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재 |
기 능 |
의이인(薏苡仁) |
몸에 불필요한 수기(水氣)와 습기를 제거, 피를 맑게 하면서 순환을 돕는다. 입맛 감소, 이뇨 작용, 항균 작용이 있다. |
숙지황(熟地黃) |
비만치료에 필수적인 입맛 감소. 그리고 적게 먹었을 때 오는 변비 예방은 물론 지구력을유지 시켜준다. |
당귀(當歸) |
혈액의 기능을 돕고, 이뇨·항균·진정·진통의 효과도 있어 홍화·소목·천궁 등과 어울려 비만자에겐 필수적인 약재. |
천궁(川芎) |
체중 감량을 위해 음식 섭취량을 대폭 줄일 때 나타나기 쉬운 두중통(頭重痛:머리가 아프거나 무겁고 어지러운 증세)을 없애준다. |
홍화(紅花)· 소목 (蘇木) |
혈액 속의 지방과 지질을 제거하며, 피를 맑게 해준다. |
감초(甘草) |
입맛 감소와 한약의 독성을 완화. 강한 단맛을 함유하고 있어 식욕을 감소시킨다. |
상백피(桑白皮) |
갈증을 줄여주고 이뇨작용을 하며, 입안의 구취를 줄여 준다. |
목통(木通) |
으름덩굴나무 줄기인 목통은 비만증 치료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데, 음식물 섭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지방이 다량 분해될 때 생기는 노폐물을 소변을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시켜주며, 저항력 감소로 인한 제반 질병의 발생을 막아준다. |
택사(澤瀉) |
다년생 식물뿌리인 택사 역시 강력한 이뇨 작용을 하며, 체력 저하 또는 피로로 나타날 수 있는 허열과 심한 갈증을 막아준다. |
등심(燈心) |
이뇨작용을 한다. |
백복령(白茯) |
소나무의 묵은 뿌리 주변에 기생하는 불규칙한 모양의 균체를 가리킨다. 체내 소변 배출을 원활케 하여 비습(지방층의 수분)을 제거하고 체중을 줄이는 한편, 부종 등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황기(黃己) |
기력 및 정력을 상승시켜 식사량 감소에 따른 지구력과 정신력 저하를 막아준다. 황기의 뿌리는 허한 증세로 인한 식은땀, 진땀을 막아주며, 강심·강장 작용이 있어 지구력과 정력을 높여주고, 잔병에 대한 면역성이 있다. |
산약(山藥), 산수유(山茱萸) 녹각(鹿角) |
허로(虛勞:허약하고 쉽게 피로함)를 보강하고 기력과 정력·지구력을 강화시키는 약재들. 이런 기능들은 체중 감소를 위해 식사량을 급격히 줄이거나 평소보다 운동량을 증가 시킬 때 오기 쉬운 체력 및 지구력, 질병에 대한 저항력의 저하를 막아주고 근육의 힘을 증가시켜준다. |
갈근(葛根) |
칡뿌리로 해열, 해기(解肌:근육을 풀어주는 기능), 갈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
녹용(鹿茸) |
식이요법 때 오는 어지러움 방지, 성장기 어린이 성장 유지, 수험생의 기억력·집중력 향상 등에 도움이 되며, 비만여성의 경우 생리조절·불임증에 효과가 있다. |
두충(杜沖), 독활 (獨活), 우슬(牛膝), 속단 (續斷) |
이들 약재는 체중 감소시 예상되는 근육·뼈·관절의 약화를 방지하고, 성장기에 키의 성장을 돕는 데 효과적이다. |
음양곽(淫羊藿) |
주로 신(腎) 계통을 보해주어 성 기능과 성장 호르몬을 정상화시키며, 비만 치료시 염려되는 체력 저하 및 질병에 대한 저항력 감소를 막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