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모(貝母)

 

동약, 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조선패모와 부전패모,

기타 패모속식물의 비늘줄기를 말린 것이다.

 

조선패모는 우리나라 북부의 높은 산지대에서 자라고 부전패모는 부전고원에서 자란다.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비늘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심경, 폐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폐를 보하고 심열을 없앤다.

패모의 알칼로이드 성분은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기관지의 분비를 억제한다.

 

열담, 조담으로 기침이 나는 데, 폐농양, 급성 및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폐렴, 백일해, 감기로 기침 하는 데, 가슴이 답답한 데, 연주창 등에 쓴다.

하루 3 ~ 9그램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쓴다.

 

 

폐열로 인한 기침이나 진액부족으로 인한 기침, 담열로 인한 기침에 주로 사용하는데 열로 인한 과도한 기침을 그치게 하는 요약이다.

 

또한 폐을 윤택하게 만들어서 건조한 기운을 제거하고 폐를 조화롭게 만든다.

이 외에도 진액 부족으로 인한 나력이나 유옹, 패옹등에 사용한다.

 

천패모와 절패모로 나뉘는데 천패모는 차가우며 단맛을 띠는데

폐를 윤활하게 하여 폐에 열이 있어서 나오는 기침을 멎게 한다.

 

그러나 절패모는 차가우나 천패모와 달리 고미를 가지기 때문에

열을 꺼주고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강하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무독(無毒), 성질이 차갑고 윤택한 약재이기 때문에 차갑고 습이 있는 기침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천패(川貝), 량천패(京川貝), 상패모(象貝母)


 

 

패모의 효능

 

패열로 인한 기침이나 진액부족으로 인한 기침, 담열로 인한 기침에 주로 사용하는데 열로 인한 과도한 기침을 그치게 하는 요약이다.

 

또한 폐을 윤택하게 만들어서 건조한 기운을 제거하고 폐를 조화롭게 만든다.

이 외에도 진액 부족으로 인한 나력이나 유옹, 패옹등에 사용한다.

 

천패모와 절패모로 나뉘는데

천패모는 차가우며 단맛을 띠는데 패를 윤활하게 하여 패가 열이 있어서 나오는 기침을 멎게 한다.

 

그러나 절패모는 차가우나 천패모와 달리 고미(쓴맛)를 가지기 때문에

열을 꺼주고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강하므로 감기로 인한 기침을 멈추게 한다.

 

증상

 

급성 기관지염에는  담열과 해수가 심하고 백색 담이 대량으로 나오는 증상일

경우 전호, 행인, 비파엽을 섞어 사용하면 좋다.

 

동약, 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조선패모와 부전패모, 기타 패모속식물의

비늘줄기를 말린 것이다.

 

조선패모는 우리나라 북부의 높은 산지대에서 자라고 부전패모는 부전고원에서 자란다.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비늘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심경, 폐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폐를 보하고 심열을 없앤다.

 

패모의 알칼로이드 성분은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기관지의 분비를 억제한

다. 열담, 조담으로 기침이 나는 데, 폐농양, 급성 및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폐렴, 백일해, 감기로 기침 하는 데, 가슴이 답답한 데, 연주창 등에 쓴다.

 

하루 3 ~ 9그램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쓴다.

동약, 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조선패모와 부전패모, 기타 패모속식물의

비늘줄기를 말린 것이다.

 

조선패모는 우리나라 북부의 높은 산지대에서 자라고 부전패모는 부전고원에서 자란다.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비늘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잔뿌리를 다듬어 햇볕이나 건조실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심경, 폐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담을 삭이며 폐를 보하고 심열을 없앤다.

 

패모의 알칼로이드 성분은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기관지의 분비를 억제한

다. 열담, 조담으로 기침이 나는 데, 폐농양, 급성 및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폐렴, 백일해, 감기로 기침 하는 데, 가슴이 답답한 데, 연주창 등에 쓴다.

 

하루 3 ~ 9그램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쓴다.

우에 전호, 행인, 비파엽을 섞어 사용하면 좋다. 

 

약성이 약간 차기 때문에 해수가 빈번하고 백색의 담이 많고 인후가 건조한 증상이 있을 때에는 전호, 박하, 두시를 배합 사용한다.

 

만성 천식에는  몸이 허약해지고 진액이 손상되어 담이 적고 목구멍이 건조할 경

우에도 원삼, 생지황, 맥문동을 더해 사용하면  청열, 생진, 화담, 지해의 효과를 얻는다.

 

기관지 확장증에는  기관의 분비물이 늘어나 해수와 천식이 빈번할 경우 패모,

반하, 진피를 가루 내어 아침저녁 4g씩 복용 하면 담을 맑게 하고 극렬한 발작을 막는다.

 

폐결핵에는  잦은 기침과 담은 적지만 끈적이고 흰색일 경우 황련, 천문동을 같이 쓰면 효과가 뛰어나다.

 

임파절 결핵에는  초기에 경결을 치료하기 위해 패모를 사용하며 원삼, 하고초, 모려를 가미한다. 중기에 화농이 되어 터지면 패모를 내복과 외용에 모두 쓰인다.

 

각종 종기가 화농되었을 경우  패모에 금은화, 연교, 천산갑을 배합하여 사용하면 해독 및 배농의 효과가 있다. 급성 유선염에는  포공영을 함께 사용한다.

 

만성 기관지염에는  패모죽을 따뜻하게 하여 간식으로 먹는다. 패모 뿌리 분말

5ㅡ10g을 쌀 60g과 쓴다. 쌀로 끓인 죽에 패모를 넣고, 두세 번 끓이면 된다.

 

.

 꽃차는 봉오리째 그늘에서 말려 습기를 없앤 후 밀폐용기에 보관한다.

찻잔에 넣고 1∼2분간 우려내어 마신다.

 

출산후 기침을 많이 할 때는 맥문동이나 패모를 10 ∼ 20g 정도 끓여 식후에 먹는다.  폐기종에는 패모 뿌리줄기 5 ~ 7g을 1회분으로 달임약 알약, 산제로 하루 2~ 3회씩 1주일 정도 먹는다. 복용중 모란, 하늘타리를 금한다.

 

가래가 가슴 깊이 있어 헛기침만 나오고 답답한 데는 비파잎 10g과 천화분, 패모를 같은 분량으로 섞어 달여먹는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심하여 가슴이 답답하거나 두근거리는 때에 : 패모, 개나리열매(연교) 각각 1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패모는 혈압을 낮추고 개나리 열매의 성분 올레아놀산은 강심 이뇨작용을 한다.

 

백일해 기침발작을 하루에도 여러번 하는 것을 진정시킨다. : 패모, 지모를 각각 같은 양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4g씩 하루 3번 먹는다.

'야생 산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발톱나무(소벽)의 효능  (0) 2010.01.26
쥐방울덩굴 (마두령)의 효능  (0) 2010.01.25
차즈기(자소엽)의 효능  (0) 2010.01.21
도꼬로마의 효능  (0) 2010.01.20
진교의 효능  (0) 2010.0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