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은 몸 안에서 생긴 열을 조절하기 위하여 흘러 나오는 액체를 말하는데 다한이라고 하면 땀이 날 아무런 조건도 없이 많은 땀을 흘리는 증상을 말합니다. 깜짝 놀라거나 정신적으로 흥분되었을 때, 운동을 하거나 옷을 두텁게 입었을 때 나는 땀은 교감신경 기능항진이 되어 과다한 땀이 배출되는 생리적인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땀에 대하여 염려를 하는 것은 식은땀을 말할 수 있는데, 식은땀이 난다고 다 병으로 생각하면 잘못입니다.

 

 

흔히 어린이들이 잠 들었을 때 식은땀을 흘리는 것은 어린이들은 아직 신경이 완성되지 못하여 열조절을 잘하지 못하는 것과 관계되며 어른들도 잠자리에서 식은땀을 흘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장마철 같은 때 체온조절이 잘 되지 않아서 생기는 수가 많습니다.

 

 

땀의 병적형태는 크게 2가지로 분류 합니다.  첫째는 자한(自汗)으로 수면과  관계없이 활동에 의해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기허(氣虛),양허(陽虛)한 경우에 많이  나타나며, 또 하나는 도한(盜汗)으로  수면중에 땀이 나며 잠을 깨면  땀이 즉시 그치는 현상으로 혈허 (血虛), 음허(陰虛)한 경우에  많이 발생되는데 특히 도한의 경우는 지나친 신체적, 정신적 과로 혹은 과도한 음주와 방로(房勞), 또는 감기, 큰 병 후 조리의 부적절함에 의해 나타납니다.

 

 

비정상적인 땀이 분비되도록 하는 질병으로 갑상선 기능 항진 및 내분비 질환 등이 있는 경우를 들 수 있겠고 폐결핵, 늑막염, 폐염, 류마티스를 비롯한 열이 나는 병 등을 앓고 있을 때입니다. 또한 땀은 자율신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율신경계는 정신적인 자극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한의학에서 말하는 체질과도 연관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땀으로 질병에 대한 판단이 되어지기 위하여는 이런 부분도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첫째, 체질에 관한 문제라면 보통 초등학교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소화가 잘 안되거나 성격이 예민하고  내성적인 기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물론 이 경우는  땀이 많이 난다고 하기보다는 땀이 나면 손발이  차지면서 신체적인 컨디션도 안 좋아집니다. 물론 땀이 나면 컨디션이 더 좋아지는 체질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달리 병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둘째, 정신적인  문제와 연관이 많이 있는  경우는, 성격적으로 쉽게 긴장을 잘 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조그마한 일에도 긴장을  하게 되면, 약간의 정신적  자극에도 교감신경이 지나치게 흥분되어  나타나는데, 어려서의 정신적인 충격 등이 그 원인일 수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

다한증의 원인이 되는 질병이 있을 경우 원인질병에 대한 치료가 되어야겠지만, 자율신경의 밸런스를 회복하기 위하여는 마음과 정신을 안정시키는 요법과 생활환경이나 일상의 섭생을 바로잡아주는 요법을 종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스트레스나 불안이 교감신경을 통해 신체반응을 항진시키므로 이것을 억제하려면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런 효과를 볼 수 있는 정신적인 요법으로는 정신적 수양, 독서, 조용한 음악감상, 마음 편한 사람과 대화하기, 즐거운 여행, 명상, 근육이완훈련이나 호흡훈련, 참선, 종교활동...등을 들 수 있겠다. 그리고 일상의 생활에서 적용되어야 할 생활요법으로는 우선 먹거리를 바로잡아 체액의 산 염기도를 바로잡고 신진대사를 원활할게 도모하여야겠고 자율신경의 길항작용을 조화롭게 해주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여 체질적인 부실함을 바로잡는 것이 근원적인 대처라고 하겠다.

 

 

건강생활지침을 실천하면서 특히 <부추죽>을 자주 먹어주면 크게 도움이 된다. 부추죽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자율신경을 자극해 내장의 상태를 조절하여주는 효능이 있다. 부추를 깨끗이 씻어 두고, 현미오곡가루로 죽을 쑨 다음 잘게 썬 부추를 적당히 넣고 조금 더 끓인 후 먹으면 된다.

 

 

그리고 본 사이트의 [자연요법]에 정리되어 있는 냉온욕과 합장합척운동, 등배운동을 매일 아침저녁으로 꾸준히 실천하면 뇌척수신경의 좌우조화와 자율신경의 길항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특히 어린이들이 식은땀을 흘리는 경우에는 자주 닦아 주어야 하며 옷이나 이불을 얇게 덮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잠자리와 속옷을 마른 것으로 갈아주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감기에 걸릴 수 있다.
 

 

약재

단너삼(황기) : 12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뒤에 먹는다. 단너삼은 저절로 땀이 나는데, 잠잘 때 나는 땀을 잘 멎게 하는 작용이 있다. 몸이 허약하거나 병을 앓고 난 다음 식은땀을 많이 흘리는 데 쓴다.

 

 

굴조가비(모려) : 불에 구운 것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3-4g씩 하루 2-3번 더운 물에 타서 먹는다. 음을 보하고 담을 삭이며 땀을 멈추는 작용이 있으므로 식은땀을 많이 흘리는 데 쓴다.

 

 

밀쭉정이, 굴조가비(모려) : 밀쭉정이 20g, 굴조가비를 불에 구워 가루낸 것 12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식은땀이 나며 미열이 있을 때 쓰면 좋다.

 

 

참깨(호마) : 참깨기름 한 숟가락을 거품이 없어지도록 끓여서 식힌 다음 달걀 3개를 까 넣고 잘 섞는다.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전에 먹는다. 참깨기름은 몸이 약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는 데 효과가 있다.

 

 

둥굴레(위윤) : 20-3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끼니 전에 먹는다. 앓고 난 뒤 몸이 허약하여 땀을 많이 흘리는 때에 쓴다.

 

 

흰삽주(백출), 방풍, 단너삼(황기) : 흰삽주 20g, 방풍, 단너삼 각각 10g을 물에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이 약을 동의학에서 옥병풍산이라고 하는데 땀이 저절로 흐르거나 잘 때 식은땀이 나는 데 쓴다.

 

 

흰삽주(백출), 귤껍질(진피) : 2:1의 비로 섞어 보드랍게 가루내서 한번에 6g씩 하루 3번 끼니 사이에 먹는다. 입맛이 없고 먹은 것이 잘 내리지 않고 맥이 없으면서 식은땀이 나는 데 쓴다.
 

 

찜질치료 ; 붉나무벌레집, 구운 백반 각각 같은 양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 번에 4g씩 배꼽에 놓고 반창고로 고정시켜 하루 한 번씩 갈아준다. 잠을 잘 때 식은땀이 나오는 데 쓴다.

 

 

뜸치료

신주혈(제3과 제4 흉추 사이)에 마늘 뜸을 5~7장 뜬다.

 

압통점 ; 두 어깨뼈 사이의 등뼈를 손가락으로 하나하나 누르면 특별히 아픈 곳이 있다. 이 점을 찾아서 쌀알 크기의 뜸봉으로 뜸을 하루 7장씩 15일 동안 뜬다. 몸이 약하거나 소화장애가 있으면서 식은땀을 흘릴 때 효과가 있다.

 

백회혈(머리의 중심선상에서 앞 머리카락이 난 경계로부터 5치 올라가 오목한 곳)과 간유혈(제9와 제10 흉추 사이에서 양 옆으로 각 2치 되는 곳)에 쌀알 크기의 뜸봉으로 5~7장 뜬다. 심하게 나던 땀도 멎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