 톱니와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밑이 자줏빛이 도는 엽초로 되어 있다.

 

꽃은 짙은 자주색꽃이 모여피거나 또는 흰색꽃(흰 바디나물)이 모여 핀다. 산형화서는 10~20개이며 총포는 1~2개이다. 열매는 분과이고 타원형으로 납작하고 유관은 5~10개이다. 개화기는 8~9월이다.

 

바디나물속은 전세계에 약 8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개구릿대, 처녀바디(좀바디나물), 흰 바디나물, 잔잎바디(선바디나물), 구릿대, 바디나물(사약채), 제주사약채(개강활), 왜천궁, 참당귀, 삼수구릿대, 갯강활, 궁궁이(백봉천궁, 심산천궁, 천궁), 지리강활(유독식물)이 자라고 있다.

 

빛꽃이 피는 바디나물을 자화전호(紫花前胡, 압각칠:鴨脚七, 야랄채:野辣菜, 산원수:山芫, 상근자묘:桑根子苗, 압각전호:鴨脚前胡, 야각판:野脚板: 중약대사전), 토당귀(土當歸: 식물명실도고)등으로 부른다.

 

흰꽃이 피는 바디나물을 백화전호(白花前胡, 야근채:野芹菜, 암풍:岩風, 남석방풍:南石防風, 파지석방풍:坡地石防風, 계각전호:鷄脚前胡, 암천궁:岩川芎: 중약대사전), 이마채(姨媽菜, 나귀채:蘿鬼菜: 이종방, 검지), 수전호(水前胡: 식물명실도고)등으로 부른다.

 

다른 이름: 사약채

높이 1~1.5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1~2번 깃겹잎이고 쪽잎은 긴 타원형이다. 가을철에 검은 가지색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핀다. 각지의 살골짜기, 높은 산 습지에 자란다.

 

성분

정유 함량은 열매에서 0.49 퍼센트, 꽃이삭에서 0,35 퍼센트, 잎에서 0.04 퍼센이다. 총쿠마린 향량은 여문 열매에 1.3~1.8 퍼센트, 뿌리에 1.2~4.7 퍼센트, 전초에 0.8 퍼센트이다.

뿌리와 열매에는 쓴맛물질, 스테롤, 탄닌질, 잎고 줄기에는 약간의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가 확인되었다.

 

응용

우리나라에서는 쓰지 않으나 동약 전호로 쓰는 나라도 있다. 즉 열내림약, 아픔멎이약, 기침약, 가래약으로 감기, 기관지염, 류머티즘, 머리아픔, 열성질병, 신경쇠약에 쓴다. 남부에서는 뿌리를 강활 대용으로 쓴다.

바디나물 달임약(6~12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바디나물에 대해서 한의학 박사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전호(前胡)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바디나물 의 뿌리이다. 전호. 와 털전호 의 뿌리가 대신 사용된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차다.

강기거담(降氣祛痰), 선산풍열(宣散風熱)

 

폐에 담이 쌓여서 발병한 천식, 가슴이 답답하고 가래가 잘 나오지 않는 증상에 유효하다.

감기로 인한 발열, 해수, 두통에 활용된다.

 

성분

nodakenin, spongesterol,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마취한 고양이에게서 기관지 점액 분비 촉진 작용이 나타났다.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유행성감기 바이러스에 효과가 있고, 항궤양 작용, 항경련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항암작용이 있으며, 피부진균 등에 일정한 항균 효과가 있다.

 

바디나물의 채취는 가을부터 겨울에 채취한다. 잎과 줄기가 시들면 주근을 파내어 줄기, , 수염뿌리 및 흙을 제거하여 햇볕이나 온돌에 말린다.

바디나물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 , 방광, 간경에 작용한다.

 

풍열(風熱)을 흩어지게 하고 기()를 내리며 가래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풍열에 의한 두통, 담열천(痰熱喘: 수독, 열독에 의한 기침), 구역, 신진대사촉진, 모든 과로, 피로회복, 해수, 식욕증진, 오장소통, 곽란에 의한 근육경련, 골절번민(骨節煩悶), 반위, 호흡곤란, 거담작용, 페열 및 담열 제거, 발한작용, 간기를 조절하여 눈을 밝게함, 각막 혼탁 제거, 계절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유행성열병, 흉격만민(胸膈滿悶)을 치료한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주의사항 및 배합 금기 

반하(半夏)를 보조약으로 한다. 조협()과 여로(藜蘆)를 꺼린다.

기허혈소(氣虛血少)한 사람이 복용하면 안 된다. 음허화치(陰虛火熾)에 의한 진음(眞陰: 신수(腎水)의 손상, , 해수, 천식 증상이 있는 사람, 진기(眞氣)가 쇠약하고 기()를 원래대로 돌리지 못하며 흉협역만(胸脇逆滿: 밑으로부터 치밀어 오르는 듯한 가슴팽만)감이 나는 사람, 두통이 담에 의한 것이 아니고 음혈허(陰血虛)로 인한 사람, 내열에 의해 가슴이 답답하고 체표에 한열이 있지만 외감이 없는 사람은 복용하면 안 된다.

 

일부 약초를 하시는 분들의 글을 보면 연삼이라 하여 당뇨병에 특효인 것처럼 말하는 것을 보는데 본초에서는 감기, 해열에 사용하던 산야초인 것을 고려한다면 과도한 광고성 글이 아닌가 생각된다.

 

바디나물 뿌리는 생재일 때는 향기가 그리 강하지 않으나 건조가 진행 될수록 강항 향기를 남기며 생재를 씹어보면 시원한 느낌이 있고 건재일 때는 강한 향이 입안을 가득 채우는 느낌이다마르면 당귀향보다 더욱 강하고 고소한 느낌이 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비름의 효능  (0) 2013.11.25
패란의 효능  (0) 2013.11.25
야생 번백초(솜양지꽃)의 효능  (0) 2013.08.08
까마중(용규)의 효능  (0) 2013.05.14
삼백초의 효능  (0) 2013.05.10

 

 

 

'야생 약초(약재) 자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헛개나무 열매  (0) 2013.12.01
ㅎ 공짜 같다.(야생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산 더덕  (0) 2013.11.22
야생 산도라지  (0) 2013.11.13
야생 구기자  (0) 2013.11.07

 

 

 

'야생 약초장터 (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오베자(붉나무열매)  (0) 2013.12.01
야생 장생 대형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산도라지  (0) 2013.11.22
야생 개다래 즙 (통풍 치료에)  (0) 2013.11.18
야생 곰보배추 효소  (0) 2013.11.13

 

 

 

 

 

 

 

 

 

 

 

 

 

 

 

'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겨울의 산하  (0) 2013.12.03
퇴색짙은 산하  (0) 2013.11.26
겨울로 가는 산  (0) 2013.11.23
깊어가는 가을 산  (0) 2013.11.18
울긋불긋 고운 산  (0) 2013.11.13

 

 

 

 

 

 

 

 

 

 

 

 

 

 

 

 

 

'산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색짙은 산하  (0) 2013.11.26
낙엽은 떨어지고  (0) 2013.11.25
깊어가는 가을 산  (0) 2013.11.18
울긋불긋 고운 산  (0) 2013.11.13
붉게물든 가을 산  (0) 2013.11.05

 

 

 

'야생 약술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천마 약술 자랑  (0) 2014.05.08
야생 108합주 강장주  (0) 2014.01.24
야생 적하수오 약술꺼리  (0) 2013.03.30
야생 적하수오 약술꺼리  (0) 2013.03.25
108합주 강장주 선물셑  (0) 2013.01.31

 

 

 

 

 

'야생 약초장터 (판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장생 대형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지치(자초)  (0) 2013.11.25
야생 개다래 즙 (통풍 치료에)  (0) 2013.11.18
야생 곰보배추 효소  (0) 2013.11.13
야생 지치(주치)  (0) 2013.11.07

 

 

 

 

'야생 약초(약재) 자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ㅎ 공짜 같다.(야생 산도라지)  (0) 2013.11.26
야생 산마(참마)  (0) 2013.11.25
야생 산도라지  (0) 2013.11.13
야생 구기자  (0) 2013.11.07
야생 잔대  (0) 2013.11.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