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종용
식물명 초종용
열당, 갯더부살이, 사철더부살이, 쑥더부살이, 사철쑥더부살이, 개더부사리
학명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분류군 열당과
잎
인엽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윗부분이 좁으며 원줄기와 더불어 백색이고 길이 1-1.5cm로서 긴 털이 드문드문 있다.
열매
삭과는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10mm가량이고 6-7월에 익어 두쪽으로 갈라져 많은 흑색 종자를 떨어낸다.
꽃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2c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에 빽빽하게 길이 3-10cm의 수상화서로 달린다. 화수(花穗)는 전길이의 1/3-1/2이고 솜같은 긴 털이 있으며 포는 삼각형 또는 좁은 삼각형이고 윗부분이 가늘다. 꽃받침은 막질로서 꽃 길이의 1/2정도이며 5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순형이며 밑은 통부이고 윗부분은 휘어지며 겉에 털이 있고 상순은 넓고 끝이 요두이며 하순은 3개의 난원형 조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파상이다. 수술은 4개로서 그 중 2개가 길다.
줄기
줄기는 연한 자주빛이 돌고 원줄기는 가지가 없으며 굵고 높이 10-30cm로서 백색 융모가 있으며 인엽이 있다.
뿌리
줄기 기부에 육질의 근경에서 자란 잔뿌리가 기주의 뿌리에 붙는다.
원산지
한국
형태
기생식물
크기
높이가 10-30cm정도로 자란다.
생육환경
강가의 모래자갈 땅, 쑥뿌리에 기생한다.
결실기
6월,7월
이용방안
전초를 양위, 유정, 신염, 방광염, 위장염에 쓴다.
오리나무더부살이(육종용)과 같이 자양강장제로 쓰이는 초종용은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생하는데, 사철쑥 뿌리에 기생하는 다년생 식물로 갈색 줄기에 5-6월께 연한 보랏빛 꽃을 피운다. 초종용은 심신을 튼튼하게 하고 기력 보충에 효과가 있어 예부터 귀한 약재로 쓰이며 이런 효능 때문에 '불로초'로 불리기도 한다.
1990년대 초까지 국내에는 영종도와 울릉도 등에 초종용 군락지가 있었으나 영종도의 경우 국제공항이 건설되고 울릉도는 외곽순환도로가 개설되면서 훼손돼 희귀한 식물이 되었지만, 얼마전에 충남 태안군에서 대규모 군락지가 발견되었으나 이마저 각종개발사업때문에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식물을 말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색깔은 초록색이다.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생태계에 1차 생산자로서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성작용을 하여 영양분을 만들고 이를 생태계에 공급하면 먹이사슬 고리를 통해 영양분이 고루 퍼지게 된다. 결국 우리가 이렇게 먹고 사는 것도 식물을 녹색으로 보이게 하는 엽록소 덕택인 셈이다.
그런데 식물 중에는 초록색을 하나도 가지지 않는 식물들도 있다.
어떻게 그렇게 되냐고, 그래도 식물이냐고 궁금해 하는 사람도 많겠지만 대답은 간단하다.
기생식물이기 때문이다. 기생식물 중에도 겨우살이나 동백나무겨우살이처럼 광합성도 하면서 기생하는 식물도 있지만 이번에 소개하는 초종용을 비롯한, 가지더부살이 개종용 같은 식물들은 초록을 전혀 볼 수 없다.
그 중에서도 초종용은 희거나 갈색빛이 도는 줄기에 보라색 꽃을 피워서 독특하다. 키는 한 뼘쯤 크기로 자라지만 아주 상태가 좋으면 30cm 정도로 자라기도 한다.
워낙 생김새가 독특하여 처음 보면 무엇이 잎인지 꽃인지 가늠이 잘 안되지만 줄기에는 비늘조각 같은 길쭉한 잎이 어긋나게 달려 있고(물론 초록이 아니라 유백색이다) 꽃은 이즈음 줄기 끝에 피는데 길이가 1, 2cm 정도의 작은 꽃들이 아주 빽빽하게 모여 달린다.
이 꽃이 달리는 부분이 식물 전체 길이의 3분의 1 심지어는 2분의 1이 되기도 한다. 꽃은 통꽃이고 암술과 4개의 수술 등 완벽한 고등식물 구조를 가지고 있다. 물론 그 자리에 열매도 익는데 타원형 열매 속에는 까만 씨앗이 많이 들어 있다.
초종용은 주로 바닷가에 산다. 울릉도가 주 분포지로 알려져 있지만 서해지방의 섬이나 바닷가 모래땅에서도 드물게 볼 수 있다. 이웃인 아시아 북부의 여러 나라와 유럽에도 있다. 양분을 빼앗아 먹는 기주 식물(奇主植物)은 사철쑥이다.
땅 위에서 보면 따로 자라는 듯 보이지만 땅속에서는 초종용 육질의 뿌리줄기에서 자란 잔뿌리가 기주의 뿌리에서 양분을 수탈한다. 초종용이 대신 이 기주식물에게 무엇을 주고 있는지 전혀 알 수 없으니 현재로써는 공생(共生)이 아닌 기생(奇生)인 것이다. 그래서 초종용의 다른 별명은 사철쑥더부살이이다.
이렇게 다른 식물이 공들여 만든 양분을 수탈해가는 기생식물이란 존재는 불필요한 것일까? 지금까지 알려진 과학의 발달로 모든 섭리를 알 수는 없지만 초종용을 비롯한 비슷한 종류의 식물들은 약용식물로도 유명하다.
초종용의 경우 위와 신장에 염증을 치료하거나 위를 튼튼이 하며 강정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같은 집안 식구로 백두산에 살고 있는 오리나무더부살이는 현지에서 불로초(지방에 따라 부르는 이름은 여러 가지 일 수 있다)로 통하고 있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연꽃의 효능 (0) | 2009.06.30 |
---|---|
냉초의 효능 (0) | 2009.06.29 |
바디나물의 효능 (0) | 2009.06.26 |
천년비아그라 한련초 (0) | 2009.06.25 |
토복령의 효능 (통풍에 특효) (0) | 2009.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