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간암,페암,자웅암,유방암,식도암,방광암,백혈병
까마중은 항암 효과가 높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등 그것이 지닌 약성은 놀랍다.
특히 소화기관계통의 암을 비롯함 각종암의 치료약재로 널리 쓰인다.
까마중은 가지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식물 전체가 얼핏 보기에 가지나 고추를 닮았다.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게 붙어 있으며 키는 1m 쯤 자란다
여름철에 조그맣고 하얀 꽃이 피어 가을에 콩알 만한 열매가 까맣게 익는다.
열매에 즙이 많아 아이들이 따먹기도 하는데 별로 맛이 없으며 어린잎은 나물로도 먹는다.
한자로는 용규(龍葵) 고규(苦葵) 흑성성(黑星城) 등으로 쓰고 까마중 등으로 부른다.
까맣고 반질반질하게 익은 열매가 승려의 머리를 닯았다고 해서 까마중이란 이름이 붙었다.
사투리로는 까마중이 깜두라지, 먹딸,강태, 개꼬리 라고도 부른다.
햇볕이 잘드는 길가의 빈터 밭둑 묵은밭 같은데서 흔하게 자란다.
까마중은 옛날부터 민간에서 종기나 악창을 치료하는 약재로 흔히 써왔다.
당본초. 도경본초 . 본초강목 . 같은 옛 중국 의학책에는 까마중이 열을 내리고 오즘을 잘 나오게 하며 원기를 북돋아 준다고 적혀있다. 뿐만 아니라 잠을 잘자게하고 종기로 인한 독과 타박상 어혈등을 다스리며 갖
가지 광석의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고 나와 있다.
까마중은 또한 항암작용이 매우 세므로 암치료약으로 널리쓴다.
위암이나 간암 또는 암 때문에 복수가 차는데 효험이 있다.
까마중은 위암, 간암, 폐암, 자궁암, 유방암,백혈병, 식도암, 방광암 등 어떤 암에도 쓸수 있다.
한방으로 쓸때는 뿌리채 뽑아 그늘에서 말려 잘게 썬것을 160g에 물1.8ㅣ를 붓고 푹 닳여서 그 물을 차 대신 수시로 하루에 다 마신다. 이와 겸해 밭마늘을 불에 구워서 죽염과 함게 먹으면 효과가 더 빠르다.
마늘은 하루에 다섯통 이상 먹어야 한다.
특히 까마중은 간암이나 간경화로 인해 배에 물이 고일때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까마중에 짚신나물이나 오이풀 등을 더해 쓰면 항암작용이 더헤어질 뿐 아니라 짚신나물과 오이풀의
떫은 맛을 줄일수 있다
까마중 40~50g 짚신나물 30~40g 오이풀 20~30g 을 푹 닳여서 하루에 다 마신다.
식도암,위암, 장암 같은 소화기관의 암에는 까마중 30g과 뱀딸기 15g에 물1되를 붓고 절반으로
줄어 들때까지 닳여서 마신다.
또는 까마중 30g, 속썩은 풀60g, 지치뿌리 15g을 닳여서 하루 두번에 나눠 마신다.
간암에는 까마중60g 만천잎30g을 닳여서 하루에 세번 나눠 마신다.
자궁겸부엄에는 까마중 30~60g을 물로 닳여 하루 세번에 나눠 마신다.
까마중에는 솔라닌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다. 솔라닌은 감자싹이난 가지의 줄기 등에도 들어 있으며
약간 독성이 있다.
솔라닌은 물에서는 거의 풀리지 않고 많은 양을 먹으면 중독 되지만 양에서는 염증을 없애고 심장을
튼튼히 하는 약리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