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질
일반 과일의 주성분은 '당질'과 '유기산', 그리고 '비타민 c'로 이중 당질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포도당, 과당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렇다고 살이 찌는 것은 아니다. 과일은 70~80%가 수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당분은 그다지 많지 않다. 과일이 다이어트에 주효한 것은 이 때문이다.

 

지질
일반 과일의 지질은 극히 소량이다. 다만 호두, 땅콩 등의 너트류는 예외로 너트류는 상당한 양의 지질을 함유하고 있다.

 

단백질
한마디로 말해 과일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은 양질이 아니다. 다만 감은 우유의 단백질과, 미단백에 비할 만하다. 또 너트류도 다량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수분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단백이다.

 

알카리
알카리성 식품의 신화는 이제 과거의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렇지가않다. 우리의 체내는 약알칼리성으로, 음식물 의 섭취로 체내가 산성화할 경우 약알칼리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과일이 한 몫을 한다. 호두와 같은 예외의 식품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과일이 알칼리성 식품이다.

 

미네랄
살구나 건포도와 같이 말린 과일에 미네랄이 풍부한 것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과일 중에는칼슘,철,인 등의 무기질 영양소인 미네랄이 부족하다. 다만 너트류는 예외로 다량 함유하고 있어 골다공증 예방도 가능하다.

비타민류
비타민 A : 살구나 망고 등 몇 가지 과일이 풍부하게 함유 하고 있다. 반대로 딸기와 같이 비타민 A가 부족한 과일도 있다.

비타민 B군 :너트류 이외에는 그다지 기대하기 어렵다.

비타민 C : '과일'하면 '비타민C'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과일에는 다량의 비타민C가 포함되어 있다. 100밀리그램을 조금 넘게 함유하고 있어서, 하루에 필요한 양(50㎎)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것이 수두룩하다.

유기산
과일의 생명은 단맛과 신맛이다. 그러므로 신맛의 원천인 유기산 이 많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효소
과일에는 생체의 거의 모든 화학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류가 다량 들어 있다. 과일의 생명은 당질과 유기산, 그리고 비타민, 특히 비타민 C 이다.즉시 근육을 움직이는 에너지가 되면서 살찌지 않는 당질, 에너지 생산 과정의 탄력이 되는 유기산, 동맥경화방지, 스트레스 완화, 면역 조정 등을 지탱해 주는 비타민 C의 보고인 과일은 식생활에서 빠뜨릴 수 없는 부식물이다. 그리고 무엇 보다도 저칼로리 식이므로 비만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오늘날, 체형을 건강하고 날씬하게 하는 데 한몫을 할 것이다


 

숙취에 특효약!

비타민 P가 모세혈관을 강하게 만든다.

금 귤

비타민 C 함유 최고

대 추

정신 안정과 피로 회복에 효과

딸 기

비타민 C가 잇몸의 출혈을 예방한다

레 몬

피로에는 구연산이 최고

망 고

성인병을 예방하고, 피부도 아름답게!

매실

식중독을 예방하는 식탁의 수호신

멜 론

부기를 빼어 체형을 산뜻하게 만든다.

무화과

무좀 치료에 묘약

바나나

운동 선수에게 소화가 잘 되는 스테미너식

반숙된 군밤은 소화 흡수가 뛰어난 에너지원

장벽을 자극하여 변비를 해소

복숭아

잎은 땀띠나 진무른 데 효과가 있다.

비 파

피로를 풀어 주고, 기침과 가래에 효과적

사 과

펙틴의 정장작용이 미인을 만든다.

살 구

풍부한 비타민 A가 암 예방에 효과적

석 류

약재로서 효능이 많은 '석류피'

수 박

이뇨작용이 신진대사를 촉진

아보카드

체력 강화에 가장 좋은 고영양식

앵 두

예쁜 만큼 식욕 증진에 효과

자 두

말리면 미네랄이 풍부한 건강식!

참 외

가슴속 답답증에 효과

체리

줄기를 달인 즙은 신기능장해에 효과적

키 위

기미. 주근깨를 예방하고, 변비에도 효과적

파인애플

육류의 소화를 돕고, 식욕 증진에도 일조

파파야

단백분해효소가 많아 육류 요리에 잘 어울린다

포 도

주성분인 포도당이 피로 회복에 효과적

포 도

다이어트 중의 비타민C 보급에 가장 적당

호 두

고칼로리식이면서도 비만 예방도!

모 과

신장과 간장의 활동을 원활하게

'대체의학 민간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 민간요법  (0) 2008.12.02
두드러기(마진)  (0) 2008.12.01
지방간 치료법  (0) 2008.11.29
고지혈증 민간요법  (0) 2008.11.26
존스 홉킨스 대학으로부터 암에관한 최신소식  (0) 2008.11.25

+ Recent posts