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蓼(수료) ;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 전초에는 tadeonal(polygodial), isotadeonal, confertifolin 및 polygonone을 주성분으로 하는 辛辣(신랄)한 精油(정유)가 0.07-0.13%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에는 persicarin, quercetin, quercitrin, quercimeritrin, hyperin 등이 있다. Flavonoid 배당체의 함유량은 과실이 익기 시작할 무렵 최고로 되며, 잎 속의 함유량은 9%에 달하는데 이후 떨어진다. 또 β-sitosterol, β-sitosterol glucoside, 납칭 염화칼륨 2.6%, alklaoid, leucoanthocyanin도 함유되어 있다. 줄기나 잎에는 6.71%의 탄닌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化濕(화습), 行滯(행체), 祛風(거풍),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사세복통, 吐瀉轉筋(토사전근), 水樣性 下痢(수양성 하리), 이질, 류마티즘痛(통), 각기, 癰腫(옹종), 疥癬(개선), 타박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 복용하거나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환부에 붙이거나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水蓼根(수료근) ; 가을 개화시에 채취한다.
성분 : 철 0.02-0.64% 외에 anthraquinone glucoside, flavoniod, phenol성분,
sterol,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약효 : 除濕(제습), 祛風(거풍), 活血(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水樣性下痢(수양성 하리), 胃腹絞痛(위복교통), 류마티즘성 骨痛(골통), 월경불순, 피부습진,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근다. <외용> 煎汁(전즙)으로 씻거나 볶아서 뜨거울 때 塗布(도포)한다.
蓼實(요실) ; 가을에 성숙 열매를 雜物(잡물)은 제거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말린다. ②溫中(온중), 利水(이수), 破瘀(파어),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吐瀉腹痛(토사복통), 水氣浮腫(수기부종), 癰腫瘡瘍(옹종창양), 나력을 다스린다.
용법/용량 : 달여 복용하거나 분말, 생즙으로 복용한다.
<외용> 전즙으로는 환부를 씻고 분말을 고루 바른다.
여뀌의 효능은 다양하다.
특기할 것은 적혈구가 수명을 다하면 파괴되어 재생되거나 배설되어야 하는데
파괴되지 않고 혈액속에 섞여서 떠돌아다니면 그것이 어혈이다.
온갖 질병의 원인이되는 어혈을 파괴하는 것이 여뀌의 효능인 것이다. 破瘀(파어)
여뀌는 백혈병에도 특별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