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충엽(杜冲葉) 가을이 되면 낙엽 지는 모든 식물들은 다 잎이 단풍이 들면서 땅에 떨어지는데 유독 이 두충나무만은 파란 잎 그대로 떨어지고 만다. 땅에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해서 그런지 특성상 그런지는 잘 모르지만 신기하기만 하다.

 

아무렇게나 뒹구는 이 잎을 약으로 사용하면 건강장수에 현저한 공효를 보이는 것이 너무 안타까워서 소개한다. 그리고 이 식물은 가짜가 없는데 그 이유는 이 나무껍질이나 잎, 종자, 뿌리껍질에서 모두 하얀 실이 나오므로 진품만이 유통된다. 효능에서는 두충(나무껍질)과 유사하나 생각보다 효력이 매우 우수하다.

 

이 약은 두충나무과에 속한 낙엽 지는 큰키나무인 두충나무(Eucommia ulmiodes Oliv)의 잎이다. 원래는 나무껍질을 약용했으나 잎이 신통해서 다각도로 연구를 하니 대단한 효력이 나타나고 자원도 풍부하고 보호한다는 의미가 있다. 지금은 국내에서 너무 많이 심어서 잉여품이 되었지만 30년 전만 해도 고가품의 약에 속하였으므로 예측 못한 우리나라에서는 지나치게 과잉 생산되어 생산자는 골탕을 먹고 있다. 지금은 마구 베어버리는 상황이 되었으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본래 원산지는 중국이며 약 100여 년 전에 국내에서 심기 시작하여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이 약은 약성이 비교적 온화하고 약간은 매운 듯 하면서 쓴맛을 지닌다. 그래서 주로 간이나 신장에 들어가서 효력을 나타낸다. 약효 성분은 geniposide, acid, liriodendrin, pinoresinol, diglucoside eucommiol 1-deoxyeucommiol 등의 여려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약효는 간신기능을 증강시켜서 근육과 골격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하강시킨다. 어린잎을 채취하여 건조 후 약간 볶아서 차로 마시면 머리가 맑아지고 상쾌하면서 소변의 배설이 왕성케 된다. 나무껍질인 두충과 함께 요통에 효력이 좋다. 이 약의 제조방법으로는 부셔서 후라이팬에 놓고 하얀 실이 다 없어지도록 살짝 볶아서 사용하는데 만약 실을 그냥 쓰면 소화력이 감퇴되면서 약효가 떨어지고 헛배만 불러오게 된다.

 

허리가 아픈 증상에는 물 1리터에 20g을 넣고 1시간 끓여서 그 물을 마시면 골질을 강하게 하면서 골질재생에도 큰 힘을 얻게 된다. 그리고 노년기에는 척추와 그 사이에 연골세포가 손상을 받아서 앉고 서기가 불편하고 보행 장애, 신축력 부족, 하지무력, 허리와 등뼈의 은은한 통증 등으로 자유스럽지 못할 때에 효력을 나타낸다. 요즈음 흔히 말하는 허리 디스크와 골다공증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실험적으로는 진통 진정, 항염증작용을 입증하고 있다.

 

여성이나 남성도 나이가 많으면 골다공증이 동일선상에서 진행케 되므로 한 번 넘어지면 잘 못 일어나고 혹자는 영영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는 사람도 만나 보았다. 또 우리는 주변에서 잘 걷지 못하고 구부리고 걸으며 아주 척추가 만곡 된 사람도 보게 되는데 이런 사람은 일생동안 이 약을 장복하면 병증의 진행을 막고 치료의 효험도 얻게 된다. 그런데 단 몇 회에서 효력을 얻기 보다는 최소 몇 개월에서 일생동안 결심하고 복용하면 큰 효험을 얻는다.

 

성장촉진은 어린이의 최대 꿈이다. 남들보다 작으면 왠지 위축이 들고 큰사람에게 모든 면에서 자신이 없는 것 같고 주접이 들게 된다. 이것은 심리적으로 자신의 세력권에서 밀리는 것을 느끼기 때문과 미적 용모에서도 그러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두충 잎을 장기 복용하면 골질의 분화와 성장세포의 분화가 왕성케 되고 단단한 뼈를 유지 할 수 있어서 큰 효험을 보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므로 효력이 증대 된다.

 

비만 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 이 약을 볶아서 장복하면 이뇨 작용이 현저하다. 흡사 커피를 마시면 뇨량이 증가 하듯이 이 약은 커피보다 우수한 이뇨효과로 비만에 좋은 식용, 약용이 된다. 그러니까 오래 장복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년년 익수의 효력을 유지하게 된다. 5. 혈압강하작용을 나타내므로 고혈압환자가 장복하면 혈압하강과 현저한 이뇨작용으로 효력을 나타내게 한다. 그리고 간에 들어가서는 당원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키므로 효력을 얻고 장기 복용하면 할수록 간 기능이 왕성케 된다. 용량은 1회 4-30g이며 금기는 없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에 좋은 약제  (0) 2008.01.07
한방 약제 이름과 민간약제 이름 비교  (0) 2008.01.07
산자고 (까치무릇)  (0) 2007.12.29
반지련  (0) 2007.12.29
익모초의 활용  (0) 2007.1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