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회양목과의 상록관목.
학명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분류 회양목과
분포지역 전북·평북 및 함북 이외의 전국
서식장소 산지의 석회암지대
크기 높이 7m
산지의 석회암지대에서 자란다. 상록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높이 7m에 달한다. 작은가지는 녹색이고 네모지며 털이 있다. 잎은 마주달리고 두꺼우며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거나 오목하다. 중륵의 하반부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뒤로 젖혀지고 잎자루에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암수꽃이 몇 개씩 모여달리며 중앙에 암꽃이 있다. 수꽃은 보통 3개씩의 수술과 1개의 암술 흔적이 있다. 암꽃은 수꽃과 더불어 꽃잎이 없고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고 끝에 딱딱하게 된 암술머리가 있으며 6∼7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는 진해·진통·거풍 등에 이용한다. 정원수·조각재·도장·지팡이로 이용한다.
전라북도·평안북도 및 함경북도 이외의 전국에서 자란다. 잎이 좁은 바소꼴인 것을 긴잎회양목(for. elongata)이라고 하고, 관악산에서 자란다. 잎의 길이 12∼22mm, 나비 4∼11mm이고 잎자루에 털이 없는 것을 섬회양목(var. insularis)이라고 하며, 남쪽 섬에서 자란다.
상록으로 수형이 아름다워 정원이나 조경, 공원 등에 여러 용도로 식재한다.
목재는 제도기 등의 세공재나 조각재, 인장재로 쓰인다.
莖枝(경지)는 黃楊木(황양목), 根은 黃楊根(화양근), 幼葉(유엽)은 黃楊木葉(황양목엽),
과실은 黃楊子(황양자)라 하며 약용한다.
黃楊木(황양목)
연중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성분 : Alkal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冠狀動脈性心臟病(관상동맥성심장병) 치료의 유효성분인 cyclovirobuxine D,C, cycloprotobuxine A,C 및 cyclokoreanine B의 5종이 이미 분리되어 있다.
약효 : 祛風濕(거풍습), 理氣(이기),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疼痛(동통), 胸腹氣脹(흉복기창), 치통, 疝痛(산통), 타박상, 風濕頭痛(풍습두통), 氣痛(기통), 赤白痢(적백리), 瘡癤(창절)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타박상에 황장목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黃楊根(황양근)
약효 :筋骨疼痛(근골동통), 目赤腫痛(목적종통), 토혈에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黃楊木葉(황양목엽)
성분 : 잎은 buxamine E, buxaminol E, cyclokoreanine B, cyclovirobuxine D,
buxpine, buxtau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分娩困難(분만곤란)을 치료한다. 暑癤(서절)에는 찧어서 塗布(도포)한다.
黃楊子(황양자)
약효 :中暑(중서) 또는 熱邪(열사)가 鬱積(울적)되어 발병하는 열병을 치료한다.
얼굴에 나는 작은 종기에 과실을 짓찧어 붙인다.
주치 :풍과 습기로 인한 통증, 백일해, 고환이나 부고환의 질환으로 인한 신경통,
치통, 통풍, 류머티스, 매독등
금기 :과용하면 구토, 설사, 현기증 등의 증세가 일어난다.
신경통, 매독, 치통, 류머티즘 :말린 약재를 1회에 5∼10g씩 200㏄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호색의 효능 (0) | 2010.05.23 |
---|---|
빼빼목(신선목)의 효능 (0) | 2010.05.21 |
피나무의 효능 (0) | 2010.05.07 |
붉나무의 효능 (0) | 2010.05.06 |
붉나무(오배자)의 효능 (0) | 201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