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취
범의귀과(―科 Saxifragaceae) 범의귀속
유사종: 참바위취(S. oblongifolia)
다른이름
겨우사리범의귀,범의귀, 호이초(虎耳草), 대문자꽃, 홍이초(虎耳草)·법의귀·왜호이초·등이초(橙耳草)·석하엽(石荷葉)
바위취
범의귀과(―科 Saxifragaceae) 범의귀속
유사종
참바위취(S. oblongifolia)
다른이름
겨우사리범의귀,범의귀, 호이초(虎耳草), 대문자꽃, 홍이초(虎耳草)·법의귀·왜호이초·등이초(橙耳草)·석하엽(石荷葉)
어린 잎에 부드러운 털이 촘촘히 난 모습이 호랑이귀를 닮아 범의귀 또는 호이초(虎耳草)라고 한다.
숲속 물기 있는 바위 틈에 잘 자란다고 해서 바위취라 한다.
활짝 핀 꽃이 한자의 큰 대자[大]를 닮았대서 대문자꽃이라 합니다.
잎
잎은 근경에서 총생하고 신장형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얕은 결각이 있고 길이 3-5cm, 폭 3-9cm로서 표면은 녹색이지만 연한 색의 무늬가 있으며 뒷면은 자줏빛이 도는 적색이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열매
삭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4-5mm로서 2개로 얕게 갈라지며 종자는 난형이고 사마귀같은 돌기가 있다.
꽃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로서 곧게 서며 원추화서로서 길이 10-20cm이고 짧은 홍자색의 선모가 있으며 정생(頂生)한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서 위의 3개는 길이 3mm정도이고 연한 홍색 바탕에 짙은 홍색 반점이 있으며 아래쪽 열편은 백색이고 길이 10-20mm로서 반점이 없으며 대형으로 피침형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개이다.
줄기
전체에 적갈색 긴 털이 밀포되고 잎이 없는 포복지끝에서 새싹을 형성하여 번식한다.
뿌리
짧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난다.
형태
상록 다년초
크기
높이 약 60cm이다.
성분 :
전초에는 KNO3, KCI, saxifragin등이 함유되어 있다
Alkaloid, 窒酸(질산) 칼륨 및 염화칼륨, arbutin. phenol oxydese는 cis-caffeic acid를 산화시켜 대응하는 orthoquinone으로 하고 後者(후자)는 자연산화를 거쳐서 aesculetin이 된다
6~7월에 어린순을 따서 쌈을 싸먹기도 하며, 쪄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민간에서는 중이염을 앓는 귀에 즙을 내어 넣기도 한다는데 민간요법도 나름대로의 의미는 있겠지만 섣부른 처방보다 전문가에게 맡기는 게 제일 좋은 방법이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잎이 콩팥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 신장의 묘약으로 불릴 정도로 이뇨작용이 확실한데 꾸준히 먹으면 결석도 녹여준다고 한다. 심장병, 신장병에는 그늘에서 말린 잎사귀 열 장쯤을 0.35ℓ(약 2홉)의 물에 달여서 마시면 효과가 있다.
생즙을 얕게 상처낸 부분, 외이도염 등에 바르는 약으로 사용하며 잎은 종기를 빨아내는 데 사용한다. 바위취 잎은 이질병, 독충 등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체적으로 어린이 경련, 귓병, 종기, 화상, 치질, 해열 등에 효과가 있다.
어린이 단독으로 뇌증을 일으켜 경련을 일으킬 때, 벌레나 뱀에 물린 데 사용하고 어린이 경련에는 잎사귀 열 장쯤을 잘 씻어 소금을 조금 넣어서 문지른 후 그 즙을 짜서 입속에 넣어 주면 효과가 뛰어나다.
전초를 생즙은 소아의 백일해에 사용하고 동상, 화상, 농창 등의 첩포용으로 사용된다.
동상은 달인 물에 담갔다 건졌다 한다.하루에 10g~15g을 달여 마신다.
온갖 피부질환에 쓰고 있다. 습진, 두드러기, 종기, 심한 부스럼 ,급한 전염성피부병 ,벌레에 물렸을 때에도 신선한 생잎을 붙인다.또는 불에 쪼인 생잎을 환부에 붙인다.
全草(전초)를 虎耳草(호이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연중 수시로 채취할 수 있으나 개화후에 채취한 것이 良品(양품)이다.
②성분 : Alkaloid, 窒酸(질산) 칼륨 및 염화칼륨, arbutin이 함유되어 있다. 그 엽록체에 함유되어 있는 phenol oxydese는 cis-caffeic acid를 산화시켜 대응하는 orthoquinone으로 하고 後者(후자)는 자연산화를 거쳐서 aesculetin이 된다.
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凉血(양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疹(풍진), 濕疹(습진), 중이염, 丹毒(단독), 咳嗽吐血(해수토혈), 肺癰(폐옹), 崩漏(붕루), 치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즙을 내어서 點滴(점적)하거나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