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7~14cm, 폭 3-4.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주름이 많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고 소엽병은 길이 2-6mm이다.
열매
핵과는 둥글고 기부의 한쪽에 발달하지 않은 심피가 반상으로 달리며 지름 2cm로서 9-10월에 익고 털이 없으며 황갈색이 돌고 길이 2㎝의 흑색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꽃
자웅동주로서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20-30cm로서 짧은 털이 있고 꽃은 단성으로서 5월에 피며 지름 4~5mm이고 적갈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4-5개이며 수꽃에 8-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에 1개의 암술이 있으며 꽃잎 뒷면과 수술대 하반부에 털이 있다.
줄기
높이가 20m에 달하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밋밋하고 녹갈색이다.
분포
제주도, 전남, 경남에 분포하며 동해안의 포항, 울진, 서해안의 서산 등에서 적은 개체가 자란다. 순수한 우리 나라 자생수종은 아닌 듯 하며 중국 등지에서 건너온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과 대만, 중국, 인도 등에 분포한다.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
크기
수고 20m, 직경 60cm 정도.
생육환경
추위에 약하나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좋다. 내음성이 약하여 숲속이나 음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고 내공해성과 내병충성은 강하다.
줄기
높이가 20m에 달하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밋밋하고 녹갈색이다.
분포
제주도, 전남, 경남에 분포하며 동해안의 포항, 울진, 서해안의 서산 등에서 적은 개체가 자란다. 순수한 우리 나라 자생수종은 아닌 듯 하며 중국 등지에서 건너온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과 대만, 중국, 인도 등에 분포한다.
생육환경
추위에 약하나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좋다. 내음성이 약하여 숲속이나 음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고 내공해성과 내병충성은 강하다.
가로수나 공원수, 정원수, 녹음수, 생태공원수로 식재할 만하다.
목재는 기구재로, 종자는 염주나 장난감을 만드는데 이용되며 열매는 비누대용품으로 쓰인다.
종자, 根(근), 皮(피), 葉(엽), 과육, 種仁(종인) 등을 약용한다.
無患子(무환자): 성숙된 과실을 따서 과육을 제거하고 종자만 햇볕에 말린다.
약효 : 淸熱(청열), 祛痰(거담), 消積(소적), 살충의 효능이 있다. 咽喉痲痺腫痛(인후마비종통), 咳喘(해천-천식), 食滯(식체), 白帶(백대), 疳積(감적), 瘡癬(창선), 腫毒(종독), 感冒發熱(감모발열), 백일해를 치료한다.
무환수강 약효 : 무환자나무의 뿌리로서, 外感發熱(외감발열), 咳嗽(해수), 吐血(토혈), 白濁(백탁), 白帶(백대)를 다스린다. 토혈에는 돼지의 붉은 살코기와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毒蛇咬傷(독사교상)의 要藥(요약)이다.
無患樹皮(무환수피) 약효 : 탄성이 있는 皮(피)로서, 디프테리아, 疥癩(개라), 疳瘡(감창)을 치료한다. 疳瘡(감창), 疥瘡(개창)은 煎液(전액)으로 患部(환부)를 씻는다. 煎液(전액)을 졸여서 膏藥(고약)을 만들어 붙이면 消腫(소종), 拔毒(발독), 祛風(거풍)한다.
無患子葉(무환자엽) 무환자나무의 부드러운 枝葉(지엽)이다.
성분 : Sapindoside A, apigenin, kaempferol, rutin,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내복과 동시에 외용으로 塗布(도포)하여 蛇咬傷(사교상)을 치료한다. 백일해에는 무환자나무의 苗(묘) 6g을 달여서 복용한다.
無患子皮(무환자피) 무환자나무의 과육으로, 성숙한 과실을 따서 과육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과실에는 sapindoside A,B,C,D,E 등이 함유되어 있고 배당체는 항상 hederagenin(mukurosigenin)의 모양을 취한다. 더욱이 rutin, 대량의 비타민 C(1.2-4%) 등도 함유되어 있다.
약효 : 淸熱(청열), 化痰(화담), 止痛(지통), 消積(소적)의 효능이 있다. 喉頭(후두)의 痲痺腫痛(마비종통), 위통, 헤르니아痛(통), 류머티즘痛(통), 蟲積(충적-기생충에 의한 腹內(복내)의 硬結(경결)), 食滯(식체), 無名腫毒(무명종독)을 치료한다.
無患子中仁(무환자중인) 무환자나무의 種仁(종인)이다.
약효 : 消積(소적), 酸惡(벽악)하는 효능이 있다. 疳積(감적), 회충, 腹中氣脹(복중기창), 구취를 치료한다. 강한 불로 태워 복용하면 소아의 五感(오감) 및 鵝喉(아후)를 치료한다.
집안의 우환과 근심을 없게 하는 무환자(無患子)
해열, 진통작용, 위통, 풍습통, 설사, 복통, 인후통, 고기먹고 체한데, 독충에 물린 상처, 기생충구제, 가래제거, 구취제거, 후비(喉痺) 종통, 해수, 급성 위장염, 편도선염, 치통, 지혈, 감기로 인한 발열, 백일해, 소아감적, 천식, 식체, 백대하, 감적, 디프테리아, 구강염, 트리코모나스질염, 독사에 물린데, 주근깨, 비누대용, 창선, 종독에 효험있는 무환자나무
무환자나무(Sapindus mukorossi)는 무환자나무과의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열대지방에서는 상록수이지만 추운지방에서는 낙엽이 진다.
잔가지는 굵고 녹갈색이며 털이 없고 도드라진 껍질눈이 흩어져 난다. 겨울눈은 반구형이며 길이가 1mm 정도로 작고 4개의 눈비늘 조각에 싸여 있다. 높이가 15~25m까지 자라며 개화기는 6~7월이고 결실기는 9~11월이다. 우리나라 남쪽 지방에 자라며 나무껍질은 연한 황갈색이며 잎자국은 세모꼴로 삼각형~하트형이며 관다발 자국은 3개이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8~16개로 거의 마주나듯이 어긋나는 짝수 모양의 겹잎이며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암수한그루로 가지끝의 원추꽃차례에 자잘한 황록색 꽃이 모여 핀다. 수꽃은 8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1개의 암술이 있다. 둥근 열매는 지름이 20~30mm이고 황갈색으로 익으며 속에 들어 있는 검은색의 구슬같은 씨는 15~20mm인데 불교에서 염주를 만드는 데 사용하며 목재를 태우면 좋은 향기가 난다고 하며, 무환자나무로 만든 목침이 좋다고 전해져 온다.
무환자나무의 줄기의 속껍질과 열매껍질에는 많은 양의 사포닌 성분이 들어 있어서 거품이 잘 일기 때문에 옛날에는 비누 대용으로 빨래하는 데 쓰이고 열매껍질은 머리를 감는데 사용되어 왔다. 열매의 표면이 윤기가 나면서 약간 쭈굴쭈굴하게 생겼는데 흔들어 보면 사각 사각 검정색의 씨가 구르는 소리가 난다.
열매의 꼭지가 떨어져 나간 단면도가 양쪽으로 경사진 반달모양이 생겨서 꼭지가 온전히 떨어지지 않는 모습은 양쪽 반달모양에 마치 도장을 찍고 한쪽을 벌리고 있는 모습 또는 남녀가 키스를 하고 잠시 입술을 떼고 있는 모습같기도 하여 웃음을 자아내기도 한다
옛부터 비누 성분인 사포닌이 많아서 빨래할 때 비누 대용으로 사용되어온 열매의 과육은 세수과(洗手果) 즉 손을 씻을 때 쓰는 과일이라는 뜻을 전달하고 있다.
무환자나무의 종자의 다른 이름은 무환자(無患子: 본초습유), 환자(槵子: 다능비사), 목환자(木患子, 비주자:肥珠子, 유주자:油珠子: 보제자:菩提子: 본초강목), 목만자(木梚子, 유환자:油患子: 중국수목분류학), 원비조(圓肥皂, 계원비조:桂圓肥皂: 현대실용중약), 세수과(洗手果, 고지자:苦枝子: 광서중수의약식) 등으로 부른다.
무환자나무의 다른 이름은 무환수(無患樹, 금루:噤婁: 본초습유), 환(桓: 산해경), 습노목(拾櫨木: 최표, 고금주), 유루(楺婁, 노목:櫨木: 찬문), 습노귀목(拾櫨鬼木: 중화고금주), 노귀목(盧鬼木: 본초강목), 황목수(黃目樹: 대만부지), 목랑수(目浪樹: 중약대사전) 등으로 부른다. .
무환자나무 과육의 다른이름은 무환자피(無患子皮: 일화자제가본초), 환자육피(槵子肉皮: 빈호집간방), 무환자협(無患子莢: 본초휘언), 연명피(延命皮) 등으로 부른다.
무환자나무의 종자를 무환자(無患子), 뿌리를 무환수강(無患樹蔃), 껍질을 무환수피(無患樹皮), 어린 가지와 잎을(無患子葉), 열매의 과육을 무환자피(無患子皮), 검은 종자 속의 인(仁)을 무환자중인(無患子中仁)이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열매가 성숙할 때 열매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하고 종자를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말린 종자는 공 모양이고 지름은 15~20mm이다. 외면은 흑색이고 매끈하다. 종자의 배꼽에는 실 모양이다. 주위에 백색의 가늘고 부드러운 털이 붙어 있다. 씨껍질은 골질이고 단단하다. 배젖은 없으며 자엽은 두껍고 황색이며 배는 굵고 약간 꼬부라져 있다.
종자에는 지방,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지방유는 핵에 18.52%,
핵각에 0.62%, 핵인에 42.38% 함유되어 있다.
무환자나무의 종자는 맛은 쓰며 성질은 평하고 떫으며 독이 조금 있다."
종자는 열을 내리고 가래를 제거하며 음식을 먹고 체한 것을 제거하고 기생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다. 후비(喉痺) 종통, 해수, 지혈, 감기로 인한 발열, 백일해, 소아감적, 천식, 식체, 백대하, 감적, 창선, 종독을 치료한다.
지혈한다. 구워 먹으면 기생충을 구제하고 노폐물을 제거한다.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쓰면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독을 배출시킨다.
태워서 그 재를 가루내어 인후에 불어 넣으면 목소리가 쉰 증상을 치료한다.
하루 3.75~7.5g씩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가루내어 복용하거나 끓여서 구워 복용한다. 외용약으로 사용할 때는 가루내어 인후에 불어 넣거나 졸여서 고약(膏藥)을 만들어 바른다.
무환자나무의 어린 가지와 잎인 무환자엽(無患子葉)은 <광서중초약>에서 "내복함과 동시에 바르면 뱀에 물린 상처를 치료할 수 있다."고 하며, <영남초약지>에서는 "백일해의 치료에 무환자나무의 싹을 7.5g씩 달여서 복용한다."고 기록한다. 잎의 성분은 sapindoside A, apigenine, kaempferol, rutin, vitamin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무환자나무의 뿌리인 무환수강(無患樹蔃)은 감기로 인한 발열, 기침, 토혈, 백탁, 백대하를 치료한다. <영남초약지>에서는 "토혈할 때에 돼지 정육과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고 하며, <남영시약물지>에서는 "뱀에 물렸을 때의 중요한 약이다."고 적고 있다. 하루 18.75~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며 외용시 달인 물로 양치질한다.
sapinloside A~E의 mouse에 대한 LD50(mg/kg)은 내복할 때 1625, 피하 주사할 때 659, 정맥 혹은 복강 주사할 때 270이다. 정상 토끼에 내복(0.04mg/kg)시키면 혈압에 영향이 없지만 내복량을 피하 주사하면 혈압이 25% 하강된다.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의 함유량에는 변화가 없다. 콜레스테롤을 먹인 실험성 동맥죽상경화증의 토끼에게 조기에(40일째부터 시작한다) saponin을 내복시키면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하강되고 phosphatidylcholine(lecithin)이 증가되어 혈압을 내려가게 할 수 있다(36.7%).
과육은 맛은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있다.
본초습유: "독이 조금 있다."
일화자제가본초: "성질이 평하다"
본초강목: "맛이 약간 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조금 있다."
열을 내리고 담(痰: 가래)을 삭이며 지통하고 적체(積滯)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후비(喉痺)로 인한 부종과 동통, 위통, 산통(疝痛), 풍습통, 충적(蟲積), 식체, 무명 종독을 치료한다.
하루 7.5g~11g씩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짓찧어 짠 즙을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 도포하거나 입에 물고 있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광서실용중초약신선>에서는 "무환자의 열매에는 sapindoside가 들어 있어 용혈 작용이 강하다. 그러나 보통 열매를 태워서 숯을 만들되 용량을 18.75g이 되게 하면 용혈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은 수치 방법과 관련이 있다.
종자속의 인(仁)인 무환자중인(無患子中仁)은 맛은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적체와 악기(惡氣)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감적, 회충증, 복중 기창(氣脹), 구취를 치료한다.
향기가 날 때까지 태우면 사악기(邪惡氣)가 제거된다."
달여 복용하면 악기(惡氣)을 제거하고 구취를 제거한다."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4~8쌍의 버들잎 모양의 쪽잎으로 된 깃겹잎이다. 이른 여름에 흰색 또는 가지색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2~3개로 갈라졌는데 갈라진 것은 둥글다.
남부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중부에서는 심어 기른다.
열매껍질(연명피): 열매껍질을 벗겨 말린다.
성분: 열매껍질에 무환자 사포닌(사핀두스 사포닌) C41 H64 O13 이 약 4% 있다. 사포닌은 물분해되면 헤데라게닌 C31 H58 O5이 생긴다. 씨에는 기름이 약 28% 있는데 비건성유이다.
작용: 무환자 사포닌은 1:38,000의 희석액에서 소피를, 1:10만 액에서 혈청을 빼 버린 소피를 완전히 녹인다. 집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0.03~0.04g/kg에서 호흡마비와 용혈로 죽는다. 물고기는 50만 배의 수용액에서 며칠 안에 죽는다.
양측 또는 일측 편도선염
무환자나무 종자 11g, 봉미초(鳳尾草) 11g을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영남채약록]
천식
무환자나무 종자를 센불로 태워서 재를 만들어 더운물에 타서 복용한다. 소아는 1회에 6푼, 성인은 1회에 7.5g씩 하루에 1회씩 계속해서 며칠 동안 복용한다. [영남채약록]
충적식체(蟲積食滯)
무환자나무 종자 5~7알을 충분히 삶아서 구워 하루에 1회씩 며칠 계속하여 복용한다. [광서민간상용초약]
후피선(厚皮癬)
무환자나무 종자 적당량을 질이 좋은 식초로 달여서 비등시켜 뜨거울 때 환부를 씻고 문지른다. [영남채약록]
치아 통증
무환자나무 종자 37.5g, 대황(大黃), 향부(香附) 각 37.5g, 청염(靑鹽) 18.75g을 진흙으로 봉하여 센불에서 태운 후 가루내어 이를 닦는 데 쓴다. [보제방]
트리코모나스 질염
껍질을 벗기고 씻은 무환자나무 종자 500g을 100ml의 물로 달여서 진한 액을 만든다. 1회에 50~100ml씩 갈라 내서 따뜻한 물 100ml를 가하여 희석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루 1회씩 질을 씻어 낸다. 7~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해열하고 습을 거두는 중약을 배합하여 내복한다. 치료한 10례에서 1치료 기간을 거친 후 조사해본 결과 트리코모나스가 음성이었다. 5례를 2~3개월 계속 관찰한 결과 재발되지 않았다. 1례는 2개월 후에 재발되었는데 다시 치료한 결과 효과가 있었다.
무환자나무의 뿌리인 무환수강(無患樹蔃) 요법
감기로 인한 발열, 상풍(傷風), 과로로 인한 해혈(咳血), 소화불량
말린 무환자나무 뿌리 18.75~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쌍아후(雙鵝喉: 양측성 후비(喉痺))
무환자나무 뿌리 113g을 짓찧거나 썰어서 달인 탕액으로 양치질한다.
백탁, 백대하
무환자나무 뿌리 150g을 볕에 말려서 닭고기와 함께 고아 복용한다.
독사에게 물렸을 때
무환자나무 뿌리 37.5g, 황우목근(黃牛木根) 37.5g, 유월설근(六月雪根) 18,5g, 산지마(山芝麻) 18.5g, 생옹채두(生蕹菜頭) 150g을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무환자나무의 껍질인 무환수피(無患樹皮) 요법>
디프테리아(diphtheria: 열이 나고 목이 아프며 음식을 잘 삼킬 수 없고 호흡기의 점막이 상하며 갑상선이 부어 호흡 곤란을 일으키고, 후유증으로 신경 마비나 심장·신장의 장애가 따르는 급성 법정 전염병. 주로 어린이가 많이 걸린다.)
무환자나무 껍질을 1회에 18.75g씩 물로 달여서 하루에 4~6번 양치질한다.
소아의 디프테리아 또는 구강염
무환자나무 껍질의 탕액을 입에 머금는다.
무환자나무의 열매의 과육인 무환자피(無患子皮) 요법
풍담(風痰)
핵(核)을 제거한 무환자 1개을 갈아서 더운물에 타서 복용한다.
후비(喉痺) 및 인후가 막힌 증상
무환자의 과육을 짓찧어 짠 즙을 끓인 물에 개어서 복용한다.
독으로 인해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상
핵(核)을 제거한 무환자 75그램을 꿀 150g에 반 달 동안 담그었다가 복용한다. 하루에 두세 번, 1회에 반 개씩 입에 물고 있는다.
심위기통(心胃氣痛), 곽란, 기생충으로 인한 복통, 식적(食積) 복통, 소변삽통
핵(核)을 제거한 무환자 7개에 식염을 조금 넣고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어 끓인 물에 담그어 복용한다. 소아는 적당히 양을 줄인다.
충적 식체(蟲積食滯)
무환자 과육을 11g씩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독충에 물린 상처, 무명 종독
무환자 과육 적당량을 짓찧어서 물로 개어 환부에 문지른다.
급성 위장염
무환자 과육 7.5g을 태워서 숯을 만든 후 물로 달여서 하루에 두세 번 복용한다.
소아 감적
충분히 찌고 구워 익힌 무환자인(無患子仁) 6~7개, 센불로 구워서 재로 만든 소서(蘇鼠) 1개를 넣고 함께 갈아 가루로 만들어 서너 번에 나누어 돼지 간과 함께 쪄서 복용한다.
소아 복중기창(腹中氣脹)
무환자인(無患子仁) 3~4개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무환자나무는 중국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한자를 따서 그대로 부르는 이름이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경남, 전남 등에서 볼 수 있는 나무로서 흔치 않은 나무라서 일반적으로 이 나무를 본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무환자나무라고 부르게 된 이유에 대해서 최영전씨가 쓴 <한국민속식물>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옛날 중국에 요모(瑤眊)라고 하는 귀신같이 신통한 무당이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정신이상 자 중 혼이 나간 사람을 여우에 홀린 사람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듯이 중국에서는 이런 사람을 귀신이 붙었다고 말한다는 것이다. 그 귀신을 쫓는 데 요모가 무환자나무로 몽둥이를 만들어 때렸더니 귀신이 두려워서(무환자를 싫어하므로) 쫓겨가 버려 제정신으로 돌아와 나았다는 것이다.
이 말이 이사람 저사람으로 전해져 그 후부터는 무환자나무로 기구(器具)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서 귀신이 접근을 못하도록 하는 방책으로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환(患)을 없게(無)하므로 무환수(無患樹)라 하게 되었다는 사연이다. 그로 인하여 통념적으로 무환자나무는 사귀를 물리친다고 믿게 되어 불교에서는 이 씨로서 염주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뜻을 모르는 사람들은 무환(無患), 즉 근심과 걱정이 없는 나무라는 뜻으로 해석하여 집 주위나 특히 사찰 주위에 심기를 좋아하며 씨로 염주를 만든다고 말하기도 하여 일명 보리수(菩提樹)라고도 하는데 염주를 만드는 나무면 무조건 덮어놓고 보리수라고 부른듯하다.
무환자나무의 열매 속의 그 까만 씨 안에는 인(仁)이 있는데 이것은 볶아서 먹기도 하나 그 인을 태우면 사악한 기운은 싫어서 도망간다고도 전해져 사기(邪氣)를 물리치기 위하여 이 방법을 사용하는 민속도 있다. 또 무환자나무의 목재는 향나무처럼 태우면 향기가 나므로 이것 역시 위의 경우와 같은 목적으로 태운다고 전해온다.
무환자나무로 목침을 만들어 베는 민속도 있는데 이것 역시 사귀(邪鬼)를 쫓고 우환을 없게 하는 예방책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무환자나무는 높이 20m씩 자라는 낙엽 교목으로서 잎은 호생하는 기수우상복엽으로서 소엽은 크다. 꽃은 5~6월에 피어서 10월에 열매가 익는데 열매껍질을 연명피(延命皮)라 하며 <사포닌>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옛날에는 비누 대용으로 때를 씻는데 사용했다. 따라서 다목적으로 즐겨 심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무환자나무의 노거수가 통도사에 딸린 백련암과 남해섬의 물건방조어부림 등에 있다.
무환자나무과에 딸린 모감주나무도 역시 씨가 까맣고 광택이 나서 염주를 만드는 데 쓰인다. 이 역시 보리수라고도 불리므로 혼돈되기 쉽다. 모감주나무는 열매 모양이 세로꼴로 초롱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속이 비어 있고 새까만 씨가 3개들어 있다. 모감주나무는 특히 꽃이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