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개연꽃 

식물명 개연꽃
개구리연, 개연, 긴잎련꽃(중)
분류군 수련과


잎은 근생이며 침수엽과 수상엽, 2형이 있다. 침수엽은 길고 좁으며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막질이다. 수상엽은 긴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밑부분이 전형(箭形)이며 길이 20-30cm, 폭 7-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은 어릴 때 털이 약간 있으며 광채나는 혁질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서 난상 구형이며 물속에서는 초록색이고 길이 4cm내외이며 익으면 물컹해져 종자가 나온다.


꽃은 황색으로 8~9월에 피며 뿌리에서 원주형의 긴 화경(花梗)이 나와 황색 꽃이 1개씩 달리며 꽃은 지름 5cm이고 5개의 꽃받침잎은 넓은 도란형이며 원주이고 길이 2.5cm로서 꽃잎같으며 꽃잎은 많고 장방형으로서 밖으로 젖혀진다. 수술은 황색으로서 많으며 밖으로 굽고 자방은 광란형이며 다실(多室)이고 암술머리는 방석처럼 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뿌리
근경은 비후하고 옆으로 뻗으며 굳은 해면질(海綿質)이고 군데군데 잎이 달렸던 자리가 있다. 


왜개연꽃, 개연꽃의 종자를 萍蓬草子(평봉초자), 뿌리를 萍蓬草根(평봉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萍蓬草子(평봉초자)

 

약효

助脾(조비), 厚腸(후장), 滋養强壯(자양강장), 健胃(건위),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體虛衰弱(체허쇠약), 소화불량, 월경불순, 산전산후의 출혈, 기타 부인병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萍蓬草根(평봉초근)
근경을 가을에 채취한다.

약효

補虛(보허), 健胃(건위),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病後衰弱(병후쇠약), 소화불량,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개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쌍떡잎식물.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 정도.
뿌리줄기는 비스듬히 누운 모양으로 갯솜질이며, 드문드문 잎자루를 내어 울퉁불퉁하다.
잎은 뿌리줄기에 붙어 나는데 잎자루가 길고 물 위에 나며 긴 달걀꼴이다.
잎밑은 화살 모양으로 뾰족하며 끝은 동글고 톱니가 없으며 길이 20㎝ 안팎으로 연하고 두껍다.
물에 잠긴 잎은 좁고 길고 얇으며 잎가장자리에 주름이 잡힌다.


긴잎좀련꽃이라고도 한다. 개천·못·늪 등의 물 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벋는다. 잎은 뿌리줄기 끝에서 긴 잎자루를 내는데, 물 속의 잎은 좁고 길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고 물 위의 잎은 긴 타원형이며 겉은 윤이 나고 뒷면은 연한 갈색이다. 길이 20∼30cm, 나비 7∼12cm이다.

꽃은 8∼9월에 물 위로 나온 긴 꽃자루 끝에 1송이씩 노란빛으로 핀다. 지름은 약 5cm이다. 꽃받침은 5장이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길이 2.5cm 정도이다. 꽃잎은 여러 장이며 직사각형이다. 씨방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수술은 여러 개이며 암술머리는 쟁반 모양이다. 열매는 초록빛 장과로 물 속에서 익는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한방의 천골(川骨)은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 신체허약·피로회복·소화불량·장염·월경불순·산전산후 등의 증상에 처방한다. 한국(전남·경기·강원)·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평봉초자 (萍蓬草子)
수련과의 여러해살이풀 개연꽃의 열매이다.

건위 소화 작용이 있어 위장 기능을 왕성하게 한다.
신체 허약에 자양 강장 효력을 나타내고,
여성의 생리 불순을 치료한다.

호흡 중추 마비 작용을 나타낸다.

가을부터 이듬해 봄 사이에 물 속에 있는 뿌리 줄기를 캐어 두 조각으로 쪼개서 건조시킨다. 이것을 1회에 2-5g 씩 달여서 차 대용으로 복용하면 보혈제와 산전산후의 보양제가 된다. <식이요법>
유선염에는 뿌리 줄기를 으깨어 밀까루를 섞어서 반죽하여 질긴 종이나 거즈 등에 펼쳐서 환부에 붙히면 통증을 멎게하는 효과가 있다. <보제방>

월경 불순 등으로 기분이 좋지 않을 때
하루양으로 천골(생약명) 5~12그램을 400cc의 물에 넣고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 3회에 나누어 공복시에 복용한다.

타박
천궁,천골,복속,계지 각3그램,감초1.5그램, 정자,대황 각 1그램을 400cc의 물에 넣고 달여 1일 3회 식전에 복용한다.
타박에 따른 붓기와 통증에 좋다.
(복속은 상수리나무의 껍질)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출의 효능  (0) 2009.07.05
석삼 (바위떡풀)의 효능  (0) 2009.07.03
냉초의 효능  (0) 2009.06.29
초종용의 효능  (0) 2009.06.28
바디나물의 효능  (0) 2009.06.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