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염. 요도염.성기능 촉진.
고삼은 열을 식혀 습을 제거하고 살충 작용도 한다.
그래서 여드름 치료에는 으뜸인데, 중국 금나라 때 어의였던 장자화도 여드름 치료에 고삼을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만드는 방법은 고삼 500g과 적작약, 동과 각 120g, 현삼 30g을 햇볕에 잘 말린 뒤 곱게 가루를 낸 것을 따뜻한 물에 풀어서 잠자기 전에 환부에 바른다.
적작약은 혈액순환을 돕고. 동과는 피부에 윤기를 주고. 현삼은 열을 식혀 독을 제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습과 열의 독대문에 생기는 여드름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고삼 600g에 적작약·동과자 20g, 현삼 10g을 섞어서 보드랍게 가루낸 뒤 이것을 아침저녁 세수할 때마다 조금씩 문지르면 기미 및 여드름에 효과가 있다.
높이 약 1m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버들잎 모양의 쪽잎이 6~8쌍 모인 깃겹잎이다. 이른 여름 노란풀색 꽃이 가지 끝에 핀다. 열매는 긴 꼬투리이다. 잎 모양이 회화나무(괴)와 비슷하여 지괴, 수괴, 야괴라는 별명이 있다.
효능
건위약, 오줌내기약, 열내림약, 아픔멎이약, 살충약으로 황달, 오줌을 누지 못할 때, 옴, 습진, 마름버짐에 쓴다. 또한 수렴성 피멎이작용이 있어 적리와 설사, 치질, 자궁출혈, 흰이슬에도 쓴다. 오래 먹으면 좋은 강장약이 된다고 한다.
여성들의 성기능을 높여 준다고도 한다. 완화약, 가래약으로 기관지염, 패결핵에도 쓴다. 또한 호흡흥분약으로도 쓰는데 아마도 시티진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악성 종양을 치료할 때에는 달여서 쓴다. 황달과 열성질병, 선병에도 쓰며 머리아픔, 류머티즘, 축농증에도 쓴다.
너삼뿌리 달임약(1~3:200) : 14~15g을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쓴맛건위약으로 만성 위염, 악성 종양에 쓴다.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도둑놈의지팡이·너삼·뱀의정자나무라고도 한다. 양지 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80∼100cm로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을 띤다. 줄기는 곧고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15∼40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길이 2∼4cm, 나비 7∼15mm이다.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가지 끝에 2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나비 모양의 연한 노란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핀다. 꽃 길이는 15∼18mm이다.
꽃받침은 통처럼 생겼고 겉에 털이 나며 끝이 5개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로 염주 모양이다. 짧은 대가 있으며 길이 7∼8cm로 9∼10월에 익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 통·간염·황달·치질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쓰기도 한다.
같은 속의 식물로 산두근(山豆根)이 있는데 생김새가 매우 비슷하다.
고삼의 잎은 깃털 모양이며, 홀수를 이루는 작은 잎들이 15-20개씩 모여 달려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꽃과 함께 진통, 설사, 피부병 등에 약으로 쓰며, 요즘은 살충제의 원료로도 쓴다.
민간에서는 화장실의 구더기를 방제하는 데에 특히 많이 썼다고 한다.
꽃이 아카시아와 비슷하지만 활짝 피지 않고 또 녹색을 띠는 점이 다르지만 하나하나의 모양이 참 새촙게 생겼다.
민간요법
만성 간염에는 고삼뿌리를 1 ∼ 3g을 1회분 기준으로 끓여 2 ∼ 3회씩 6일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는 신경초, 인삼을 금하고, 임산부는 신중히 사용한다.
식도염 : 고삼 뿌리 2 ~ 3g을 1회분으로 환제 도는 산제로 하여 3 ~ 4회 복용한다.
신경통에는 고삼 뿌리 2 ~ 3g을 1회분으로 환제로 하루 3회 정도 10일 이상 먹는다.
탈황에는 고삼 뿌리 3g을 달여 하루 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또한 뿌리를 말려 가루내어 항문에 바른다.
치질에는 고삼 ' 생지황 ' 황백 ' 차전자 각 15g을 함께 달여 하루 두번 나누어 먹는다. 항문이 타는 듯이 뜨거운 환자에게 좋다.
녹내장에는 고삼 씨 3g을 달여서 하루 3회 복용하면서 환부를 씻어 준다.
위경련에는 적당한 양의 고삼가루를 꿀로 반죽하여 콩알만한 환을 지어 한 번에 5∼6알씩 하루에 3번 식전에 먹는다.
자궁탈출: 고삼 50g, 사상자 50g, 황백 15g, 고백반 10g을 물로 달여서 환부에 더운 김을 씻는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성초 (0) | 2007.09.18 |
---|---|
여성에게 좋은 약제 ㅡ 애엽(약쑥) (0) | 2007.09.18 |
강력한 항암제 갈퀴넝쿨 (0) | 2007.09.18 |
사향초 ( 뱀딸기) (0) | 2007.09.15 |
실세삼 (토사자) (0) | 2007.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