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신염.장염.이질.눈을 밝게하는 진주초
여우구슬은 밭이나 풀밭에 자라는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주로 산비탈이나 길가 논밭 주변에서 자라며 7~8월에
개화한다.
여우구슬의 다른이름은 진주초, 일개야폐, 십자진주초, 음양초, 가유감, 즉어초, 호수수, 노아주, 야합진주, 락지유감, 소리감, 할초, 야합초, 산조각, 엽후주, 유감초, 어린초 라고도 부른다. 주로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전초에는 phenol성 성분과 triterpenes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향기가 약간 나며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거나 차다. 간, 폐 2경에 들어간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진주초는 간기를 평하게 하고 열을 제거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장염, 이질, 전염성 간염, 신염으로 인한 수종, 요로 감염, 명목, 수아의 감적, 화안목옹, 구창두창, 무명 소종을 치료한다.
하루 20~40그램을 신선한 것은 40~80그램을 달이거나 즙을 짜서 복용한다. 외용시에는 찧어서 바른다.
임상보고에서 설사를 치료하는데, 신선한 전초 80~120그램 또는 말린 것 40~80그램을 깨끗이 씻은 후 500밀리리터의 물을 넣고 200밀리리터가 되도록 달인 후 매일 1첩을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소아는 양을 적당히 감량한다.
미친개에 물린데 전초 5~6포기(소아는 양을 적당히 감소)를 달여서 복용한다. 동시에 식은 밥알에 섞어 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미친개에 물린 환자 6사람에게 처방한 결과 모두 발병되지 않았다.
전염성 간염의 치료에는 신선한 진주초 40~80그램을 달여서 하루에 1첩씩 일주일 연속해서 복용한다."
중국 광주 민간 <상용중초약수책>에 의하면 ~
"간기를 맑게 하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습을 수렴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신염으로 인한 수종과 요로 감염, 요로 결석을 치료한다."
간기를 평하게 하고 화를 퇴치하며 눈을 밝게 한다.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소아의 감질로 인한 눈병의 치료에는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하거나 달인 물로 환부를 씻는다. 머리에 부스럼이 많이 생겨서 견디기 어려운 통증과 가려움증을 치료하려면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를 내어 기름에 섞어서 바른다."
"기의 순환을 조절하고 부기를 가라앉힌다."
진주초(珍珠草) 본초명
야합초, 야합진주, 가유감, 엽후주, 진주초(眞珠草)라고도 한다. 대극과 식물인 엽하주(Phyllanthus urinaria L)의 전초. 맛이 달고 약간쓰거나 서늘하다. 청열, 이수, 명목, 소적한다.
이질, 장염, 전염성간염, 요로감염, 결석, 신염수종, 야맹증, 안결막염, 소아감적을 치료할 때는 15~3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뱀이나 개에 물린 것을 치료할 때는 신선한 것을 찧어 바른다.
곡정초(穀精草) . 칠고초(漆姑草).
"국내 자생식물 ‘진주초’, B형 간염치료효과 탁월"
국내 자생식물인 진주초(일명 여우구슬, 학명 필란투스 우리나리아)가 B형 간염 치료제로 잇달아 개발되고 있다.
헤파가드 코리아는 지난 6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진주초 엑기스를 주성분으로 한 `헤파가드정`을 B형 간염 치료 천연물신약(만성촵전염성 간염치료보조제)으로 시판허가받았다. 진주초 추출물에 함유된 코릴라진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데 필요한 DNA 복제효소의 활성을 억제, 바이러스 숫자를 줄여주고 바이러스 표면항체(HbsAb) 출현을 유도한다.
생명공학연구원 이영익 박사팀도 진주초에서 추출한 복합화합물 M(Compound M)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의 e항원(HBeAg) 분비를 막고 e항체(Anti-HBeAg) 생성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e항원은 바이러스 속껍질 내부의 c항원 일부가 변형된 형태로 혈액으로 분비된 것. B형 간염 바이러스 e항원이 양성으로 나온다는 것은 바이러스가 몸에서 활발하게 복제되고 있고 전염성이 강하다는 의미다.
진주초 엑기스=약국에서 의사의 처방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헤파가드정으로 시판되고 있다. 홍콩에 수출하고 있으며 대만에서는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B형 간염환자를 대상으로 글락소 스미스클라인의 전문의약품 `제픽스`와 9개월 동안 비교임상시험한 결과 25%에서 e항체가 생기고 투약종료 후 재발률이 18%로 낮게 나타나는 등 긍정적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의사들이 선호하는 전문의약품이 아닌 데다 제픽스와의 병용요법, 제픽스에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등에 대한 임상시험 자료가 없어 마케팅에 애를 먹고 있다.
헤파가드코리아는 이에 따라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과 헤파가드정이 제픽스에 내성을 가진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시험관시험을 진행 중이다.
진주초 추출물질=생명공학연 프로테옴해석연구실의 이영익 박사팀과 바이오벤처 ㈜리즈바이오텍이 간염 예방촵치료 건강식품으로 출시하는 한편, 천연물신약으로 상품화하기 위해 전임상촵임상시험도 추진할 계획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복합물질 M은 바이러스성 B형 간염을 일으키는 e항원의 분비를 억제해 간염이 간경화→간암으로 진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e항체 생성 및 면역세포 증가를 유도한다.
헤파가드정은 DNA 복제효소를, 컴파운드 M은 e항원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함께 복용하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는 전체 인구의 7~8%인 400만명에 이르며 이들이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면 간암, 폐암에 걸릴 확률이 정상인보다 각각 100배, 3배 정도 높다.
진주초(珍珠草)는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식물인 황주자초(黃珠子草: Phyllanthus virgatus Forst. f.)의 전초이다. 분포는 황야의 풀밭에서 자란다. 채취 방법은 여름철에 채취하여 신선품을 사용한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은 청열산결, 건위소적 한다. 주된 치료는 소아감적, 유선염에 사용하며, 외용시 유선염에 사용한다. 용량은 하루 9~15그램이며, 외용시는 적절한 양을 사용한다."
이와 비슷한 식물로 '여우주머니'가 있는데, 이 식물은 열매에 자루가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들판에 흔하게 자라는 여우구슬이 간장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에게 유익을 주는 귀중한 천연 약초로 각광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